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지해평천약

제13장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현대의 한의학에서는 인체에서 대사가 이루어진 후 노폐물이 몸 안에 남아 여러 병증을 일으키는 것을 통털어 담(痰)이라 한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담은 순환기계 또는 소화기계, 근골격계 등에서 다양한 병증을 일으킨다 보았고, 각 경우에 따라 증상을 판별하는 기술과 약물이 비롯되었다. 그러나 질병에 대한 인식 범주가 상대적으로 좁았던 한의학 초기에는 담(痰)이라 하면 객담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이 장에서 다루는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의 대다수 약물의 주치증에는 다양한 양상의 객담이 기술되어있다. 
 점차 객담과 흔하게 동반되는 기침을 분류하면서, 반드시 삼출물이 기침을 유발하는 게 아닌 다른 원인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약물이 편입되기도 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소화기계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수분 대사의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오래 머문 물질을 지목하면서 이 또한 담(痰)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기존의 약물의 사용 범위를 확장하거나 신규 약물이 도입되었다.
 더불어 ‘담 결렸다’라고 흔히 말하는 것처럼 근골격계의 운동 또는 감각 이상 질환도 정상적이지 않은 물질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이 또한 담(痰)과 관련된 질환으로 편입되면서 약물 사용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단순한 담 결린 증상을 넘어서 중풍이나 경간 등에도 사용하며 종국에는 신경정신적인 증상에도 이 분류군의 약물이 응용되었다.
 이렇게 이 분류군의 약물은 한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개념이 덧붙여진 담(痰)을 대상으로 하므로  학습할 때에는 반드시 변증과 배합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제3절 지해평천약(止咳平喘藥)

溫化寒痰藥이나 淸化熱痰藥 외에 별도로 止咳平喘藥으로 분류하는 약물이 있다. 偏性이 완만하여 寒痰이나 熱痰의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 寒痰이나 熱痰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燥痰에 사용하는 것, 有聲無痰의 咳와 無聲有痰의 嗽 중 후자의 증상 완화에 장점이 있는 것, 폐렴구균 등에 효과적인 것, 胸水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 응용하는 것, 현대에 밝혀진 이유로 사용이 제한적인 것 등이 이에 포함된다.

행인(杏仁) Armeniacae Semen

살구나무 및 개살구나무, 시베리아살구나무, 아르메니아살구나무의 잘 익은 씨를 행인(杏仁)이라 한다. 명 시기에 행인과 도인의 공통적인 위품인 아몬드가 유입되면서 이와 구분키 위해 ‘고행인(苦杏仁)’이라 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대체로 앞의 세 종이 기원인 것을 ‘고행인(苦杏仁)’이라 하고, 아르메니아살구를 ‘첨행인(甛杏仁)’, 아몬드를 ‘파단행인(巴旦杏仁)’ 또는 ‘편도인(扁桃仁)’으로 구분하여 유통된다. 행인은 주로 기침을 동반하는 질환에 사용하였는데, 寒證인 경우에는 주로 마황을, 燥證에는 상엽이나 패모 등을, 객담에는 반하 등을 배합하여 응용하였다. 한편, 습온에 대한 의학지식이 정립되면서는 上焦의 肺氣를 輕開하는 주약으로 응용이 확대되었다.

백부근(百部根) Stemonae Radix

백부과(Stemonaceae)에 속하는 만생백부 또는 직립백부, 대엽백부의 뿌리를 ‘백부근’이라한다. 뿌리가 많이 달렸다는 뜻에서 이름 붙었다. 주로 기침에 응용하였는데, 백일해나 폐로처럼 만성적인 증상에 응용한 예가 많다. 특이하게도 청말~근대초에 들어서 외용제로도 활용된 예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알콜을 주요한 용매로 사용한다. 건조가 용이하지 않고 맛이 매우 써서 구역감을 유발할 수 있기에 종종 쪄서 사용하였다.

자완(紫菀) Asteris Radix et Rhizoma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개미취의 땅속줄기와 뿌리를 ‘자완’이라 한다. 뿌리가 자줏빛(紫)을 띠고 부드럽다(宛)는 뜻에서 ‘자완(紫菀)’인데, 자줏빛 꽃이 피는데 동산(苑)에 많다는 뜻에서 ‘자원(紫苑)’으로 부르기도 한다. 편성이 비교적 완만하여 허실을 가리지 않고 각종 기침에 사용하였다. 특히, 병증에 따라 관동화나 백부근 등과 상수 또는 상사 배합하여 응용한다.

관동화(款冬花) Farfarae Flos

국화과(Asteraceae)에 속한 관동의 꽃봉오리를 ‘관동화’라 하여 약용한다. 늦겨울에 꽃 피고 싹 트는 모습을 보고 겨울을 이겨냈다는 의미에서 ‘관동(款冬)’이라 이름 붙었다. 관동화는 주로 가래를 동반하는 기침에 사용하였다. 편성이 완만한 편이라 허실을 가리지 않고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한의학 초반에 비해 후반기에는 장기복용이 필요한 만성질환에 응용된 예가 많다. 유사한 효능을 지닌 자완에 비해 거담의 효력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