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감송향(甘松香) Nardostachyos Radix et Rhizoma

강의 요약.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한 ‘甘松’의 뿌리와 땅속줄기를 ‘감송향(甘松香)’이라 하여 약용한다. 그 응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기체(氣滯)로 인한 두통 및 복통, 요통 등의 각종 동통에 내복약으로 응용하였다. 이 중에서도 주로 상복부 통증에 木香이나 丁香, 香附子 등과 배합하여 환산제로 사용하였다. 이를 두고 ‘몰려 있는 기를 트이게 하여 막힘이 없게한다(疏暢氣機)’고 설명한다. 또한 상복부 통증에 사용하여 소화기계를 정상화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빽빽한 상태를 펴고 비위를 깨운다(開鬱醒脾)’고 설명한다.

  둘째, 각종 피부병에 외용제로 응용하였다. 얼굴의 여드름이나 치통, 동창, 소양증에 사용하던 고약이나 세제의 재료로 활용되었다.

  셋째, 위생용품의 재료로 응용하였다. 몸의 냄새를 가리기 위해 쓰는 향낭에 사용하기도 했고, 옷이 벌레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향제에 사용하기도 했다. 전염병이 돌 때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자 피웠던 향이나 불에 태웠던 환산제의 재료로 사용된 예1도 찾아 볼 수 있다. 

  다만, 8세기 즈음에 기록되어 연원이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활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는 한국 사람이 선호하지 않을 특유의 고약한 향과,  편성이 완만한 탓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환산제로의 사용이 대부분인 이유 중 하나는 전탕할 때의 냄새가 오래 남는다는 특징이 한몫했으리라 추정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효능도 좋고 냄새도 무난하며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인동과 식물 기원 본초인 금은화(金銀花)가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그러나 상복부의 기체동통에 사용된 처방례가 많은 만큼 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활용함이 좋다.

【본초명】 甘松香《本草拾遺》

【생약명】 Nardostachyos Radix et Rhizoma

【이명】 甘松《綱目》 香松《中藥志》

【약성가】 甘松味香浴肌香 除心腹痛惡氣良

【기원】

인동과 (Caprifoliaceae ; 忍冬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甘松 Nardostachys jatamansi (D.Don) DC. 2 의 根과 根莖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 KHP는 甘松 N. chinensis 과 匙葉甘松 N. jatamansi의 두 종을 기원으로 수재하였으나 최근 분류에 의하면 둘은 동일한 종임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群)
        진정국화군 II(Euasterids II ; 眞菊二類植物) – 초롱꽃군 (campanulids ; 桔梗類植物)
          산토끼꽃목 (Dipsacales ; 川續斷目)
            인동과 (Caprifoliaceae ; 忍冬科) → APG III에서 마타리과(Valerianaceae ; 敗醬科)는 인동과로 편입되었음

감송(甘松) Nardostachys jatamansi (D.Don) DC.

[ 甘松 Nardostachys jatamansi (D.Don) DC. ]

【성상】

감송향(甘松香) Nardostachyos Rhizoma

[ 甘松香 Nardostachyos Rhizoma ]

새우처럼 구부러졌고 위는 굵고 아래는 가늘다. 根莖의 위 부분에는 地上莖의 基部가 殘留되어 있다. 길이 1~2㎝로 外層은 黑褐色이고, 內層은 褐色 또는 黃色으로 가늘고 긴 膜質片狀이며 혹은 纖維狀을 하고 있다. 地上莖의 殘留基部는 속이 비어 있고 褐色이다. 主根은 桻狀이고 單一 또는 여러 개가 이어졌고 並列 또는 分枝한다. 質은 부서지기 쉽고, 단면은 褐色으로 黃色의 維管束이 있다.

【산지】

중국의 西北(靑海 甘肅), 西南(西藏 四川 雲南)에 분포

【성분】

· sesquiterpene 성분으로 jatamansic acid, calarene, jatamansone, nardo, valeranone, nardosinone, 1(10)-aristolene, 1(10)-aristolen-2-one 등이 있다. Triterpenoid 성분으로 oleanolic acid, ursolic acid, 휘발성 정유성분으로 α,α-dimethyl benzenepropanoic acid ethenyl ester, α,α-dimethyl benzyl isopropyl ether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furocoumarin, monoterpenoid, alkaloid 성분 및 isovaleric acid, n-hexacosane, β-sitosterol 등을 함유

【작용】

· 항바이러스, 항진균, 항균, 항말라리아 작용
· 진정, 진경, 해열, 부정맥 억제, 심근보호, 장관경련 억제, 기관지 확장 작용

【성미】 性溫 味辛甘     【귀경】 脾胃經

【효능】 行氣止痛 開鬱醒脾

【주치】 胃痛 胸腹脹滿 頭痛 脚氣

【해설】

1. 行氣止痛 開鬱醒脾

 : 溫而不熱 甘而不滯 香而不燥, 疏暢氣機 溫香行散 醒脾暢胃

① 思慮傷脾나 寒鬱氣滯로 인한 胸悶脹痛 不思飮食 胃脘疼痛한 證에 응용

② 脾胃虛寒으로 心腹滿痛한 경우에 응용

③ 收濕拔毒하는 효능이 있어 濕脚氣에 응용(煎湯洗足)

2. 甘松 vs 山奈 : 芳香辛溫 皆能暖中而善治心腹冷痛

 ┌ 甘松 : 主入脾經 長於醒脾開鬱

 └ 山奈 : 主入胃經 功專暖胃辟惡

3. 食積氣滯에 木香, 丁香과 배합하여 쓰임.

