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토목향(土木香) Inulae Heleni Radix

토목향(土木香) Inulae Heleni Radi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土木香《蜀本草》

【생약명】 Inulae Heleni Radix

【이명】 靑木香《本草衍義》 祁木香《河北藥材》 藏木香《中國藥典》

【기원】

국화과 (Asteraceae ; Compositae ; 菊花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목향(土木香;藏木香) Inula helenium L. 의 根으로, 霜降 후 잎이 말랐을 때 채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DPRK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초롱꽃군 (Campanulids ; 桔梗類植物) – 진정국화군 II (Euasterids II ; 眞菊花二類植物)
            국화목(Asterales ; 菊目)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科)

목향(土木香;藏木香) Inula helenium L.

[ 목향(土木香;藏木香) Inula helenium L.  ]

【성상】

토목향(土木香) Inulae Heleni Radix

[ 土木香 Inulae Heleni Radix ]

원주형 또는 원추형으로 길이 10~30㎝, 지름 1~3㎝이다. 표면은 회갈색 또는 갈색이며 주름이 많고 곁뿌리가 붙어 있는 것도 있다. 굵은 것은 세로로 쪼개져 있고, 質은 눅진눅진하거나 조금 단단하다. 단면의 皮部는 회갈색이고 木部는 회백색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조금 쓰다. 갈색이고 길이 15㎝, 지름 2㎝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산지】

우리 나라 각지에서 재배한다.

【성분】

Inulin 함유율은 44% 내외에 달하고 정유 1~2%를 함유. coumarin 성분으로 xanthotoxin, isopimpinellin, isobergapten 등이 있고, flavonoid 성분으로 rutin, quercetin 등이 있으며, 다당류로 inulin, 그리고 pec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방산으로는 tartaric acid, succinic acid 등이 있고, triterpenoid 성분으로 dammaradienyl acetate, 3-acetyl-20,24-dammardien 등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으로 alantolactone(helenin), isoalantolactone, dihydroisoalantolactone, alan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그 밖에 phenol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

【작용】

· 대장을 흥분시켜 수축력을 증가한다.
· 구충(alantolactone, isoalantolactone, dihydroisoalantolactone), 항균, 항진균(alantolactone), 중추흥분 작용을 한다.

 

【성미】 性溫 味辛苦     【귀경】 肺肝脾經

【효능】 健脾和胃 行氣止痛

【주치】 胸腹脹滿疼痛 嘔吐泄瀉 痢疾 瘧疾

【해설】

1. 健脾和胃 行氣止痛 (← 辛苦溫 散寒行氣)

① 寒凝氣滯로 인한 胸腹脹滿疼痛과 嘔吐泄瀉에 응용

② 氣滯로 인한 痢疾腹痛 裏急後重에 응용

③ 氣痛 氣滯 氣結로 인한 胃痙攣 腸痙攣 裡急後重 등에 응용

2. 芳香性健胃劑

: 滋膩重滯하는 滋補藥에 가하면 氣의 疏通을 빠르게 만들고 소화흡수를 촉진하므로 滋膩한 약물의 重滯하는 부작용을 방지

3. 土木香은 雲木香의 대용품으로 사용되었음. 단, 行氣의 작용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健脾의 효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함.

4. 唐木香(雲木香) vs 土木香 vs 靑木香

┌ 唐木香 : 行氣止痛 健脾和胃 → 行氣效力强

├ 土木香 : 健脾和胃 行氣止痛 → 健脾效力强

└ 靑木香 : 行氣 解毒消腫 → 解毒消腫效力强

【포제】

理氣藥에는 生用하고, 大腸을 實하게 할 때는 麵裹煨熟하여 사용한다.

【용량】

2~6g.

【금기】

內熱口乾과 喉乾舌降者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陳皮 肉豆蒄 生薑 등을 配合하여 胸腹間에 冷氣가 滯塞한 證에 응용

② 砂仁 厚朴 등을 配合하여 腹脹泄瀉에 응용

③ 當歸 白芍藥 山楂 등을 配合하여 痢疾腹痛에 응용

④ 십육미홍화환 十六味紅花丸《蒙藥驗方》 用於新舊肝熱 急慢性肝炎 肝區疼痛 食欲不振 黃疸 肝熱諸症
: 紅花24g 五靈脂24g 香青蘭21g 石膏18g 藍盆花118g 爐甘石制,18g 牛黃18g 黃柏皮15g 刺玫果215g 木通18g 土木香15g 巴沙嘎15g 水梔子9g 瞿麥15g 胡黃連9g 地格達39g 輕粉制,9g. 方中土木香以清巴達下熱止痛.

