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8장 이기약(理氣藥)

제8장 이기약(理氣藥)

1. 정의

  : 氣機를 疏通시키고 氣滯를 消除하는 효능이 있는 약물을  理氣藥이라고 하고, 理氣藥 중 偏性이 상대적으로 강한 약물을 破氣藥이라고 한다.

2. 적용

  : 대부분은 藥性이 辛溫하고 芳香이 있으며 주로 氣滯證에 사용

3. 분류

① 行氣理脾(脾) : 脾胃의 氣滯로 인한 脘腹脹悶 痞滿疼痛 惡心嘔吐 噯氣 便秘 혹은 泄瀉하되 不暢한 등의 證에 응용

                      ex. 陳皮 木香 枳實등

② 舒肝解鬱(肝) : 肝氣鬱滯로 인한 脇肋脹痛 脘悶呑酸 抑鬱不解 月經不調 등 證에 응용

                     ex. 靑皮 香附子 橘核등

③ 降氣平喘(肺) : 肺氣壅滯로 인한 胸悶疼痛 咳嗽 氣喘 등 證에 응용

                     ex. 沈香 등

④ 기타 : 일부 약물은 健胃祛痰 또는 散結의 효능을 지님

4. 배오 : 病情을 정확히 살펴 적절한 약물을 배합하여 사용

① 脾胃氣滯로 濕熱이 停留하여 困脾證을 겸할 때 + 淸熱燥濕藥

② 寒濕困脾證을 겸할 때 + 芳香化濕藥

③ 飮食積滯를 겸할 때 + 消食藥

④ 脾胃虛弱을 겸할 때 + 健脾藥

⑤ 肝鬱氣滯의 臨床證과 合倂證은 복잡하므로 구체적인 病情에 근거하여 養肝, 柔肝, 止痛, 健脾 및 活血調經 등의 약물을 病情에 부합되도록 참작하여 配伍하여 사용

⑥ 肺氣壅滯에 痰飮을 겸할 때 + 祛痰化飮藥을 반드시 配伍

5. 주의사항

① 대부분 그 藥性이 辛燥하여 耗氣傷陰하기 쉬우므로 氣虛者와 陰虧者는 사용을 삼가야 한다.

② 휘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약물이 많으므로 오래 달이지 않는 것이 좋다.

6. 대표약물

陳 皮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 Citri Reticulatae Exocarpium et Mesocarpium )

靑 皮 Citri Reticulatae Pericarpium Immaturus
              ( Citri Reticulatae Exocarpium et Mesocarpium Immaturus )

枳 殼 Aurantii Pericarpium Immaturus
               ( Citri Aurantii Exocarpium et Mesocarpium Immaturus )

枳 實 Citri Trifoliatae Fructus Immaturus

雲木香 Aucklandiae Radix

土木香 Inulae Heleni Radix

靑木香 Aristolochiae Radix

香附子 Cyperi Rhizoma

烏 藥 Linderae Radix

沈 香 Aquilariae Lignum

川楝子 Meliae Fructus

荔枝核 Litchi Semen

薤 白 Allii Macrostemi Bulbus

檀 香 Santali Duramen

柿 蒂 Kaki Calyx

玫瑰花 Rosae Rugosae Flos

大腹皮 Arecae Pericarpium

甘松香 Nardostachyos Radix et Rhizoma

 

【참고】

         ┌ 氣虛(補氣) ┌ 脾氣虛 : 少氣 少食 無味 精神倦怠

○ 氣 ┤                    └ 肺氣虛 : 短氣 少氣

          ├ 氣滯(理氣) ┌ 肝氣滯(肝氣鬱結) : 七情鬱結 胸脇脹痛 疝痛 乳房脹痛

          │                   │                                  肝失疏泄 →  疏肝解鬱

          │                   ├ 脾氣滯(脾氣鬱結) : 飮食失節 脹滿 惡心嘔吐 噯氣 泄瀉

          │                   │                                 脾惡濕 脾主思慮 → 行氣理脾

          │                   └ 肺氣滯(肺氣鬱結) : 寒溫失常 咳嗽 寒熱交錯

          │                                                   肺主氣 肺主肅降 → 降氣平喘

          ├ 氣逆(降氣)

          └ 氣陷(昇氣)

 

○ 氣滯 : 初卽滿, 中卽脹, 甚卽痛 → 順氣

      ┌ 輕하면 滿하고(胸腹部 滿悶)

      ├ 약간 重하면 脹하고(胸腹部 脹滿)

      └ 더욱 重하면 痛한다(胸腹部 疼痛)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38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0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468-9,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