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백(薤白) Allii Macrostemonis Bulb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薤白《名醫別錄》
【생약명】 Allii Macrostemonis Bulbus
【이명】 薤根《肘後方》 藠子《綱目》 野蒜 小獨蒜《中藥形成經驗鑑別法》 薤白頭《藥材學》
【기원】
석산과(Amaryllidaceae ; 石蒜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산달래 [=돌달래] (薤白 ; 小根蒜) Allium macrostemon Bunge 또는 염교[=염부추] (藠頭) A. chinense G.Don [= A. bakeri Regel ] 의 鱗莖을 건조한 것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蒸透하여 曬乾한다.
⊂ KHP, ChP, THP, Non-JPS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
아스파라거스목 (Asparagales ; 天門冬目)
석산과 (Amaryllidaceae ; 石蒜科)
[ 산달래 (돌달래, 薤白, 小根蒜) Allium macrostemon Bunge ]
[염교(염부추, 藠頭) Allium chinense G.Don ]
【성상】
[ 薤白 Allii Macrostemonis Bulbus ]
불규칙한 卵圓形으로 높이 1~1.5㎝, 지름 0.5~1.8㎝이다. 표면은 黃白色 혹은 淡黃褐色이며 쭈그러졌고 반투명하며 類白色의 膜質鱗片으로 싸여 있고, 底部에는 돌기된 鱗莖盤이 있다. 質은 단단하고 角質모양이다.
【산지】
한반도와 중국에 고르게 분포.
【성분】
· 산달래(小根蒜) 鱗莖에는 furostanol saponin으로 macrostemonoside(A, D~L), smilagenin-3-O-β-D-glucopyranosyl(1→2)-β-D-galactopyran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에는 특이한 향취가 있는 19종의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주요 성분으로는 methylpropyl disulfide, propylisopropyl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등이 있다.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octadeca-9,12-dienoic acid 등이 있고, 그 밖에 prostaglandin(A1, B1) 등이 함유되어 있다.
· 염교(염부추, 薤)의 鱗莖에는 tyramine derivative로 N-(p-trans-coumaroyl)-tyramine, N-(p-cis-coumaroyl)-tyram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유기산, 지방산, steroidal saponin, furostanol saponin, chalcone 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동맥경화 억제, 혈소판응집 억제, 항산화, 심근보호, 진통, 장관운동 촉진 작용
【성미】 性溫 味 辛苦 【귀경】 (心)肺胃大腸經
【효능】 通陽散結 行氣導滯
【주치】 胸痺疼痛 痰飮咳喘 泄痢後重
【해설】
《本草求真》 ﹝批﹞通肺氣 利腸胃 薤專入肺·大腸 即藠子 亦動滑藥耳. 故書皆載調中助陽 散血疏滯 定喘 安胎利産 及治湯火傷損
《本草思辨錄》 藥之辛溫而滑澤者 惟薤白爲然. 最能通胸中之陽與散大腸之結. 故仲聖治胸痺用薤白 治泄利下重亦用薤白. 但胸痺爲陽微 痢則有冷有熱 第藉以疏利壅滯
1. 通陽散結 行氣導滯 ┌ 辛溫 發散寒邪 ← 通胸中陽 ← (上) 開胸痺
└ 苦溫燥痰濕 ← 散陰寒結滯 ← (下) 泄氣滯
① 寒邪와 痰濁이 胸中에 停留하여 陽氣가 暢通을 얻지 못하여 된 胸痺疼痛과 痰飮脇痛 등 證에 양호한 효과
② 下氣行滯의 효능으로 痢疾에 裏急後重을 겸한 증상에 응용
2. 胸痺의 상용약 : 심장의 혈행정체로 흉부의 혈액순환이 정체(胸陽不運 또는 心陽不運)되어 나타나는 胸痺에 通陽散結의 목적으로 다용 ex. 瓜蔞薤白白酒湯
【포제】
生用
【용량】
6~12g
【금기】
위점막을 자극하므로 장기 사용은 피하고, 氣虛無滯者는 愼用한다.
【배합례】
① 瓜蔞 半夏 枳實 桂枝 등을 配合하여 胸痺刺痛과 痰飮脅痛, 咳嗽氣喘 등에 응용
지실해백계지탕 枳實薤白桂枝湯《金匱要略方論》 胸痹心中痞 留氣結在胸 胸滿 脅下逆搶心 枳實薤白桂枝湯主之, 人參湯亦主之.
: 枳實四枚 厚朴四兩 薤白半斤 桂枝一兩 栝蔞一枚,搗. 右五味 以水五升 先煮枳實厚朴 取二升 去滓 內諸藥 煮數沸 分溫三服.
