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준하축수약

대극(大戟) Euphorbiae Pekinensis Radix

강의요약. 대극과(Euphorbiaceae)에 딸린 버들옻의 뿌리를 ‘대극(大戟)’이라 한다.   한의학 초창기부터 각종 부종과 그로 인한 이차적인 병증에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대표적인 준하축수약인 감수(甘遂)의 응용과 별반 다르지 않다. 후대의 의가 또한 대극의 주효능을 ‘설수(泄水)’ 또는 ‘수종(水腫)을 삭인다.’, ‘적수(積水)로 붓고 그득한 것을…

감수(甘遂) Euphorbiae Kansui Radix

강의요약. 대극과(Euphorbiaceae)에 딸린 Euphorbia kansui S.L.Liou ex S.B.Ho의 뿌리껍질을 제거한 덩이뿌리를 ‘감수(甘遂)’라 한다. 여타 대극과 기원의 본초와 마찬가지로 유독하므로 식품으로는 적절치 않으며 독성주의한약재로 취급된다.   한의학 초창기에 뱃속에 음식이나 수분이 적체되어 나타나는 증상이 제시되었으나 주요한 응용 범위를 특정하기에는 다소 모호한…

원화(芫花) Genkwa Flos

강의요약. 팥꽃나무과(Thymelaeaceae)에 딸린 팥꽃나무의 꽃봉오리(花蕾)를 ‘원화(芫花)’라 한다. ‘팥’을 연상시킨다고 하였지만 유독하여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3-6세기부터 주로 수종(水種)에 사용하였는데, 흉복강의 과다한 삼출물로 인한 기침이 주요한 응용 증상이었다. 그 뒤로 인체 외내부의 심한 부종으로 응용 범위가 다소 넓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견우자(牽牛子) Ipomoeae Semen

강의요약. 메꽃과(Convolvulaceae)에 딸린 나팔꽃 또는 둥근잎나팔꽃의 잘 익은 씨를 견우자(牽牛子)라 한다.   5세기 즈음 ‘기(氣)를 내리고 다리까지 가득 찬 수종(水腫)을 물리치며 풍독(風毒)을 없애고 소변이 잘 나가게 한다.’는 기록이 등장한 이래로 심한 부종뿐만 아니라, 각기, 장내 적체, 낙태, 변비 등으로 그…

상륙(商陸) Phytolaccae Radix

강의요약.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자리공 또는 미국자리공의 뿌리를 ‘상륙(商陸)’이라 한다.  한의학 초창기부터 근대까지 극심한 수종(水種)에 사용하여 축수(逐水)의 효능이 있는 본초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지금에 이르러서는 한방의료기관에서의 활용이 드문 편이다. 상륙은 대극(大戟)이나 감수(甘遂), 원화(芫花)와 같은 본초에 비해 효력이 약하므로 효과를…

파두(巴豆) Crotonis Semen

강의요약. 동서양을 막론하고 파두(巴豆)는 대극과에 딸린 식물을 기원으로 하는 본초 중에서도 아주 강력한 사하력(瀉下力)을 지닌 약물이자 유독한 약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 초기부터 사하력을 이용하여 복강의 각종 적체로 인한 질환에 사용 하였는데, 특히 대장에 심하게 적체된 대변을 통하게 하는데 다용되었다. 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