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13장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제13장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강의요약. 현대의 한의학에서는 인체에서 대사가 이루어진 후 노폐물이 몸 안에 남아 여러 병증을 일으키는 것을 통틀어 담(痰)이라 한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담은 순환기계 또는 소화기계, 근골격계 등에서 다양한 병증을 일으킨다 보았고, 각 경우에 따라 증상을 판별하는 기술과 약물이 비롯되었다. 그러나 질병에 대한 인식 범주가 상대적으로 좁았던 한의학 초기에는 담(痰)이라 하면 객담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이 장에서 다루는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의 대다수 약물의 주치증에는 다양한 양상의 객담이 기술되어있다. 

 점차 객담과 흔하게 동반되는 기침을 분류하면서, 기침의 유발 원인에는 반드시 삼출물이 아닌 다른 것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약물이 편입되기도 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소화기계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수분 대사의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오래 머문 물질을 지목하면서 이 또한 담(痰)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기존의 약물의 사용 범위를 확장하거나 신규 약물이 도입되었다.

 더불어 ‘담 결렸다’라고 흔히 말하는 것처럼 근골격계의 운동 또는 감각 이상 질환도 정상적이지 않은 물질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이 또한 담(痰)과 관련된 질환으로 편입되면서 약물 사용의 확장이 이루어졌다. 단순한 담 결린 증상을 넘어서 중풍이나 경간 등에도 사용하며 종국에는 신경정신적인 증상에도 이 분류군의 약물이 응용되었다.

 이렇게 이 분류군의 약물은 한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개념이 덧붙여진 담(痰)을 대상으로 하므로  학습할 때에는 반드시 변증과 배합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 化痰藥止咳平喘藥

┌ 化痰藥 : 祛痰혹은 消痰시키는 약물

└ 止咳平喘藥 : 咳嗽 喘息을 緩和 혹은 制止할 수 있는 약물

→ 化痰藥의 대부분은 止咳시키기 위하여 응용하며, 止咳平喘藥은 대부분 化痰작용을 겸함. 相互配合하여 응용.

2. 분류

① 溫化寒痰藥 :  대개 溫性을 가지고 있어 寒痰과 濕痰에 응용

② 淸化熱痰藥 : 대개 寒性을 가지고 있어 熱痰과 燥痰에 응용되고 癲癎과 驚厥 등에도 많이 응용

③ 止咳平喘藥 : 咳嗽 喘息에 주로 응용

3. 적응증

① 化痰藥 : 痰多咳嗽 痰飮氣喘 喀痰不爽, 痰으로 인한 癲癎 驚厥 癭瘤 瘰癧 陰阻流注 등 증상에 응용

② 止咳平喘藥 : 外感 또는 內傷으로 인한 多痰 咳嗽 氣喘 등의 증상에 응용

4. 배오

: 病의 원인과 證形에 따라서 적당한 약물을 配合

① 表證을 겸한 사람은 解表藥을 配合

② 裏熱을 겸한 사람은 淸熱藥을 配合

③ 裏寒을 겸한 사람은 溫裏藥을 配合

⑤ 虛勞咳嗽에는 補益藥을 配合을 配合

⑥ 癲癎驚厥에는 安神藥과 平肝熄風藥을 配合

⑦ 癭瘤와 瘰癧에는 軟堅散結시키는 약물을 配合

⑧ 陰阻流注에는 散寒通滯시키는 약물을 配合

5. 주의사항

① 咳嗽에 喀血을 겸하였을 경우 : 강렬하고 자극성의 化痰藥을 응용하여서는 안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出血을 촉진시키는 과오를 犯하게 된다.

② 麻疹 초기의 咳嗽 : 일반적으로 肺氣를 淸宣시키는 것을 주로 하여야 하며 止咳시키는 방법은 마땅하지 않고 더욱이 溫性 혹은 收斂性의 化痰止咳藥은 마땅하지 않으며 助熱 혹은 麻疹透發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참고】

1. 痰

: 痰 涎 飮. 인체의 신진대사후 노폐물이 배설되지 않고 몸안에 잔류한 물질을 이르는 말

① 痰 : 固定 · 固形的 · 稠濁

② 飮 : 流注 · 淸稀

③ 涎 : 口腔을 통해 排出되는 침 등

2. 종류

① 呼吸器에 蓄積되는 痰 :  咳嗽 呼吸困難 胸悶 脇痛 등의 주증상

  → 貝母 · 杏仁등을 이용하여 鎭咳祛痰

② 消化器에 蓄積되는 痰 :  嘔吐惡心 食慾不振 上腹部의 不快感 등의 주증상 → 半夏 등을 이용하여 和胃消痰

③ 筋骨骼係와 皮膚에 蓄積되는 痰 :  瘰癧 癭瘤 등+筋肉의 기능이상이 주증상

  → 海藻 · 昆布등을 이용하여 軟堅消痰

④ 痰濁心竅 : 癲·狂·癎·驚 意識障碍 痰涎癰疽 牙關緊急 등의 주증상

  → 天南星 白附子 竹瀝 天竺黃등을 이용하여 祛風化痰

3. 치료원칙

: 痰은 津液이 停聚된 것이기 때문에 調氣(降氣, 理氣, 補氣)를 우선적으로 행함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7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1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