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포황(蒲黃) Typhae Pollen

포황(蒲黃) Typhae Poll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蒲黃《神農本草經》

【생약명】 Typhae Pollen

【이명】 香蒲1《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蒲厘花紛《集注》 蒲草黃 蒲草

【약성가】 蒲黃味甘崩疼主 生卽破血炒可補

【기원】

부들과(Typhaceae ; 香蒲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부들(東方香蒲) Typha orientalis C.Presl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꽃가루(花粉)로서, 여름에 포황 줄기 끝에 달리는 노란색깔의 꽃차례를 채취하여 曬乾한 뒤 갈고 체로 쳐서 꽃가루를 얻는다.

⊂ KHP, ChP, THP, DPRK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
    닭의장풀군 (Commelinids ; 鴨跖草類植物)
      벼목 (Poales ; 禾本目)
        부들과(Typhaceae ; 香蒲科)

부들(東方香蒲) Typha orientalis C.Presl

[ 부들(東方香蒲) Typha orientalis C.Presl ]

【성상】

포황(蒲黃) Typhae Pollen

[ 포황(蒲黃) Typhae Pollen ]

가볍고 고운 가루로 밝은 황색~황갈색의 분말이다. 體는 가볍고 물속에 넣으면 물위로 뜨며, 손으로 비비면 매끈매끈한 느낌이 있고 손가락에 잘 붙는다. 현미경으로 보면 4개의 花粉粒이 正方形이나 사다리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지름 35~40㎛이다. 냄새는 약하고 맛은 담담하다.

【산지】

우리 나라 중부지방에 분포하고, 중국의 각지에 분포한다.

【성분】

· 부들의 花粉에는 5α-stimgastan-3,6-dione, D-erythritol, naringetin, β-sitosterol, daucosterol, palmitic acid, quercetin, naringenin, isorhamne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 애기부들의 花粉에는 flavonoid 성분으로 naringenin, isorhamnetic-3-O-neohesperidoside, kaempferol-3-O-neohesperidoside, typhane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Steroid 성분에는 β-sitosterol, β-sitosterol palmitate, 5α-stigmastan-3,6-dione 등이 있다. Alkane 및 alkane alcohol 성분에는 pentacosane, 6-hentriacontanol 등이 있다. 아미노산에는 valine, aspartic acid, leuc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生蒲黃은 자궁수축작용과 혈액응고시간 단축작용이 있다. 실험에 따라 혈액응고시간을 단축시키기도 하고, 혈액응고를 억제하기도 한다.
· 이뇨와 抗結核 작용이 있다.
· 관상동맥 혈류증가, 심근보호, 혈중지질 저감, 동맥경화 억제 작용을 한다.
· 위장관 유동운동 촉진, 면역억제, 소염, 항균, 골절유합 촉진, 신장손상 억제 작용을 한다.

 

【성미】 性平 味甘        【귀경】 肝心包經

【효능】 止血 化瘀 通淋

【주치】 吐血 衄血 喀血 崩漏 經閉痛經 脘腹刺痛 血淋澀痛 外傷出血 跌撲腫痛

【해설】

《日華子本草》  破血消腫生使 補血止血炒用 / 《藥品化義》  蒲黃 若謠失血久者 炒用之以助補脾之藥 攝血歸源 使不妄行

1. 止血 化瘀 通淋 (收澁止血 行血祛瘀)

① 生蒲黃은 일정한 止血작용을 가지고 있어 煎服이나 呑服, 外敷 또는 內騷에 모두 止血시켜 各種 出血證에 광범위하게 응용

② 利尿와 子宮收縮작용을 겸하고 있어 血淋과 尿血 및 子宮出血에 더욱 마땅

③ 性이 平하고 緩하여 失血證에 虛實을 막론하고 응용

2. ┌ 生用 : 性滑하여 行血消瘀에 장점 → 打撲傷 등에 응용

   └ 炒黑 : 性澁하여 收斂止血에 장점 → 衄血 子宮出血 등의  각종 출혈에 응용

3. 子宮收縮작용이 있으므로 孕婦는 愼用

【포제】

行血化瘀에는 生用하고, 收斂止血에는 炒炭한다.

【용량】

5~9g. 煎湯時에 혼탁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包煎하도록 한다.

【금기】

生蒲黃은 자궁을 수축시키므로 孕婦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五靈脂와 配合하여 血瘀로 인한 經痛, 經閉, 産後惡露不下로 인한 頭痛, 血瘀心腹作痛과 跌打損傷 등에 응용
실소산 失笑散《東醫寶鑑》引《太平惠民和劑局方》 治産後兒枕 臍腹痛欲死 百藥不效 (瘀血을 동반한 痛症 出血에 응용)
: 五靈脂 蒲黃炒各等分. 右爲末 每二錢 和醋熬成膏 入水一盞煎至七分 熱服立效

生蒲黃 : 化瘀 ┬→ 瘀血除去爲主 ┐
五靈脂 : 祛瘀 ┘                           ├——-→ 先逐瘀血
炒蒲黃 : 止血 –→ 止血爲主       ┘

② 기침산 起枕散2《東醫寶鑑》引《古今醫鑑》 治兒枕痛極苦
: 當歸 白芍藥各二錢 川芎一錢半 白芷 桂心 蒲黃 牧丹皮 玄胡索 五靈脂 沒藥各七分. 右剉作一貼 水煎 入好醋 空心服

起枕散 = 四物湯(補血) + 失笑散(化瘀) –→ 後補血補氣

cf. 아침산 兒枕散《古今醫鑑》引《賈蘭峰傳》 治產後心腹痛 惡血不行 或兒枕作痛甚危
: 當歸三錢 白芍酒炒,三錢 川芎二錢 白芷 官桂 蒲黃 牡丹皮 玄胡索 五靈脂 沒藥各一錢. 上銼一劑 水煎 入童便 空心服.