⑤ 최탕환 催湯丸〈本藏族驗方〉用於感冒初起 咳嗽頭痛 關節酸痛 防治流行性感冒
: 土木香膏30g 土木香20g 懸鉤子莖4去皮,心90g 木藤蓼5去皮,50g 野薑620g 訶子去核,36g 餘甘子740g 毛訶子去核20g 塊根糙蘇860g. 以上九味 除土木香膏外 其餘八味 粉碎成粗粉 過篩 混勻 用土木香膏與水制丸 幹燥 即得 水煎服 用冷水約400ml 浸泡1~2小時後 煎至約300ml 趁熱服湯, 一次1~2丸 一日3次 腎病患者愼用

⑥ 사미토목향산 四味土木香散〈蒙古族驗方〉用於瘟病初期 發冷發熱 頭痛咳嗽 咽喉腫痛 胸脅作痛
: 土木香200g 苦參去粗皮,200g 珍珠杆9去粗皮,心100g 山柰50g. 以上四味 粉碎成粗粉 過篩 混勻 即得 水煎服 一次2.5~3.6g 一日2~3次

【참고 1.】

《濟世神驗良方》에서 鵝眼風의 외용약으로 ‘以醋浸土木香即馬兜鈴根爲末敷之’을 기재한 바와 같이 淸代까지도 土木香과 靑木香의 구분이 모호하였음.

 이명에 ‘藏木香’이 있는 것처럼 新疆이나 西藏, 蒙古에서 雲木香의 대용품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함. 배합례에서 해당 지역 민족이 사용하던 처방(④~⑥) 참조.

 故강병수교수님의 말씀에 따르면, 월남때까지도 이북에서는 靑木香을 木香으로 사용하였다고 함. 한편, 중국 연변에서 1995년에 발행된 《朝藥志》에는 현재의 土木香이 木香으로 기록되어 있음. → 즉, 한반도의 민간에서는 근대까지 土木香과 靑木香이 병정에 따라 혼용되었음.

【참고 2.】

    중국 소수민족의 사용 기록 (출처 : https://baike.baidu.com/item/%E5%9C%9F%E6%9C%A8%E9%A6%99/15454956)

○ 維藥

· 卡蘭德斯 : 根主治腹脹胃痛 食少體倦 嘔吐 腹瀉 陽痿遺精 氣管炎等《維藥志》.
· 熱散衣勒特孜 : 根主治胸腹脹滿疼痛 嘔吐泄瀉 裏急後重《民族藥志二》.
· 熱散衣勒特孜 : 根治療慢性胃腸炎 消化不良及脅問神經痛.

○ 蒙藥

· 烏達巴拉一瑪奴, 瑪奴一巴達拉 : 根用於氣血不調 痰熱 胃病 慢性肝炎 胸肋作痛 蛔蟲病《蒙藥》.
· 瑪奴 : 治“巴達幹”熱 感冒 “寶日”病 消化不良 “赫依”與血相爭 虛熱 血刺痛症 “赫依”刺痛症 頭痛《蒙植藥志》.
· 瑪奴 : 根主治熱感冒 食滯腹脹 胃潰瘍 胸肋作痛《民族藥志二》.

○ 藏藥

· 瑪奴 : 根治風熱症 血熱症《中國藏藥》.

○ 哈薩克藥

· 哈拉宴得孜 : 根治療頭痛健忘 胸悶咳嗽 毒蛇咬傷 流產先兆.

○ 朝藥

· 木香 : 根用於脾虛所致的不思飲食 消化不良 食後倒飽 氣痰 中氣 上氣 氣逆 氣痛等症《朝藥志》.

○ 景頗藥

· nu—inam : 治慢性胃炎 胃功能紊亂 慢性肝炎《德宏藥錄》.

○ 阿昌藥

· 們什郎兒 : 功用同景頗族《德宏藥錄》.

○ 德昂藥

· 土木香 : 功用同景頗族《德宏藥錄》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01-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50-2.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475-6.


 




각주

  1. 솔체꽃 Scabiosa comosa Fisch. ex Roem. & Schult.의 꽃차례 또는 지상부
  2. 생열귀나무(山刺玫) Rosa davurica Pall.의 열매
  3. =當藥. 자주쓴풀 Swertia pseudochinensis H.Hara의 전초
  4. 산딸기속(Rubus) 식물의 줄기
  5. Fallopia aubertii (L. Henry) Holub의 줄기 또는 뿌리
  6. 생강
  7. 암라(인디언구스베리) Phyllanthus emblica L.의 열매
  8. Phlomoides tuberosa (L.) Moench
  9. Rubus idaeus subsp. strigosus (Michx.) Foc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