4. 분향료나 목욕제의 원료로 활용되었음

【포제】

細切하며 사용한다.

【용량】

4~8g.

【금기】

氣虛나 血熱者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정향란반환 丁香爛飯丸《內外傷辨惑論》 治飲食所傷 … 治卒心胃痛甚效
: 丁香 京三稜 廣朮 木香以上各一錢 甘草 甘松去土 縮砂仁 丁香皮 益智仁以上各三錢 香附子五錢. 上為細末 湯浸蒸餅為丸 如綠豆大 每服三十丸 白湯送下 或細嚼亦可 不拘時候.

② 궁방칠향환 宮方七香丸 = 칠향원 七香元3《仁齋直指方論》 消食快膈 和胃止痛
: 木香 丁香 檀香 甘松 丁皮 橘紅 縮砂仁 白豆蔻 三稜醋煮 蓬莪朮醋煮,焙乾,各半兩 大香附炒,去毛,二兩半. 上為末 研米糊丸綠豆大 每三四十丸 薑湯下.

③ 대칠향환 大七香丸《太平惠民和劑局方》 治男子婦人脾元氣冷 胃氣虛乏 不思飲食 心膈噎塞 漸成膈氣 脾泄瀉利 氣刺氣注 中酒吐酒 冷痃翻胃 霍亂吐瀉 並皆治療.
: 香附子炒,一百九十二兩 麥糵炒,一百兩 丁香皮三百三十兩 縮砂仁 藿香葉各二百五十兩 甘松 烏藥各六十四兩 肉桂去粗皮 甘草 陳皮去白,洗,各二百五十兩. 上為末 煉蜜為丸 如彈子大, 每服一粒 鹽酒鹽湯嚼下. 婦人脾血氣 如經月水不調 並用炒姜酒嚼下 醋湯亦得 大有神效. 忌生冷肥膩等物.

cf. 대칠향환 大七香丸《景岳全書》引《太平惠民和劑局方》 治脾胃虛冷 心膈噎塞 漸成隔氣 及脾泄瀉痢 反胃嘔吐.
: 香附二兩 麥芽炒 一兩 砂仁 藿香 官桂 甘草 陳皮各二兩半 丁香三兩半 甘松 烏藥各六錢半. 上為末 蜜丸 彈子大. 每服一丸 嚼啐 鹽酒鹽湯任下. 忌生冷 肥膩.

④ 소칠향환 小七香丸《世醫得效方》 治鬱怒憂思 氣滯腰疼
: 甘松炒,十兩 甘草炒,十五兩 香附子炒,去毛,十五兩 丁香皮十五兩 蓬莪朮煨,乘熱,碎,二兩半 縮砂仁二兩半 益智仁炒,七兩半. 上為丸. 每服五十丸 橘子一錢 鹽少許煎湯 空心服. 或用沈香降氣湯打和勻氣散.

cf. 소칠향환 小七香丸《太平惠民和劑局方》 能溫中快膈 化積和氣. 治中酒吐酒 嘔逆咽酸 氣膈食噎 飲食不下 冷涎翻胃 腹脹脾疼 遠年茶酒食積 眼臉俱黃 赤白痢疾 脾毒泄瀉. 婦人脾血氣 小兒疳氣 並宜服之.
: 甘松炒,八十兩 益智仁炒,六十兩 香附子炒,去毛 丁香皮 甘草炒,各一百二十兩 蓬莪朮煨, 乘熱碎 縮砂仁各二十兩. 上為末 水浸蒸餅為丸 如綠豆大. 每服二十丸 溫酒薑湯熟水任下. 或氣脹滿 磨烏藥水煎湯下. 或酒食過度 頭眩噁心 胸膈滿悶 先嚼二十丸 後吞二十丸 生薑紫蘇湯下. 此藥性溫平 不動臟腑.

⑤ 목향분기환 木香分氣丸《醫學入門》 治一切氣逆 心胸痞悶 腹脅虛脹. 或加丁皮 藿香 薑黃 砂仁 檀香 常服寬中進食
: 木香 甘松各一兩 甘草六兩 香附一斤 莪朮半斤. 為末 糊丸梧子大. 每三十丸 薑湯橘皮煎湯任下.

