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활혈거어약

건칠(乾漆) Toxicodendri Resina, etc.

  한의학에서는 유독한 식물을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그 독성을 약화시키거나 제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정한 가공법을 적용하여 약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것이 옻나무의 수지인 건칠(乾漆)이다. 최근에는 한의학에서 유래한 가공법이 민간에 널리 알려져 ‘옻독 오르지 않는 옻’으로 또는, 그 가공물이 유통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옻나무와 관련된 한약재와 그 가공법의 유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인(桃仁) Persicae Semen, etc.

고대로부터 복사나무(복숭아나무)는 다양한 부위를 약용하는 주요한 과실수이다. 꽃(桃花), 가을에 떨어지지 않고 달려있는 묵은 열매(桃梟), 열매의 까칠한 털(桃毛), 종자(桃仁), 줄기껍질(莖白皮), 잎(桃葉), 수지(桃膠) 등이 다양한 목적으로 쓰였는데 그 중 현대 한의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부위는 종자이다. 이 글은 도인(桃仁)과 기타 위품에 대해 서술하였다.

울금(鬱金), 강황(薑黃), 아출(莪朮) Curcumae Radix seu Rhizoma

  한의학에서는 식물의 특정 부위에 따라 별도의 본초로 분류하거나, 같은 속(屬)에 딸린 식물일지라도 종(種)에 따라 다른 효능 분류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다. ‘뽕나무’의 잎은 상엽(桑葉), 가지는 상지(桑枝),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은 상백피(桑白皮), 열매는 상심자(桑椹子) 등으로 구분하며, Gentiana속에 딸린 식물의 뿌리라도 용담(龍膽)과 진교(秦艽)로 달리 분류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강황(薑黃), 울금(鬱金), 아출(莪朮)은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예에 모두 해당하고, 더욱이 산지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 등 최근까지도 약재 유통 및 사용에 상당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약재이다. 심지어 국내 생산량이 증가함과 더불어 건강기능식품 등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각기 다른 약용부위가 혼입되거나, 강황을 울금으로 판매하는 등의 혼란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혼란이 한약재 유통시장에까지 전이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 세 약물을 고찰하고 사용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향(乳香) Olibanum, etc.

  동서양을 막론하고 널리 쓰였던 수지(樹脂;resin)류 한약재라면 유향(乳香)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라는 특성상 진품을 감별하기 어렵고 그 품질 판별도 어려운 편이라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위품이 존재한다. 최근에도 국내에 건강기능식품으로 유행하는 ‘보스웰리아(Boswellia)’와 같이 그 이름과는 달리 유향나무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식물의 수지가 대다수 유통되고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는 유향의 연원을 살펴보고 공정서에 수재된 유향과 민간에 유통되는 위품, 형태 특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슬(牛膝) Achyranthis seu Cyathulae Radix, etc.

  우슬(牛膝)은 줄기의 마디가 소(牛)의 무릎(膝)과 같이 부풀어 오른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실은 (털)쇠무릎이라는 식물의 줄기마디에 쇠무릎혹파리라는 곤충의 애벌레의 집(충영)이 생겨 부풀어 오른 것인데 옛사람은 이를 튼튼하다고 오인한 듯하다.
  그 유래가 어떠하던 한방에서는 대표적인 活血祛瘀藥으로 사용하며 술에 쪄서 强筋骨의 목적으로도 응용하는 약물이다. 민간에서도 담금주의 재료로도 활용하는 등 그 쓰임새가 다양하여 예로부터 여러 우슬이 유통되었다. 여기에서는 국내외에 유통되는 牛膝을 위주로 유래와 효능 차이, 감별 요점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천궁(川芎) Ligustici Chuanxiong seu Officinalis Rhizoma, etc.

천궁(川芎)은 《神農本草經》에 수재된 본초로 ‘血中氣藥’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活血祛瘀藥이다.
고대에는 산지에 따라 다양한 식물과 약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나, 지금은 대체로 2 종의 식물을 기원으로 삼고 이에 따라 생산 유통한다. 다만, 국가에 따라 2종을 모두 또는 단 하나만 인정하고 있는 등의 약간의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는 국내에 유통되는 토천궁(土川芎)과 당천궁(唐川芎), 일천궁(日川芎)을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