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우담남성(牛膽南星)은 언제부터 쓰였고 어디에 쓰였을까?

우담남성(牛膽南星)은 한방소아과에서 소아경간(小兒驚癎)에 다용하는 포룡원(抱龍圓) 계통의 처방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약물로 천남성(天南星)과 소쓸개즙(牛膽)을 섞어 발효시킨 것이다. 우담남성(牛膽南星)은 최근 모 방송을 통해 민간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牛膽과 南星을 배합하면) 승기작용이 증강된다’거나 ‘2 년을 숙성시킨다’ 등과 같이 그 효능과 제조법이 과장되거나 왜곡되기도 하였다. 또한 그 제법을 국내외 공정서가 각기 다르게 규정하고 있어 표준화가 필요한 약물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우담남성(牛膽南星)의 연원과 제법을 살펴보고 천남성을 우담으로 포제(炮製)하여 나타나는 효능을 고문헌 위주로 고찰하였다.

가슴 아픈 사연, 장년층의 흔한 세 가지 흉통(胸痛)

古代에는 《內經》에서 ‘胃脘當心而痛’이라 한 까닭에 心痛과 胃脘痛에 대한 기록이 복잡하게 되었다. 그러나 의학의 발달과 함께 발병 부위에 따른 구분에 痰이나 瘀血, 食積, 七情傷 등의 원인에 따른 구분이 더해졌다. 그 예로 《東醫寶鑑》이 心痛有九種(蟲心痛, 疰心痛, 風心痛, 悸心痛, 食心痛, 飮心痛, 冷心痛, 熱心痛, 去來心痛)과 心痛亦有六(脾心痛, 胃心痛, 腎心痛, 積心痛, 厥心痛, 眞心痛)으로 제시하고 心胃痛의 원인을 ‘七情作心痛 食積痰飮瘀血 皆作胃脘痛’으로 정리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朝發夕死 夕發朝死로 표현되는 眞心痛과 같은 급성심근경색을 제외하고 현대인에게 가장 흔한 가슴통증 세 가지를 설명하였다.

길경(桔梗) Platycodoni Radix, etc.

국내에서는 관습적으로 ‘苦桔梗이 좋다’는 인식이 있어 대체로 쓴맛이 강한 것이 품질이 좋은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재배품보다는 야생품이 쓴맛이 강하므로 야생품이 좋다는 설에 따른 ‘길경 야생’ 또는 ‘야생 길경’이라는 유통품과, 도라지의 생장 연수가 길어지면 쓴맛이 강해진다는 설에 따른 이른바 ‘다년생 길경’이라 불리는 유통품이 약재 시장에 혼재한다. 또한, 苦桔梗에 대응하는 ‘甛桔梗’ 또한 그 기원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桔梗의 임상 활용에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고길경(苦桔梗)과 첨길경(甛桔梗)을 중심으로 古文獻을 고찰하여 그 연원과 유통 현황, 두 본초의 간략한 효능 비교, 감별점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본초총론 본초학의 정의

‘본초(本草)’란?

한약과 생약, 약용작물 등에 관한 현행 규정 및 용어 정의 – 본초(本草 ; Materia Medica), 한약 (韓藥 ; Korean Medicinal Material), 본초학(本草學 ; Herbology), 민간약 (民間藥 ; Traditional Medicine), 생약 (生藥 ; Crude Drug), 생약학 (生藥學 ; Pharmacognosy) 등의 비교

본초총론 본초학의 정의

‘공정서’란?

공정서의 정의, 약전의 정의, 공정서와 약전의 차이, 대한민국의 주요한 한약 관련 공정서, 국내외 공정서의 정식 약어 및 명칭 일람표, 공정서의 중요성

본초총론 본초학의 정의

본초(本草) 이름의 유래

  본초의 이름으로부터 유래나 특징, 효능, 품질, 산지 등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고대로부터 본초의 설명에는 ‘釋名’이라 하여 중시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본초명과 연관된 요소는 氣, 味, 色, 形, 體, 質, 효능, 효력, 계절, 시기, 지명, 생태, 전설, 고사, 피위(避偉), 외래어, 약용부위 등이 있다. 또한, 산지나 품질, 가공 상태를 어두나 어미로 표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