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장 개규약(開竅藥)
옛사람은 갑자기 졸도하여 정신을 잃는 현상을 두고 정신활동과 관련된 기혈이 움직이는 통로가 막혀서 그런 것이라 여겼다. 이렇게 정신을 잃거나 혼미한 상태를 개선하는 약물을 막힌 통로를 열어줬다는 의미에서 ‘개규약’이라 분류하였다. 또한 ‘마음’과 ‘생각’ 등의 정신활동은 심장이 주로 담당한다고 간주하였는데, 이는 뇌는 주담당인 심장의 감독 아래 실행하는 실무자 역할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하기에 주요한 통로를 뇌가 아닌 ‘심규(心竅)’로 간주하였다. ‘규(竅)’에 대해선 본문 주석의 원문을 참조한다.
사향(麝香) Moschus
‘사향’은 수컷의 사향노루 사향선의 분비물이 굳은 알갱이로 예로부터 귀중한 약물로 취급하였다. 한반도에서도 자생하였으나 일제시대의 남획으로 인해 사라졌다. 인체의 기혈을 막론한 각종 ‘체’에 개규하는 효능이 뛰어나 응급 처방에 빠지지 않는 약물이었다. 효능의 특성을 살려 보익하고자 할 때 보익에 방해되는 기혈체를 없애고자 응용하는 경우도 많다. 아주 적은 양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체취를 감추는 효과로 인해 동양권에서는 향수처럼 사용되기도 하였다.
빙편(冰片) Borneolum
‘빙편’은 현대인에게는 파스냄새로 친숙한 약물이다. 용뇌향수를 증류추출하여 만들던 빙편은 합성한 것이 등장하기 전에는 사향과 맞먹는 고가의 약물이었다. 빙편 중 품질이 좋았던 것은 ‘용뇌’ 또는 ‘매편’이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궁중에서는 몸에서 나는 냄새를 가리기 위해 사향이나 빙편을 주머니에 소량 담아서 지니기도 하였다. 고가였던만큼 귀중한 약물로 구성된 처방에 응용하는 예가 대부분이었다. 한방에서의 쓰임새는 현대에 밝혀진 약리작용에 기인하였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석창포(石菖蒲) Acori Graminei Rhizoma
창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향료나 세제, 외용제로도 사용하였다. 여러가지의 창포 중 현재 약용하는 것은 돌틈에서 잘 자란다 하여 ‘석창포’라 이름 붙은 것이다. 주로 습탁이 저체되어 정신 기능이 저하된 상태에 응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같은 원인으로 소화장애가 있을 경우에도 응용하였다. 이뇨 작용도 겸하고 있어 관련 질환에도 사용하였다.
소합향(蘇合香) Liquidambaris Storax
‘소합향’은 고대 중국으로 비단길을 통해 터키로부터 유입된 대표적인 약물이다. 서양에서는 성경에 분향료의 재료(소합향, 나감향, 풍자향, 유향, 소금)로 기록되어 있어 교회에서 사용한 예가 많으며 때로는 거담제나 진정제로 사용되었다. 동양에서는 분향료뿐만 아니라 주요한 개규약(開竅藥)으로 취급되어 복용약으로도 응용하였다.
안식향(安息香) Benzoinum
‘안식향’은 고대 중국에서 해상 무역을 통해 본격적으로 전해진 약물이다. 바다를 건너 온 귀한 약물이자 향료였기 때문에 기원과 그 진위 논란이 끊이질 않아 응용에 어려움을 겪은 듯 사용례가 그리 많지는 않다. 주로 고가의 응급 처방에 정신을 깨울 목적으로 응용하였다. 또한 안식향산의 방부 효과를 응용한 예가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