⑥ 상청환 上清丸《醫學入門》 治虛火上衝 口舌生瘡 咽喉腫痛 咳嗽煩熱, 又能清聲潤肺 寬膈化痰 爽氣寧神.
: 百藥煎 薄荷各四兩 砂仁一兩 片腦一錢 玄明粉 甘松 桔梗 訶子 硼砂各五錢 寒水石三錢. 日乾為末 用甘草煎膏為丸 梧子大. 每噙化一丸 或三五丸 茶湯下.

⑦ 감송향산 甘松香散《世醫得效方》 治一切牙疼.
: 甘松香 莽草 川烏去皮,炮,各二錢 北細辛去葉,二分 硫黃半錢 香附子炒,去毛,二錢. 上為末 以手指蘸少許揩牙上 立效. 後用鹽湯灌漱妙.

⑧ 옥용서시산 玉容西施散《東醫寶鑑》引《醫林》 治面上一切酒刺風刺黑黶斑子
: 菉豆粉二兩 白芷 白芨 白蘞 白殭蠶 白附子 天花粉各一兩 甘松 三乃子 茅香4各五錢 零陵香 防風 藁本各二錢 肥皂角二錠. 右爲細末 每洗面時用之 面色如玉.

⑨ 옥용산 玉容散 《古今醫鑑》 治面生皯𪒟 或生小瘡 或生痙痱 粉刺之類 並皮膚瘙癢 能去垢膩
: 皂角三斤去皮 升麻八兩 楮實子五兩 甘松五錢 三奈三錢 砂仁連皮五錢 天花粉一兩 白芷一兩 白芨一兩 糯米一升另研 白丁香五錢須臘月收者 綠豆一兩另研. 上為末 和勻 量用洗面 不惟馨香 亦且去垢. 一方加藿香五錢 樟腦一錢 為末 煉蜜為丸 如彈子大 清晨洗面最奇.

⑩ 십향고 十香膏《太平聖惠方》 治風毒瘡腫 癰疽丁贅瘤癭
: 沈香半兩銼 檀香半兩銼 丁香半兩末 鬱金香半兩銼 甘松香半兩銼 麝香一分細研 薰陸香半兩細研 白膠香半兩細研 龍齒半兩細研 黃丹六兩 麻油一斤 蘇合香半兩銼 木香半兩末. 上件藥 先取 沈香 檀香 鬱金香 甘松香 等五味 於油中浸七日 都入鐺內 以少炭火溫養 五日後 以武火煎三二十沸 濾出香 用綿濾過 淨拭鐺 油都入鐺內 下黃丹 以柳木篦 不住手於火上攪 候色黑 滴水中如珠子 軟硬得所 去火 將煎丁香等六味 入膏中攪三五百遍 膏成 盛瓷盒內. 用軟帛上攤貼 日三度換之

⑪ 육향고 六香膏《東醫寶鑑》 治冬寒凍傷 皸瘃
: 白檀香 沈束香5 丁香 零陵香 甘松香 八角香各二兩. 爲粗末 入三升蜜中浸之 封口 經七日或十日 取出於火上微溫 下篩去滓 乃入三乃子細末五錢 小腦末三錢 冬瓜仁細末七兩或十兩 攪勻 再下疎篩 貯器中用之. 其滓作團 於火中燒之甚佳 謂之江梅香.

⑫ 조세약 澡洗藥《東醫寶鑑》引《丹溪心法》 治風燥身痒
: 威靈仙 零陵香 茅香6各半斤 乾荷葉 藁本 藿香 白芷 甘松各四兩. 右剉 四兩 水三桶 熬數沸 於房內 沐浴避風.

⑬ 의향 衣香7《東醫寶鑑》
: 茅香8 蜜炒一兩 白芷五錢 沈束香 白檀香 零陵香 甘松香 八角香 丁香 三乃子各二錢. 右並爲粗末 入小腦二錢末和勻 作一貼 置衣箱中 最佳夏月尤好.

⑭ 태창공벽온단(太倉公辟瘟丹), 신성벽온단(神聖辟瘟丹), 부용향(芙蓉香), 벽예산(辟穢散) 등의 焚香의 재료 사용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0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52-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469-70.


 




각주

  1. 이는 모기를 쫓거나 실내의 소독을 위해 쑥을 태우는 것과 동일 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syn.
       Fedia grandiflora Wall. ex DC.  
       Fedia jatamansi Wall. ex DC.  
       Nardostachys chinensis Batalin  
       Nardostachys gracilis Kitam.  
       Nardostachys grandiflora DC.  
       Patrinia jatamansi D.Don  
       Valeriana jatamansi D.Don
  3. 《東醫寶鑑》
  4. 벼과(Poaceae)에 딸린 향모(sweetgrass) Anthoxanthum nitens (Weber) Y.Schouten & Veldkamp [= Hierochloe odorata (L.) P.Beauv.]의 땅속줄기. 味甘 性寒. 凉血止血 清热利尿. 治吐血 尿血 急肾炎浮肿 热淋 等.
  5. 沈香과 肉桂나 檀香 따위를 섞어 만든 분향.
  6. 옥용서시산의 주석 참고.
  7. 벌레 먹지 않도록 옷과 함께 두는 향
  8. 옥용서시산의 주석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