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량혈지혈약

제11장 지혈약(止血藥)

출혈을 멈추기 위해 사용한 약물을 지혈약(止血藥)이라 한다. 각종 출혈증에 유효한 약물의 사용 경험이 축적되면서 출혈 부위에 따라 좀 더 효과적인 약물로 밝혀지기도 하고, 원인에 따라 사용하는 약물이 분류되기도 하였다. 즉, 완만하게 혈액응고시간을 단축시키는 약물(收斂止血藥)도 있고, 피가 맥관에 몰려있다가 터졌을 때 사용하는 약물(凉血止血藥)도 있으며, 맥관의 상태를 개선하여 지혈을 돕는 약물(化瘀止血藥)도 있고, 혈행 저체가 극심하여 피가 났을 때 사용하는 약물(溫經止血藥)도 있는 등 다양하다. 그러므로 출혈의 원인과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약물을 선용하고 배합에 유의하여야 기대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제2절 양혈지혈약(涼血止血藥)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열적인 상태로 말미암아 맥관 내에 영혈이 몰려 있다가 피가 나는 것을 ‘혈열망행(血熱妄行)으로 인한 출혈(出血)’이라 한다. 이 경우에 응용하는 약물을 양혈지혈약(涼血止血藥)으로 분류한다. 열적인 상태를 개선하여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청열량혈약(淸熱涼血藥)이나 양음약(養陰藥)을 배합하여 사용함이 좋다. 또한, ‘지혈약’이라는 특성상 어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량 또는 장기 처방할 경우에는 어체가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대계(大薊) Cirsii Herba

국화과(Asteraceae)에 딸린 엉겅퀴의 전초를 ‘대계(大薊)’라 하여 약용한다. 꽃차례가 상투(髻)를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각종 출혈증에 고르게 쓰였는데, 그 중에서도 상부소화기계와 자궁, 비강의 출혈증에 사용된 예가 많다. 가장 흔하였던 출혈증에 어디에서나 구할 수 있는 식물을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가시가 있는 지상부보다는 지하부 위주로 유통되는 경향이 있다. 참고로 엉겅퀴의 종류 중 울릉도에 다량으로 자생하는 ‘고려엉겅퀴’는 곤드레나물로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소계(小薊) Breeae Herba

국화과(Asteraceae)에 딸린 조뱅이의 전초를 ‘소계(小薊)’라 하여 약용한다. 대계(大薊)의 기원식물인 엉겅퀴와 비슷한데 식물체가 작은 것이라 하여 이름 붙었다. 또한 대계와 소계의 효능이 유사하여 처방에 간단히 ‘계(薊)’라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급박한 출혈이 있는데 이것 저것 가릴 수는 없으니 엉겅퀴던 조뱅이던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쓰라는 의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림(血淋)’에서 만큼은 소계가 대계에 비해 활용도가 높다.

지유(地楡) Sanguisorbae Radix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오이풀의 뿌리를 ‘지유(地楡)’로 약용한다. 각종 출혈증에 사용하는 약물은 주위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것이 많은데, 이 오이풀도 우리나라의 야산에 아주 흔하다. 주로 소화기계와 자궁의 출혈증에 응용하였다. 전자의 경우엔 회화나무의 열매나 꽃봉오리를 배합한 경우가 많고, 후자의 경우엔 형개탄을 배합한 경우가 많다. 지혈을 목적으로 응용할 때에는 약효가 남아 있을 정도로만 태운 것을 사용한다.

괴화(槐花) Styphnolobii Flos

콩과(Fabaceae)에 딸린 회화나무의 꽃봉오리를 ‘괴미(槐米), 꽃을 ‘괴화(槐花), 열매를 ‘괴각(槐角)’이라 한다. 이 중 앞의 두 개를 지혈약으로 사용한다. 상대적으로 응용 범위가 넓고 편성도 강한 괴각(槐角)이라는 약물이 있었기에 괴화와 괴미가 사용된 질환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즉, 두 약물은 대장 출혈 및 치질에 동반되는 항문 출혈에 그 사용이 집중되어 있다. 그 외에는 각종 종기에 사용된 예가 드물게 있다. 한편, rutin의 함유량이 개화한 꽃 보다는 꽃봉오리에 많다는 점을 감안하여 두 약물을 구분하여 사용함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