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시체(柿蒂) Kaki Calyx

시체(柿蒂) Diospyri Caly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柿蒂(柿蔕)《名醫別錄》

【생약명】 Diospyri Calyx

【영문명】Persimmon Calyx

【이명】 柿錢《洁古家珍》 柿丁《中藥志》 柿子把《中藥材手冊》 柿萼《藥材學》

【약성가】 柿蒂氣寒潤心肺 澁腸禁痢渴痰退

【기원】

감나무과(Ebenaceae ; 柿樹科)에 속한 갈잎큰키나무인 감나무(柿) Diospyros kaki Thunb.의 宿存花萼으로, 가을에 성숙한 열매에 남아있는 꽃받침을 채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THP, Non-JPS, DPRKP

   속씨식물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 (Eudicots ; 眞雙子葉植物分支)
       국화군 (Asterids ; 菊花群)
          진달래목 (Ericales ; 柿樹目)
             감나무과 (Ebenaceae ; 柿樹科)

감나무(柿) Diospyros kaki L.f.

[ 감나무(柿) Diospyros kaki Thunb. ]

【성상】

시체(柿蒂) Kaki Calyx

[ 柿蒂 Diospyri Calyx ]

가장자리가 얇게 넷으로 갈라진 넙적한 꽃받침으로 지름 15~25㎜, 두께 1~4㎜이다. 裂片은 卵圓形 또는 삼각형 및 넓은 난형이며 윗쪽으로 대개 말려있고 합편부의 중앙은 좀 두껍다. 외면은 회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흔히 네 개의 융기선이 있으며 果柄의 잔기가 붙어 있는 것도 있고 果柄이 떨어진 자리가 오목하게 남아있는 것도 있다. 내면의 합편부를 확대경으로 보면 갈색의 짧은 털이 밀생하고 중앙부에는 열매가 떨어진 자리가 있다. 質은 얇고 가볍다. 냄새가 없고 맛은 좀 떫다. 홍갈색이고 두꺼우며 맛은 떫고, 형태가 부서지지 않고 완전한 것이어야 한다.

【산지】

전국 각지에서 생산된다.

【성분】

Hydroxytriterpenic acid를 0.37% 함유하는데, 그 중 oleanolic acid, betulinic acid, ursolic acid, 19α-hydroxyursolic acid 등이 있다. 유기산으로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 succinic acid 등을 함유한다. 그 밖에, friedelin, β-sitosterol, β-sitosteryl-β-D-glucoside, trifolin, hyperin, kaempferol, quercetin, glucose, fructose, 지방유, tannin 등을 함유한다.

【작용】

부정맥 억제, 진정, 임신억제 작용

 

【성미】 性平 味苦澀      【귀경】 肺胃經

【효능】 降逆下氣

【주치】 呃逆

【해설】

1. 降逆下氣

① 胃寒氣逆의 呃逆에 다용

② 淸熱鎭降의 藥을 配合하여 胃熱呃逆에 응용

2. 감나무의 기타 약용부위별 효능

① 柿子(감)  : 性涼 味甘澀. 入心肺大腸經. 淸熱 潤肺 生津 解毒. 治咳嗽 吐血 熱渴 口瘡 熱痢 便血

② 柿葉(감잎) : 性寒 味苦. 入肺經. 止咳定喘 生津止渴 活血止血. 治咳喘 消渴及各種內出血 賺瘡

③ 柿餠(곶감) : 性平味甘. 和胃腸 止痔血 止瀉止痢.

④ 柿霜(곶감의 흰가루): 性凉味甘. 淸熱潤燥化痰

【포제】

雜質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용량】

8~16 g

【배합례】

① 시체탕 柿蒂湯《嚴氏濟生方》 治胸滿 咳逆不止.
: 柿蒂 丁香各一兩.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薑五片 煎至七分 去滓 熱服 不拘時候.

② 정향시체산 丁香柿蒂散《衛生寶鑑》 治諸種呃噫嘔吐痰涎.
: 丁香 柿蒂 青皮 陳皮各等分. 上為粗末 每服三錢 水一盞半 煎至七分 去渣 溫服 無時.

③ 정향시체산 丁香柿蒂散《世醫得效方》 治吐利及病後胃中虛寒 咳逆 至七八聲相連 收氣不回者 難治.
: 人參 茯苓 橘皮 半夏 良薑 丁香 柿蒂各一兩 生薑一兩半 甘草五錢. 上銼散 每服三錢 水一盞煎 乘熱頓服 或用此調蘇合香丸 亦妙.

④ 시체이진탕 柿蒂二陳湯《醫學入門》 治呃逆
: 即前方(陳皮二錢 茯苓 半夏各一錢半 甘草 藿香各五分 丁香四分. 薑煎 入薑汁三五匙調服) 去藿,丁 加柿蒂 人參各一錢 竹茹一團.

⑤ 순기소체탕 順氣消滯湯《壽世保元》 人因飽食後得氣 發呃逆 連聲不止者.
: 陳皮二錢 半夏薑炒二錢 白茯苓去皮三錢 丁香三分 柿蒂二個 黃連薑炒二分 神麯炒二錢 香附二錢 白朮一錢五分 竹茹四錢 甘草八分. 上銼 生薑五片 水煎服.

⑥ 신제귤피죽여탕 新製橘皮竹茹湯《溫病條辨》 陽明濕 溫 氣壅為噦者 新製橘皮竹茹湯主之. 金匱橘皮竹茹湯 乃胃虛受邪之治. 按金匱橘皮竹茹湯 乃胃虛受邪之治. 今治濕熱壅遏胃氣致噦 不宜用參甘峻補 故改用柿蒂. 按柿成於秋 得陽明燥金之主氣 且其形多方 他果未之有也 故治肺胃之病有獨勝. (肺之藏象屬金 胃之氣運屬金). 柿蒂乃柿之歸束處 凡花皆散 凡子皆降 凡降先收 從生而散而收而降 皆一蒂為之也 治逆呃之能事畢矣. (再按 草木一身蘆與蒂皆升降之門戶 載生氣上升者蘆也 受陰精歸藏者蒂也 格物者不可不於此會心焉.)
: 橘皮三錢 竹茹三錢 柿蒂七枚 薑汁三茶匙沖. 水五杯 煮取二杯 分二次溫服 不知 再作服. 有痰火者加竹瀝 括蔞霜. 有瘀血者加桃仁.

⑦ 온위음 溫胃飮《醫宗金鑑》 此湯治癰疽脾胃虛弱 或內傷生冷 外感寒邪 致生呃逆 中脘疼痛 嘔吐清水等證 宜急服之.
: 人參一錢 白朮土炒,二錢 乾薑炮,一錢 甘草一錢 丁香五分 沈香一錢 柿蒂十四個 吳萸酒洗,七分 附子制,一錢. 上九味 水三盅 薑三片 棗二枚 煎八分 不拘時服.

⑧ 청진탕 清震湯《醫宗金鑑》 治潰瘍脾腎虛弱 或誤傷生冷 或氣惱勞役 或病後入房太早 以致寒邪乘入中脘 乃生呃逆 急服之.
: 人參 益智仁 半夏制,各一錢 澤瀉三分 香附 陳皮 白茯苓各一錢 附子制,一錢 炙甘草一錢 柿蒂二十四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398-9.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44-6.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