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월:] 2019년 06월

우슬(牛膝) Achyranthis seu Cyathulae Radix, etc.

  우슬(牛膝)은 줄기의 마디가 소(牛)의 무릎(膝)과 같이 부풀어 오른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실은 (털)쇠무릎이라는 식물의 줄기마디에 쇠무릎혹파리라는 곤충의 애벌레의 집(충영)이 생겨 부풀어 오른 것인데 옛사람은 이를 튼튼하다고 오인한 듯하다.
  그 유래가 어떠하던 한방에서는 대표적인 活血祛瘀藥으로 사용하며 술에 쪄서 强筋骨의 목적으로도 응용하는 약물이다. 민간에서도 담금주의 재료로도 활용하는 등 그 쓰임새가 다양하여 예로부터 여러 우슬이 유통되었다. 여기에서는 국내외에 유통되는 牛膝을 위주로 유래와 효능 차이, 감별 요점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천궁(川芎) Ligustici Chuanxiong seu Officinalis Rhizoma, etc.

천궁(川芎)은 《神農本草經》에 수재된 본초로 ‘血中氣藥’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活血祛瘀藥이다.
고대에는 산지에 따라 다양한 식물과 약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나, 지금은 대체로 2 종의 식물을 기원으로 삼고 이에 따라 생산 유통한다. 다만, 국가에 따라 2종을 모두 또는 단 하나만 인정하고 있는 등의 약간의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는 국내에 유통되는 토천궁(土川芎)과 당천궁(唐川芎), 일천궁(日川芎)을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창포(菖蒲) Acori Rhizoma, etc.

석창포(石菖蒲)는 대표적인 開竅藥으로 化痰開竅․化濕行氣․祛風利痺․消腫止痛을 목적으로 응용하는 약물이다. 아울러 동서양을 막론하고 독특한 향을 이용하는 각종 향료의 재료로, 항박테리아의 효능을 이용한 세제나 향료로도 사용하였다. 이러한 효능을 이용해서 단오에 멱을 감을 때 사용하기도 하였다.
한방뿐만 아니라 민간에도 널리 사용되어 온 터라 ‘창포(菖蒲)’로 이름 붙은 약물이나 재료가 다양하다. 그 중 약물로 유통되는 석창포(石菖蒲)와 장창포(藏菖蒲), 구절창포(九節菖蒲)를 다루었다.

옆구리 아픈 40대 남자들. 협통(脇痛)

«동의보감»에서는 옆구리통증(脇痛)을 크게 기울협통(氣鬱脇痛)과 사혈협통(死血脇痛), 담음협통(痰飮脇痛), 식적협통(食積脇痛), 풍한협통(風寒脇痛)의 5개 협통과, 이에 더하여 건협통(乾脇痛)을 말한다. 그 외에 콩팥(腎)의 문제로 옆구리가 아픈 것(腎邪上薄爲脇痛)도 언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협통을 임상례로 설명한다.

귀가 저 혼자 울어요. 이명(耳鳴)과 이롱(耳聾), 궐롱(厥聾)

≪東醫寶鑑≫에서 귀울림(耳鳴)의 원인을 영양부족(胃中空則宗脈虛), 기운 저하(上氣不足), 수해 부족(髓海不足), 기운이 위로 몰린 것(氣逆) 등이라 말한 초창기 한의학 시대의 기록을 전하고, 연이어 담화(痰火), 신허(腎虛), 외사(外邪) 침습을 주원인으로 제시하였다. 그 외에 귀먹먹함(耳聾)이 심해져 청력이 소실되고 어지러움(眩暈 ; 눈앞이 아찔하며 도는 듯함)이 주증상인 궐롱(厥聾)을 언급하고 있다. 이 글은 현대인에게 자주 나타나는 담화이명(痰火耳鳴), 신허이명(腎虛耳鳴), 궐롱(厥聾)의 임상 증상을 설명하였다.

콧물을 달고 사는 아이. 비연(鼻淵)과 비체(鼻涕)

비연(鼻淵), 비체(鼻涕), 허실감모(虛實感冒) 등의 한방질환과 비염을 종합적으로 분류하고 그 치료의 대강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