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월:] 2019년 07월

본초총론 본초학의 정의

‘본초(本草)’란?

한약과 생약, 약용작물 등에 관한 현행 규정 및 용어 정의 – 본초(本草 ; Materia Medica), 한약 (韓藥 ; Korean Medicinal Material), 본초학(本草學 ; Herbology), 민간약 (民間藥 ; Traditional Medicine), 생약 (生藥 ; Crude Drug), 생약학 (生藥學 ; Pharmacognosy) 등의 비교

본초총론 본초학의 정의

‘공정서’란?

공정서의 정의, 약전의 정의, 공정서와 약전의 차이, 대한민국의 주요한 한약 관련 공정서, 국내외 공정서의 정식 약어 및 명칭 일람표, 공정서의 중요성

입이 돌아갔어요. 구안와사(口眼喎斜)

일상적으로 접하는 한의학 용어가 꽤 많다. 구안와사(口眼喎斜)도 급작스런 안면근육마비를 지칭하는 한의학 용어로 크게 중경락(中經絡)과 중혈맥(中血脉)으로 나뉘는데, 이는 현재의 말초성 및 중추성 안면신경마비와 대응된다. 이 글에서는 중풍의 주증상 또는 후유증으로 나타나는 중혈맥(中血脉)으로 인한 것을 제외하고 중경락(中經絡)으로 인한 구안와사(口眼喎斜)의 세가지 임상예를 설명하였다.

소합향(蘇合香) Liquidambaris Storax, etc.

소합향(蘇合香)은 서양에서는 성경에 분향료의 재료(소합향, 나감향, 풍자향, 유향, 소금)로 기록되어 있어 교회에서 사용한 예가 많으며 때로는 거담제나 진정제로 사용되었다. 동양에서는 분향료뿐만 아니라 주요한 개규약(開竅藥)으로 취급되어 복용약으로도 응용하였다. 그러나 소합향(蘇合香)은 수지(樹脂)를 약용으로 하는 탓에 그 품질의 판별 또한 어렵기도 하거니와, 유입 경로가 다양하였고 고체와 액체의 두 가지가 기록되어 현재에도 정품 논란이 끊이질 않는 한약재이다.

여기에서는 소합향의 형태 (고체소합향 또는 유동소합향)의 연원을 살펴 어느 것이 기원에 합당한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품질, 위품 등을 논하고자 한다.

안식향(安息香) Benzoinum, etc.

수지(樹脂 ; resin)가 약용부위인 한약재는 형태만으로 감별이 어렵고 대부분 가격이 높기 때문에 고대로부터 논란의 중심에 있다. 특히, 안식향(安息香)과 같은 한약재는 예로부터 중국이나 한반도 가릴 것 없이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품질을 판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여기에서는 고문헌의 기재 내용에 더하여 안식향의 생산지를 방문하여 취득한 유통현황 정보를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손 저리면 혈액 순환 장애 ? 비증(痺證)과 마목(麻木)

손 저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그 원인 중에는 혈액순환장애도 있지만 신경이 압박을 받아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한의학에서는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감각이상이나 저림증을 대체로 마목(麻木)의 범주에 넣고, 신경에 문제가 생겨 나타나는 저림증은 대체로 비증(痺證)의 범주에 넣는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인에게 나타나는 손저림증 중 가장 흔한 세가지를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