② 薤白과 配合하여 胸膈에 痰이 停滯하여 氣機가 不暢되어 나타나는 胸痞와 結胸證에 응용
괄루해백반하탕 栝蔞薤白半夏湯《金匱要略方論》 胸痹不得臥 心痛徹背者 栝蔞薤白半夏湯主之
: 栝蔞實一枚,搗 薤白三兩 半夏半升 白酒一斗. 右四味 同煮 取四升 溫服一升 日三服.
③ 괄루해백백주탕 栝蔞薤白白酒湯《金匱要略方論》 胸痹之病 喘息咳唾 胸背痛 短氣 寸口脈沉而遲 關上小緊數 栝蔞薤白白酒湯主之.
: 栝蔞實一枚,搗 薤白半斤 白酒七升. 右三味 同煮 取二升 分溫再服
④ 진통환 趁痛丸《經效産寶》 産後遍身疼痛者如何? 答曰 產後百節開張 血脈流走 遇氣弱則經絡分肉之間 血多留滯 累日不散 則骨節不利 筋脈引急. 故腰背轉側不得 手足搖動不得 更身熱疼痛. 醫者以為傷寒治之 若出汗則筋脈動惕 手足厥冷 變生他病 但服趁痛丸以墨塗之.
: 牛膝 當歸 桂去皮 白朮 黃耆各半兩 薤白一分 獨活半兩 生薑半兩 甘草一錢炙. 右為粗末 每服半兩 水五盞 煎至二盞 去滓 熱服一盞.
⑤ 해백탕 薤白湯《醫學入門》 治痘疹身熱下利 黃赤膿血
: 薤白半盞 豆豉一錢 山梔十枚. 水煮薤白爛後 量兒大小服之 以去惡積.
⑥ 해백탕 薤白湯《類證活人書》 傷寒下利如爛肉汁 赤滯下 伏氣腹痛 諸熱毒 悉皆治之
: 豉半斤綿裹 薤白一把 梔子七枚,大者破之. 上銼如麻豆大 以水二升半 先煎梔子十沸 下薤白煎至二升許 下豉煎取一升二合 去滓 每服一湯盞.
⑦ 지유산 地榆散《太平聖惠方》 治傷寒 毒熱不解 日晚即壯熱腹痛 便痢膿血 宜服地榆散方
: 地榆銼 黃連去須,微炒 犀角屑 茜根 黃芩以上各一兩 梔子仁半兩. 上件藥 搗篩為散 每服四錢 以水一中盞 入薤白五寸 煎至六分 去滓 不計時候溫服.
⑧ 석류피산 石榴皮散《太平聖惠方》 治妊娠下痢赤白 㽲刺腹痛不可忍 石榴皮散方.
: 酸石榴皮三兩,微炒 阿膠一兩,搗碎炒令黃燥 地骨皮一兩 黃柏一兩,微炙銼 當歸一兩,銼微炒 芎藭三分. 上件藥 搗細羅為散 每服不計時候 以薤白粥飮調下一二錢.
⑩ 고원보신탕 固元補腎湯《敦煌石窟秘藏醫方•輔行訣臟腑用藥法要》 治腎虛精極 遺精失溺 氣乏無力 不可動轉 唾血 咯血方.
: 地黃切 王瓜根1切,各三兩 苦酒[/efn_note]여기에서는 ‘醋’를 뜻함.[/efn_note]一升 甘草炙 薤白四兩 乾薑二兩,切. 上方六味 以苦酒合井泉水五升煮之 取得三升 每服一升 一日盡之.
⑪ 죽피소요산 竹皮逍遙散《醫學入門》 治勞復及易病
: 青竹皮卵縮腹痛者倍之 人參 知母 黃連 甘草 滑石 生地 韭白 柴胡 犀角. 薑三片 棗二枚煎 臨服入燒褌襠末一錢半 調服微汗 未汗再服. 得小便利 陰頭腫即愈.
⑫ 해백죽 薤白粥《世醫得效方》 治翻胃 無問久遠冷熱.
: 人參一兩,細切,以水一大升,煎取三合 雞子三個,去黃 薤白二莖 熟稀粟米粥. 上以雞子白及薤白粟等三味 熟調攪 然後暖人參湯相和 更調攪 頓服之 不限早晚. 服無忌 當時便定 准前服 萬不失一. 如思食 即與粟米粥飲 漸漸加粳米和之.
⑬ 곽란방 霍亂方《景岳全書》引《千金》 治霍亂乾嘔不止
: 以薤葉煎一升 服三次立愈
⑭ 黃連 木香 등을 配合하여 腸胃에 氣滯로 인한 痢疾의 裏急後重에 응용
⑮ 丹參 紅花 赤芍藥 등을 配合하여 胸痺證에 血瘀阻滯를 兼한 者에 응용
⑯ 柴胡 赤芍藥 枳實 등을 配合하여 胃의 氣滯로 瀉痢後重한 證에 응용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396-7.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389-42.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4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