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년도:] 2019년

본초총론 본초학의 정의

‘본초(本草)’란?

한약과 생약, 약용작물 등에 관한 현행 규정 및 용어 정의 – 본초(本草 ; Materia Medica), 한약 (韓藥 ; Korean Medicinal Material), 본초학(本草學 ; Herbology), 민간약 (民間藥 ; Traditional Medicine), 생약 (生藥 ; Crude Drug), 생약학 (生藥學 ; Pharmacognosy) 등의 비교

본초총론 본초학의 정의

‘공정서’란?

공정서의 정의, 약전의 정의, 공정서와 약전의 차이, 대한민국의 주요한 한약 관련 공정서, 국내외 공정서의 정식 약어 및 명칭 일람표, 공정서의 중요성

젊은 사람도 신경통이? 비증(痺證)과 어혈자통(瘀血刺痛)

한방에서의 비증(痺證)과 어혈자통(瘀血刺痛)의 일부가 신경통과 유사한 면이 많다. 여기에서는 그 중에서 젊은 사람에게도 흔한 세 가지 유형을 소개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신경이 압박받아 생기는 통증에 ‘진통제 처방’과 같은 동일한 치료법을 행하지는 않는다. 신경을 압박하는 원인과 그 위치, 통증의 양상에 따라 그 질환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처방도 술기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숨차면 천식인가요? 단기(短氣)와 소기(少氣), 폐창(肺脹)

비정상적으로 숨 차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질병은 여러 가지이나 그 증상 자체의 양상은 비교적 단순하다. 한방에서는 폐(肺) 자체의 이상으로 숨 차는 증상을 단기(短氣)와 소기(少氣), 폐창(肺脹)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서는 숨 차는 증상의 원인 질환이 아닌, 증상의 양상 세 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상산(常山) Dichroae Radix, etc.

인류를 고달프게 하는 학질(瘧疾)과 같은 질병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은 과거에도 마찬가지였다. 근대 초까지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였고 근본 치료가 어려웠기에 고대로부터 그 주요 증상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그 결과 그나마 효과가 있었던 약물이 의서에 기록되었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약물이 ‘常山’이다. 그러나 해당 약물이 생산되지 않았던 지역에서는 학질의 증상 개선에 조금이라도 효과가 있었던 약재는 모두 ‘常山’이라는 이름으로 편입되기도 하였다. 근대 말에 분류학이 도입되어 기원 식물이 확정된 후에도 이 현상은 지속되어 현대의 유통 시장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여기에서는 과거 常山으로 기록된 다양한 약재를 일별하고, 그 중 국내 시장에서 오랫동안 유통된 대표적인 위품 1개의 효능 및 형태를 비교하였다.

행인(杏仁) Armeniacae Semen, etc.

중국 북서부가 원산지로 추정되는 살구나무가 북방의 실크로드에 번성했던 고대국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듯, 한의학에서 杏仁의 사용 연원 또한 깊다. 이러한 이유로 기원 식물에 따라 다양한 杏仁이 존재하였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크게 苦杏仁과 甛杏仁으로 나뉘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苦杏仁과 甛杏仁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고문헌과 현재 유통시장에서 지칭하는 바가 각기 달라 혼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행인(杏仁)이 化痰止咳平喘藥으로 자리를 잡는 과정을 간략히 고찰하고 다양한 행인(杏仁)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