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대황(大黃) Rhei Radix et Rhizoma

강의요약. 마디풀과(Pplygonaceae)에 딸린 탕구트대황(唐古特大黃) 또는 장엽대황(掌葉大黃), 약용대황(藥用大黃)의 뿌리와 땅속줄기를 ‘대황(大黃)’이라 한다. 특히, 앞의 두 식물이 기원인 것은 다양한 색깔의 방사상 무늬가 또렷하여 ‘금문대황(錦紋大黃)’이라 통칭하며 고대로부터 상품(上品)으로 취급되었다. 5~7세기에는 감숙성(甘肅省)의 하서주랑(河西走廊)과 난주시(蘭州市), 정서시(定西市) 일대와 사천성(四川省) 북부 고산지대가 주산지로 기록되었으나, 11세기 즈음…

망초(芒硝) Natrii Sulfas

강의요약. 식품의 산도조절제로도 쓰이는 황산나트륨(Na2So4)이 주성분인 황산염광물 ‘미라빌라이트(Mirabilite, 芒硝)’도 적절하게 정제하여 약물로 응용하였다. 가공 방법에 따라 박초(朴硝), 망초(芒硝), 현명분(玄明粉), 원명분(元明粉), 풍화초(風化硝)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는 漢代 전후부터 사하제(瀉下劑)로 널리 쓰였으며 《상한잡병론》의 대승기탕(大承氣湯) 및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등이 대표적인 응용처방이다.   처방에서의 사용…

화마인(火麻仁) Cannabis Semen

강의요약. 삼과(Cannabinaceae)에 딸린 삼의 씨를 ‘화마인(火麻仁)’ 또는 ‘마자인(麻子仁)’이라 한다.   삼은 唐代까지도 열매와 잎, 씨를 달리 약용하였다. 그러나 宋代에 이르러 ‘지금은 씨를 쓰는데 열매 껍질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워 물에 2-3일 담근 뒤에 껍질을 벗긴 후 건조한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8~11세기에 현재처럼…

욱리인(郁李仁) Pruni Japonicae seu Humilis Semen

강의요약.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산이스라지 또는 양이스라지의 씨를 ‘욱리인(郁李仁)’이라 한다.   3~5세기에는 복부의 수종(水種)이나 얼굴 및 눈, 사지의 부종에 쓰며 소변이 나가는 물길(水道)를 이롭게 한다고 하여 언뜻 이수약(利水藥)처럼 보이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8세기 즈음 기결(氣結)에 술과 함께 복용하여 사하시킨다는 내용이,…

노회(蘆薈) Aloe

강의요약. 아스포델루스과(Asphodelaceae)에 딸린 알로에베라 또는 희망봉알로에(고슴도치알로에), 아프리카알로에(알로에아프리카나), 스피카타알로에(알로에스피카타)와 그 잡종의 잎에서 얻은 액즙을 말려 굳힌 것을 ‘노회(蘆薈)’라 한다.   6~7 세기에는 감질(疳疾)에 사용한다는 단편적인 내용만 기록되어 있다. 10세기에는 소아열감(小兒熱疳)에서 나타나는 열증(熱證)뿐만 아니라 치질과 같은 질환에서 보이는 피부가 헐고 진물 나는…

대극(大戟) Euphorbiae Pekinensis Radix

강의요약. 대극과(Euphorbiaceae)에 딸린 버들옻의 뿌리를 ‘대극(大戟)’이라 한다.   한의학 초창기부터 각종 부종과 그로 인한 이차적인 병증에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대표적인 준하축수약인 감수(甘遂)의 응용과 별반 다르지 않다. 후대의 의가 또한 대극의 주효능을 ‘설수(泄水)’ 또는 ‘수종(水腫)을 삭인다.’, ‘적수(積水)로 붓고 그득한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