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활혈거어약

제12장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어떠한 원인에 의해 혈행이 방해 받는 상태를 어체(瘀滯)라 하고, 어체로 인해 특정한 증상을 나타내면 어혈(瘀血)이라 규정한다.
 피부에 윤택이 없게 되고, 모자라는 게 아닌 유통 불량의 문제이므로 입 마름을 약간 느끼되 정작 물을 많이 마시려 하지 않고, 어혈이 많이 생성되어 형상을 이루게 되면 부풀어 주위 신경을 눌러 아프게 되며, 맥관이 약한 부위로 새어나와 출혈을 일으키기도 하는 등이 어혈(瘀血)의 주요 증상으로 분류되었다. 현대 한의학에서는 대사기능의 이상으로 발생한 각종 심혈관계 질환 중 혈행의 순환이 문제가 될 때 어혈(瘀血)을 주요 원인이자 결과로 지목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혈행을 촉진하거나 어체를 삭이거나 풀어헤치는 작용을 하는 약물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으로 분류한다.

제1절 활혈행기약(活血行氣藥)

다양한 원인으로 특정 부분에 기운이 원활치 않으면 기운을 좇아 다니던 음혈이 정체될 수 있다. 기운을 원활케 함과 동시에 음혈의 정체를 풀어 줄 수 있는 약물군을 활혈행기약(活血行氣藥)이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문헌에 따라 파기약(破氣藥)으로 분류하는 약물도 포함된다. 행기(行氣)를 통한 활혈(活血)의 효능을 나타내므로 배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용하는 범위가 비교적 뚜렷하여 부위별 인경약으로서의 가치도 매우 높다.

천궁(川芎) Ligustici Chuanxiong seu Officinalis Rhizoma

강의요약. 천궁 또는 중국천궁의 뿌리줄기를 ‘궁궁(芎藭)’ 또는 ‘천궁(川芎)’이라 하여 약용한다. 《동의보감》 처방을 기준으로 인삼, 감초, 백출, 당귀, 반하 등과 마찬가지로 500회 이상 사용되었듯 응용빈도가 아주 높으며, 대표적인 ‘혈중지기약(血中之氣藥也)’ 또는 ‘기중지혈약(氣中之血藥)’으로 표현되는 본초이기도 하다.   2-3세기의 ‘풍(風)이 뇌(腦)에 들어가 머리가 아픈…

울금(鬱金) Curcumae Radix

강의요약. 생강과(Zingiberaceae)에 딸린 온울금(溫鬱金) 등의 덩이뿌리를 ‘울금(鬱金)’이라 하여 약용한다.   7세기 전문본초서에 ‘혈적(血積)을 헤아리고 기(氣)를 내리며, 살을 돋게 하고, 나쁜 피를 깨트리며, 혈림(血淋)과 피오줌 쇠붙이에 상한 데에 쓴다.’고 하여 첫 기록부터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으로서의 면모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11세기까지도 ‘옛 처방에는…

강황(薑黃) Curcumae Longae Rhizoma

강의요약. 생강과(Zingiberaceae)에 딸린 강황(Turmeric)의 땅속줄기를 ‘강황(薑黃)’이라 하여 약용한다. 겉은 생강을 닮았는데 속은 노란색이라 하여 이름 붙었다.   7세기 기록이 있지만, 이 기록에서 강황(薑黃) 및 울금(鬱金), 아출(莪朮)의 구분이 명확치 않음을 지적한 내용이 8~11세기에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그 쓰임에 있어서는 10세기의 ‘촉인이 기창(氣脹)을 다스릴…

아출(莪朮) Curcumae Rhizoma

강의요약. 생강과(Zingiberaceae)에 딸린 봉아출의 땅속줄기를 ‘아출(莪朮)’ 또는 ‘봉아출(蓬莪朮)’이라고 한다.  8세기 문헌에는 이름만 있다가 10세기에 흉복강의 통증과 소화기계 증상 등에 사용하였다고 기록되었다. 11세기에는 ‘옛날 처방에 사용례가 없다. 지금의 의사들이 적취제기(積聚諸氣)의 가장 요긴한 약으로 쓰며 삼릉(三稜)과 같이 쓰면 좋다.’는 말과 ‘모든 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