현호색탕 玄胡索湯《嚴氏濟生方》 治婦人室女 七情傷感 遂使血與氣並 心腹作痛 或連腰脅 或引背膂 上下攻刺 甚作搐搦 經候不調 但是一切血氣疼痛 並可服之.
: 當歸去蘆,酒浸,銼,炒 玄胡索炒,去皮 蒲黃 赤芍藥 官桂不見火,各半兩 片子薑黃 乳香 沒藥 木香不見火,各三兩 甘草炙,二錢半.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生薑七片 煎至七分 去滓 食前溫服. 吐逆加半夏橘紅各半兩.

④ 통령산 通靈散《東醫寶鑑》引《醫學入門》 治九種心痛
: 蒲黃 五靈脂各一兩 木通 赤芍藥各五錢. 右剉五錢 水煎 入鹽少許服

⑤ 각통산 卻痛散《東醫寶鑑》引《醫學入門》 治心氣冷痛不可忍
: 川烏炮一錢半 當歸 肉桂 石菖蒲 木香 胡椒各一錢 五靈脂 蒲黃炒各五分. 右剉作一貼 入鹽醋各少許 水煎服

⑥ 신령단 神靈丹《東醫寶鑑》引《活心》 專治急心痛立效
: 五靈脂 蒲黃炒各一兩 良薑五錢以斑猫二十箇同炒焦去猫 防己五錢. 右細末 醋糊和丸 如皂角子大 每一丸 艾醋湯調下 或爲末酒下二錢亦可

⑦ 계소산 鷄蘇散《東醫寶鑑》引《醫學正傳》 治衄血不止 乃肺金受相火所制然也.
: 鷄蘇葉 黃芪 生地黃 阿膠珠 白茅根各一錢 麥門冬 桔梗 蒲黃 貝母 桑白皮 甘草灸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 兼以黃丹吹入鼻.

⑧ 고영산 固榮散《東醫寶鑑》引《丹溪心法》 治吐衄便尿 一切失血
: 眞蒲黃 地楡各一兩 白芷五錢 甘草二錢半. 右爲末每服四錢 溫酒調服

소계음자 小薊飮子《嚴氏濟生方》 治下焦結熱血淋
 : 生地黃洗,四兩 小薊根 滑石 通草 蒲黃 淡竹酒浸 山梔子 甘草炙 各半兩.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煎至八分 去滓 溫服 空心食前

cf. 소계음자 小薊飮子《丹溪心法》 治下焦結熱血淋
: 生地黃 小薊 滑石 通草 淡竹葉 蒲黃 藕節 當歸酒浸 梔子 甘草. 上以水煎 空心服

cf. 소계음자 小薊飮子《東醫寶鑑》引《丹溪心法》
: 藕節二錢 當歸一錢 山梔仁八分 小薊 生地黃 滑石 通草 蒲黃 各五分 甘草三分. 右剉作一貼 竹葉七片同煎服.

⑩ 통초탕 通草湯《嚴氏濟生方》 治諸淋
: 通草 王不留行 葵子 茅根 桃膠 瞿麥 當歸去節洗 蒲黃 上各一兩 甘草炙半兩. 上咬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薑五片 煎至八分 去滓 溫服 不拘時候.

⑪ 도척탕 導滌湯《이금산경험방》 飮食不節 運動不足 등으로 三焦의 氣化가 원활치 않아 발생한 痰濁이 脈管에 까지 영향을 미쳤을 때 응용3. 예. 濕鬱痰瘀형의 高脂血症
: 丹參 蒲黃 五靈脂 唐山楂 茵蔯蒿4 陽春砂(or 白豆蔲) 各一錢 溫鬱金 黑三稜 杏仁 薏苡仁 各七分 北蒼朮 梔子 日川芎 麥芽 各三分. 上剉作一貼 竹葉七片同煎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3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25-7.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28-9.


 




각주

  1. 원래의 香蒲는 蒲黃의 어린 싹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五臟의 邪氣와 口中의 惡臭를 제거하며 齒牙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東醫寶鑑》. 花序를 잘라 말린 후 수꽃에 달린 花粉을 얻는데 이를 草蒲黃이라 부르며(혹은 花粉에 花絲까지 포함된 것을 지칭하기도 함), 이를 다시 가는 체로 쳐서 순수한 花粉만을 모은 것을 蒲黃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2. 아래의 兒枕散과 구성은 같고 용량이 다르다. 《東醫寶鑑》이 《古今醫鑑》을 인용하면서 이름과 용량을 다시 정한 듯하다.
  3. ‘積’을 없앤다는 점에서 五積散과 유사. 五積散은 寒證에 응용하나 현대인은 寒證보다는 濕鬱이 더 많음. 그러므로 積을 없애되 三焦 및 脈管에 작용이 편중되도록 조방
  4. 위품인 ‘한인진’을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