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이기약

대복피(大腹皮) Arecae Pericarpium

야자나무과(Arecaceae)에 딸린 빈랑나무(檳榔)의 열매껍질을 대복피(大腹皮)라 한다. 삼초의 기체를 이수하여 풀어줄 목적으로 다용한다. 주로 기체가 심하여 발생한 기침, 복창, 부종에 응용하였다. 후대로 갈수록 기침과 같은 상초의 증상보다는 소화기계에 사용이 치중되었다. 효능이 완만하여 임신 말기의 부종을 해소하거나 축태하기 위해 사용한 예가 많다.

감송향(甘松香) Nardostachyos Radix et Rhizoma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한 ‘甘松’의 뿌리와 땅속줄기를 ‘감송향(甘松香)’이라 하여 약용한다.   다만, 8세기 즈음에 기록되어 연원이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활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는 한국 사람이 선호하지 않을 특유의 고약한 향과,  편성이 완만한 탓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처방례를 볼 때 상복부의 기체동통에 있어서 만큼은 비교적 괜찮게 지통(止痛)한다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활용함이 좋다.

침향(沈香) Aquilariae Resinatum Lignum

팥꽃나무과(Thymelaceae)에 속하는 ‘침향’나무에 수지가 침착된 목재를 약용한다. 비중이 높아 물에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침향’이라 하였다. 삼초의 기체를 풀어주는 대표적인 약물이지만 매우 고가이므로 병증에 따라 적절한 약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체 약물로서 가장 흔한 것은 운목향이다. Aquilaira속에 속하는 식물은 모두 CITES II에 해당될만큼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아주 적고, 식물분류학적인 이견도 상당한 탓에 혼위품 논란이 끊이질 않는 약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