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청목향(靑木香) Aristolochiae Radix

청목향(靑木香) Aristolochiae Radix

강의요약. 쥐방울과(Aristolochiaceae)에 딸린 쥐방울덩굴의 뿌리를 ‘청목향(靑木香)’이라 한다. 열매는 ‘마두령(馬兜鈴), 줄기는 ‘천선등(天仙藤)’이라 한다. 
 처음 기록된 《신수본초(新修本草)》에 ‘有毒’하다고 기술되었는데, 이 독성은 현대에 들어 아리스톨로킥산(aristolochic acid)의 독성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세계 각 국의 약전에서도 삭제되었으나 북한약전7판(DPRKP)에서는 아직 남아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는 2005년에 공정서에서 삭제되었다1.

【본초명《출전》】 靑木香《新修本草》

【생약명】 Aristolochiae Radix

【이명】 馬兜鈴根 馬鈴根《肘後方》 土靑木香 獨行根《新修本草》 雲南根《本草圖經》 土木香《本草正》 靑藤香《草木便方》 蛇參根《分類草藥性》 鐵扁擔《陜西中藥志》 痧藥《江西草藥手冊》 野木香根 水木香根  白靑木香《中藥材品種論述》 天仙藤根《江蘇》

【기원】

쥐방울과(Aristolochiaceae ; 馬兜鈴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쥐방울덩굴(北馬兜鈴) Aristolochia contorta Bunge의 根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曬乾한다.

※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 – 54호(2005.09.30)에 의해 공정서에서 삭제됨

※ ChP1995에 데빌리스쥐방울덩굴(馬兜鈴) A. debilis Siebold & Zucc.의 根를 기원으로 하여 수재되었으나 ChP2005부터 삭제.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목련군 (Magnoliids ; 木蘭類植物)
      후추목 (Piperales ; 胡椒目)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 馬兜鈴科)

쥐방울덩굴(北馬兜鈴)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北馬兜鈴)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성상】

청목향(靑木香) Aristolochiae Radix

[ 靑木香 Aristolochiae Radix ]

圓柱形 혹은 扁圓柱形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고 길이는 5~15㎝, 지름 0.5~1.5㎝이다. 표면은 黃褐色 또는 灰褐色으로 엉성하고 세로주름과 鬚根의 흔적이 있다. 質은 약하여 쉽게 切斷되고, 단면은 평탄하지 않고, 皮部는 엷은 黃色이며, 木部는 넓고 白色으로 된 射線이 放射狀으로 배열되어 있고, 形成層의 環은 뚜렷하며 黃褐色이다.

【산지】

우리 나라 각지에서 자생한다.

【성분】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성분은 aristolene, aristolochic acid, allantoin, debilic acid, magnoflorine 등이다.

 

【성미】 性寒 味辛苦  有毒    【귀경】 肝胃經

【효능】 行氣(平肝)止痛 解毒消腫

【주치】 頭暈 頭痛 胸腹脹痛 癰腫疔瘡 蛇蟲咬傷

【해설】

1. 平肝止痛 (寒辛苦 入肝胃二經 行氣止痛)

: 肝胃에 氣滯로 인한 胸脇脹痛과 脘腹疼痛 등의 證에 적용

2. 解毒消腫

① 解毒辟穢 : 여름철 음식을 잘못 먹어 穢濁한 것이 內阻하여 일어나는 腹痛에 單用

② 解毒消腫(內服 or 外敷) : 毒蛇咬傷에 응용

3. 唐木香 土木香 靑木香 : 고대로부터 혼용되었음

┌ 唐木香(Asteraceae): 行氣止痛 健脾和胃 → 行氣效力强

├ 土木香(Asteraceae): 健脾和胃 行氣止痛 → 健脾效力强

└ 靑木香(Aristolochiaceae): 行氣 解毒消腫 → 解毒消腫效力强

4. 신독성 등이 있는 aristolochic acid를 함유 → 공정서에서 삭제됨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 – 54호. 2005.09.30)

5. 기원에 따른 응용

 ① 中風處方의 星香正氣散의 木香은 行氣力에 주안점을 두어 唐木香을,

 ② 소화장애에 관계되는 香連丸이나 厚朴溫中湯등은 土木香을,

 ③ 肝胃氣滯로 인한 胸脇脹痛이나 排氣에 관계되는 木香導滯湯이나 木香檳榔丸은 靑木香을 활용하였음. 다만, 靑木香은 2005년에 공정서에서 삭제되었고 유통금지된 품목이므로 현재는 唐木香이나 土木香만 사용 가능함에 유의 !

5. 쥐방울덩굴(北馬兜鈴)의 根은 靑木香, 果實은 馬兜鈴, 줄기는 天仙藤이라고 함

【용량】

4~10g. 현재는 사용 불가

【금기】

虛寒한 者에게는 愼用한다.

【배합례】 해설 4번 참조

① 香附子 川楝子 등을 配合하여 肝胃氣滯로 인한 胸脇脹痛과 脘腹疼痛에 응용

② 白芷와 配合하여 毒蛇咬傷에 內服 또는 外敷하여 응용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39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3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79-80.


 




각주

  1. 《본초학》 공통교재에 남았는 이유는 처방을 분석할 때 청목향을 적절한 약물로 대체해야 함을 학습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