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여지핵(荔枝核) Litchi Semen

여지핵(荔枝核) Litchi Sem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荔枝核1《本經衍義》

【생약명】 Litchi Semen

【이명】 荔核《景岳全書》 荔仁《廣西中藥志》 枝核《四川中藥志》 大荔核《藥材學》

【약성가】 荔枝甘辛智神益 止渴好顔疝用核

【기원】

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 無患子科)에 속한 갈잎 또는 늘푸른큰키나무인 리치(荔枝) Litchi chinensis Sonn. 의 성숙한 種子로, 여름철에 성숙한 果實을 채취하여 果皮와 肉質의 假種皮를 제거하고 曬乾한다.

⊂ KHP, ChP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아욱군 (Malvids ; 錦葵類) – 진정장미군 II(Eurosids II ; 眞薔薇二類植物)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 無患子目)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 無患子科)

리치(荔枝) Litchi chinensis Sonn.

[ 리치(荔枝) Litchi chinensis Sonn. ]

【성상】

여지핵(荔枝核) Litchi Semen

[ 荔枝核 Litchi Semen ]

長圓形 또는 卵圓形으로 약간 납작하고 길이 1.2~2.5㎝, 지름 0.6~1.7㎝이다. 표면은 홍갈색 혹은 자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드문드문 세로로 쭈그러진 주름이 있으며 한쪽끝에 직경 0.7cm정도의 황백색 種臍가 있다. 質은 단단하고 중간을 잘라보면 2개의 비후한 子葉이 있는데 회황색으로 역시 견실하다. 냄새가 없으며 맛은 처음에는 약간 달고 후에는 조금 쓰다. 이 약은 알이 고르고 충실하며 바깥면이 광택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산지】

중국의 華南(廣東 福建 臺灣 廣西), 西南(四川 雲南) 등에서 재배

【성분】 

종자에는 saponin(1.12%), tannin(3.43%), α-(methylenecyclopropyl)-glyc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으로는 3-acetoin, 2,3-butanediol, copa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12%), oleic acid(27%), linoleic acid(11%) 등이 있고, cyclopropane류 유기산으로 dihydrosterculic acid(37%), cis-7,8-methylenehexadecanoic acid(4%)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혈당강하[α-(methylenecyclopropyl) glycine], 혈중지질 개선(TC·LDL↓; HDL↑), B형간염바이러스 억제 작용
· 荔枝肉도 혈당강하 작용이 있음

 

【성미】 性溫 味甘微苦           【귀경】 肝腎經

【효능】 行氣散結 祛寒止痛

【주치】 寒疝腹痛 睾丸腫痛

【해설】

1. 行氣散結 祛寒止痛 (辛溫 入肝腎 散滯氣 辟寒邪)

① 疝氣와 睾丸腫痛이 寒疝에 속한 경우에 가장 적합

② 肝氣鬱滯의 證에 보조적으로 응용

③ 裏寒으로 인한 胃痛과 婦女小腹痛에 응용

2. 荔枝(離支·荔支·荔枝子·離枝·丹荔·火山荔·麗枝·勒荔)

性味 : 性溫 味甘酸         歸經 : 脾肝經

效能 : 養血健脾 行氣消腫

主治 : 病後體虛津傷口渴 脾虛泄瀉 呃逆 食少 瘰癧疔腫 外傷出血

用量 : 內服 煎湯 5 ~ 10枚

禁忌:   陰虛火旺者愼服.

3. 荔肢肉은 龍眼肉의 僞品으로 유통되고 있음.

【포제】

搗碎하여 사용하거나 鹽炙하여 사용한다.

【용량】

6~12g.

【금기】

寒邪氣滯가 없는 사람은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香附子를 配合하여 婦人이 氣滯血瘀로 인한 經前腹痛과 産後腹痛에 응용
견통산 蠲痛散《校註婦人良方》 治血氣刺痛.
: 荔枝核燒存性,半兩 香附子一兩. 上爲末 每服二錢 鹽酒送下.

② 정통산 定痛散2《丹溪心法》 治諸疝 定痛速效
: 枳實十五片,一作橘核 山梔 山楂 吳茱萸 荔枝核炮,各等分. 上爲末 酒糊丸服 或爲末 生薑水煎服 或長流水調下一二錢 空心.

③ 여향산 荔香散《景岳全書》 治疝氣痛極. 凡在氣分者 最宜用之 並治小腹氣痛等證 神效. 又心腹久痛方如後.
: 荔枝核炮微焦 大茴香等分,炒. 右爲末. 用好酒調服二三錢. 如寒甚者 加制過吳茱萸減半用之. 凡心腹胃脘久痛 屢觸屢發者 惟婦人多有之 用荔枝核一錢 木香八分 爲末 每服一錢 清湯調服 數服除根.

