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포라메디카닷넷

대복피(大腹皮) Arecae Pericarpium

야자나무과(Arecaceae)에 딸린 빈랑나무(檳榔)의 열매껍질을 대복피(大腹皮)라 한다. 삼초의 기체를 이수하여 풀어줄 목적으로 다용한다. 주로 기체가 심하여 발생한 기침, 복창, 부종에 응용하였다. 후대로 갈수록 기침과 같은 상초의 증상보다는 소화기계에 사용이 치중되었다. 효능이 완만하여 임신 말기의 부종을 해소하거나 축태하기 위해 사용한 예가 많다.

감송향(甘松香) Nardostachyos Radix et Rhizoma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한 ‘甘松’의 뿌리와 땅속줄기를 ‘감송향(甘松香)’이라 하여 약용한다.   다만, 8세기 즈음에 기록되어 연원이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활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는 한국 사람이 선호하지 않을 특유의 고약한 향과,  편성이 완만한 탓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처방례를 볼 때 상복부의 기체동통에 있어서 만큼은 비교적 괜찮게 지통(止痛)한다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활용함이 좋다.

계피(桂皮) 육계(肉桂) Cinnamomi Cortex

강의요약. 녹나무과(Lauraceae)에 딸린 ‘육계나무’의 나무껍질을 ‘계피(桂皮)’라 한다. 두꺼운 것이 좋다는 인식에 유래하여 ‘육계(肉桂)’라고도 했는데, 그 중 관청에 납품하던 것을 ‘관계(官桂)’라고 했다. 현재는 두께보다는 정유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품질을 판별한다. 또한, 비약용부위인 코르크층을 벗겨낸 것을 ‘계심(桂心)’이라 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한편, 어린 가지는 ‘계지(桂枝)’라고 달리 구분하여 쓴다.

 계피는 계지에 비해 편성이 강하다. 그러므로 계지의 ‘온경통맥(溫經通脈)’ 이나 ‘조양화기(助陽化氣)’이라는 효능이 계피에서는 온보(溫補)의 효능을 강조하는 ‘보원양(補元陽) 난비위(暖脾胃) 제냉적(除冷積) 통혈맥(通血脈)’이라는 표현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계지(桂枝) Cinnamomi Ramulus

녹나무과(Lauraceae)에 딸린 ‘육계(肉桂)’의 어린 가지를 ‘계지(桂枝)’라 한다. 한편, 나무껍질은 ‘계피(桂皮)’라고 달리 구분하여 쓴다. 
 계지(桂枝)의 응용은 다음과 같이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위의 여섯 가지 응용에 기초하여 계지의 효능을 두 글자로 요약하면 ‘조양(助陽)’이라 할 수 있다. 계지는 말초혈관의 확장을 통해 땀의 배설을 원활케 하거나, 혈액 순환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결과적으로 심장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간접적인 강심[efn_note]물론, 특정 성분에 의해 강심 작용이 나타난다고는 하지만, 그 성분이 다른 식물 기원 약재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는 점에서 특정 성분의 효과로만 보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efn_note]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즉, 강하게 강심작용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그 효능을 나타내므로 ‘양기(陽氣)를 돕는다.’는 말이 적절하다. 그러므로 계지의 효능은 조양(助陽)하여 발한(發汗) 및 온경(溫經), 화기(化氣)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삼차신경통과 위풍증(胃風證), 그 두 번째 의안.

 첫 번째 의안(醫案)에서는 두면부의 울혈이 원인인 삼차신경통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대상포진바이러스가 원인인 삼차신경통의 사례입니다.
 앞의 의안에서 언급하였듯 한의학에서는 삼차신경통을 ‘위풍증(胃風證)’으로 분류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풍열독기(風熱毒氣)로 인한 위풍증 증상을 ‘어떤 사람이 코와 관자놀이가 아프거나 마비되어 감각이 없기도 하며, 귀밑머리와 광대뼈부터 입술과 잇몸까지 붓고 아파서 입을 벌릴 수 없고, 이마와 광대뼈에 늘 풀을 발라 놓은 것처럼 당기고 손이 닿기만 해도 아파한다.’라고 이전 의서의 상세한 묘사를 인용해 두었습니다. 여기에서의 풍열독기(風熱毒氣)란 운동 또는 감각기능 이상이 있다는 점에서 풍(風), 화끈거리거나 붉어지는 등의 열적인 증상이 있으므로 열(熱), 그 증상이 이루 말할 수 없이 심하다는 의미에서 독(毒), 어떠한 기운이 영향을 끼쳤다는 의미에서 기(氣)라는 의미입니다. 단, ‘어떠한 기운’은 외부와 내부,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즉, 한의학에서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것이 아니더라도 통증이 극심하다면 풍열독기(風熱毒氣)라 칭하기도 합니다. 치료의 접근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삼차신경통과 위풍증(胃風證), 그 첫 번째 의안.

 삼차신경병증(trigeminal neuralgia)의 주증상이 통증일 경우엔 ‘세상에서 첫째가는 통증(天下第一痛)’이나 ‘자살하고 싶은 만큼 괴로운 병(suicide disease)’이라고도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위풍증(胃風證)’으로 분류합니다. 여기에서의 위(胃)는 밥통이 아니라 얼굴에 분포하는 경근(經筋) 중 가장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양명경근(陽明經筋)을 의미하며, 이 부위에 감각/운동기능에 이상이 생겼다는 의미로 풍(風)이라 합니다. 양의학에서는 머리를 다쳤을 때 신경이 손상되거나, 인근의 혈관이나 종양 등이 신경을 압박하거나, 바이러스가 신경절을 침범하여 발생한다고 봅니다. 한의학에서도 유사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얼굴의 부종(面腫)과 풍열독기(風熱毒氣)와 같은 감염 등을 위풍증(胃風證)의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이러한 위풍증(胃風證)의 두 사례를 차례로 나누어 싣습니다.
 첫 번째 의안(醫案)은 심하지 않은 삼차신경통을 오래 앓았던 분의 한방치료 결과입니다. 환자와 원장님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