④ 천고련산 川苦楝散3《衛生寶鑑》 治小腸氣痛.
: 木香一兩,另爲末 茴香一兩,鹽炒黃,去鹽 川楝子一兩銼,用巴豆十個碎與川楝炒黃,去巴豆. 上爲末 每服二錢 溫酒一盞調下 空心食前. 許學士云 大抵此疾因虛得之 不可以虛驟補 經云 邪之所湊 其氣必虛 留而不去 其病則實 故必先滌所蓄之熱 然後補之. 是以諸方多借巴豆氣者 蓋謂此也.

⑤ 茴香 吳茱萸 橘核 등을 配合하여 肝經에 寒凝氣滯로 인한 疝痛과 睾丸腫痛에 응용
귤핵환 橘核丸《血證論》 治小腹疝痛結氣等證
: 橘核三錢 吳萸二錢 香附三錢 楝子三錢 楂核三錢 荔核三錢 小茴二錢. 共爲細末 寒食面爲丸 淡鹽湯送下

⑥ 귤핵환 橘核丸《醫學心悟》  通治七疝
: 橘核二兩鹽酒炒 小茴香 川楝子煨去肉 桃仁去皮尖及雙仁者炒 香附醋炒 山楂子炒各一兩 廣木香 紅花各五錢 神麯三兩 打糊爲丸 每服三錢 … 㿉疝 本方內加五靈脂一兩醋炒 赤芍一兩五錢酒炒 服時用牛膝一錢五分 當歸尾三錢 煎酒送下 …

⑦ 가감시령탕 加減柴苓湯《醫學入門》 治諸疝 各肝腎 順氣消疝 治濕熱之劑.
: 柴胡 半夏 茯苓 甘草 白朮 澤瀉 豬苓 山楂 山梔 荔枝核各等分. 薑煎服.

⑧ 회향안신탕 茴香安腎湯《古今醫鑑》 (太醫院傳) 治左邊偏墜 丸如雞鴨子
: 人參一錢 白朮一錢 白茯苓去皮,一錢 澤瀉七分 茴香一錢,炒 破故紙一錢 黃柏八分 木香五分 檳榔一錢 烏藥一錢 香附一錢,童便浸經宿 砂仁一錢 玄胡索五分 升麻三分 甘草炙,五分 荔枝核一錢. 上銼一劑 飢時服.

⑨ 신소산 神消散《古今醫鑑》 (秘方) 治諸般疝氣 外腎腫脹疼痛.
: 山梔子鹽水炒黑色,一兩 益智仁炒,七錢 橘核炒,一兩 青皮香油炒,六錢 檳榔一錢 荔枝核八錢 小茴香鹽水炒,一兩. 上爲細末 每服二錢 燒酒調服. 如不用酒 以燈心草煎湯 加鹽少許 調服立效.

⑩ 십향환 十香丸《景岳全書》 治氣滯寒滯諸痛.
: 木香 沈香 澤瀉 烏藥 陳皮 丁香 小茴香 香附酒炒 荔核煨焦,各等分 皂角微火燒煙盡. 爲末 酒糊丸 彈子大者磨化服, 丸桐子大者 湯引下. 㿗疝之屬 溫酒下.

⑪ 선방향릉환 仙方香稜九《衛生寶鑑》 破痰癖 消癥塊 及冷熱積.
: 木香 丁香各五錢 京三稜切,酒浸一宿 青皮去白 枳殼麩炒 川楝子 茴香炒,各一兩 廣朮一兩切, 酒浸一宿 將三稜 廣朮用去皮巴豆三十粒,同炒,巴豆黃色,去豆不用. 上爲末 醋糊丸如桐子大 用硃砂爲衣 每服二十丸 炒生薑鹽湯下 溫酒亦得 食後 日進三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39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35-7.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미수재.


 




각주

  1. 1. 많이 먹으면 發熱하는데 꿀물을 마시면 풀린다《食用》
    2. 열매를 딸 때에 가지가 약하고 꼭지는 단단해서 칼로써 따기 때문에 荔라고 하였다 《本草綱目》
    3. 이 과일을 唐玄宗의 妃였던 楊貴妃가 특히 좋아하여, 그가 탄생한 생일날에 연주한 음악의 곡명도 荔枝香이라고 하였다.
  2. 《丹溪心法》에는 처방명이 없으나, 《校註婦人良方》에서 ‘濕勝 荔枝核’에서 ‘濕勝’을 제하고 ‘丹溪定痛散’이라 인용하였으므로 이데 따라 처방명을 붙임.
  3. 《景岳全書》는 ‘천련산(川楝散)’이란 이름으로 인용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