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懷牛膝(酒蒸)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우슬(牛膝) Achyranthis Radix

강의요약. 비름과(Amaranthaceae)에 딸린 쇠무릎이나 털쇠무릎의 뿌리를 우슬(牛膝)이라 한다. 부풀어 오른 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굵다하여 붙은 이름이다. 이 부푼 마디는 비름혹파리1가 만든 벌레집(蟲廮)이다. 
 사용연원은 상당히 긴 편으로, 2-3세기에 이미 ‘냉기나 습기에 상하여 저릴 때, 팔다리에 쥐가 나며 경련이 일 때, 무릎이 아파 굽히지 못할 때, 혈기(血氣)를 몰아낼 때, 화상을 입어 문드러진 때, 태(胎)를 떨어트릴 때 쓴다.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음을 견디게 한다.2’고 기록되었다.
 한편, 5-6세기에는 ‘남자의 음(陰)이 사그라든 것, 노인이 오줌 실수한 것, 속을 보하고 끊긴 것을 이어주며 골수를 메워 머릿속이 아픈 것과 허리가 아픈 것, 부인이 달거리가 멎는 것, 피가 맺힌 것을 다스린다. 정(精)을 더하고 음기(陰氣)를 이롭게 하며 머리가 희어지는 것을 그치게 한다.34’고 하여 비뇨기 및 상과(傷科) 질환과 다른 부인과 질환 등이 덧붙여졌다.
 11세기에는 이와 그간의 경험을 종합하여 ‘ … 음위(陰痿)를 다스리며, 콩팥을 보하고 정(精)을 메꾸고, 나쁜 피가 흘러 맺힌 것을 몰아내어 12 경맥(經脈)을 돕는다. 병을 앓아 허하고 파리하게 되면 더하여 쓴다. … 허리와 무릎이 휘청거리며 차갑고 약한 것과 덩어리가 맺힌 것을 다스리며, 고름을 밀어내고 아픔을 멎게 하고, 아이를 낳은 뒤에 가슴과 배가 아프며 어지러운 것을 다스리고, 죽은 태아를 떨어지게 하며, 양(陽)을 씩씩하게 한다.5’고 정리되었으며 후대에 이 내용이 반복되어 인용되었다.
 우슬은 위와 같이 실로 다양한 질환에 응용6되었는데, 일단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 분야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근골격계 질환이다. 비증(痺證)에 다용하는 독활기생탕(獨活奇生湯)이나, 붓기를 동반하는 관절통에 다용하던 삼묘환(三妙丸) 등에서 근골격계 질환에서의 쓰임새를 찾을 수 있다. 심지어 근육이 손상된 후 시일이 약간 지났거나 복구 후 조리가 필요할 때 사용하였던 서근활혈탕(舒筋活血湯)과 같은 예도 있다.
 둘째는 부인과 질환이다. 산후의 잔여 태반을 몰아낼 때 사용했던 우슬탕(牛膝湯), 지나치게 마음을 써서 달거리가 멎었을 때 사용했던 백자인환(柏子仁丸)7 등에서 쓰인 예를 찾을 수 있다.
 셋째는 비뇨기계 질환이다. 소변이 나오지 않으며 음경이 아프거나 배가 단단하며 아픈 증에 사용했던 삼미우슬탕(三味牛膝湯), 콩팥이 약하여 허리와 다리가 부으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에 사용했던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과 같은 처방이 사용례이다. 또한 음위(陰痿)에 응용했던 환소단(還少丹)에서도 쓰였다.
 넷째는 심혈관계 질환이다. 흉복강의 어혈로 인하여 생긴 다양한 증상에 응용하는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간화상염(肝火上炎) 또는 간양상항(肝陽上亢)으로 갑작스레 혈압이 높아져 나타나는 어지러움, 두통, 이명, 번열, 감각저하  등에 응용하는 진간식풍탕(鎭肝熄風湯)이 그 사용례이다.
 다섯째는 대사 이상 질환이다. 당뇨나 갑상선항진증 등에서 보이는 심한 갈증이나 안와통 등이 양명경(陽明經)의 열증에 기반할 때 응용하는 옥녀전(玉女煎), 갱년기나 노년기에서 보이는 변비 등이 신양(腎陽)의 쇠약에 기인할 경우에 응용하는 제천전(濟川煎) 등이 그 사용례이다.
 이러한 쓰임새에 보조약으로 사용할 경우 인체의 하부나 말단에 잘 작용하게 만들어 준다는 내용을 더하여 현대 본초학에서는 ‘인혈하행(引血下行)8 ’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 표현은 다양한 의가들이 ‘행혈(行血)에 공이 있는 것이니 비허(脾虛)나 기가 허함으로 인하여 정강이나 무릎이 붓는 자에게는 마땅치 않다.9’고 한 것이나, ‘족삼음경의 기체(氣滯)와 혈어(血瘀)의 증에 우슬이 가히 행케 만든다.10’고 한 것이나, ‘기체혈응(氣滯血凝)을 통하게 한다.11’고 한 것이나, ‘저리거나 아파서 굽히지 못함을 다스린다는 것은 근을 펴고 행혈(行血)하는 공로이다.12’라고 한 것 등을 네 글자로 요약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보익간신(補益肝腎)’이라는 효능은 단순한 ‘보익(補益)’이 아닌 다른 측면으로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이는 ‘머리가 희어지는 것을 그치게 한다.’고 하였지만 관련 응용 처방을 극도로 찾기 어렵다는 점, ‘기가 허약할 때는 쓸 수 없다.13’는 주의사항, ‘세속에서 망령되이 익신(益腎)하여 하원(下元)을 배양한다는 약에 종종 사용한다 하는데 이는 도둑을 집안으로 끌어들이는 것과 어찌 다르겠는가?14’라는 비판, ‘혈허(血虛)로 인한 어지러움이나 아침통(兒枕痛)에는 더욱 가벼이 쓰지 않아야 한다.15’는 경고, 한습(寒濕)이 아닌 ‘혈열(血熱)로 인한 저림증(痿痹)과 혈조(血燥)로 인한 당기고 경련하는 것16’을 주치증으로 제시한 것 등을 감안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즉, ‘만에 하나라도 우슬을 부족을 메워서 채우는 약(填補之品)으로 오인하지 않아야 한다 … 뇌중통(腦中痛) … 요척통(腰脊痛) … 월수불통(月水不通), 혈결(血結) 등을 다스린다는 것은 곧 어혈을 깨트리고 막힘을 통하게 한다(破瘀導滯)는 것이 참뜻이다. 이는 모두 마땅히 소통(疏通)의 측면이 나타난 것이라 생각해야 한다.17 ’는 언급이 있는 바와 같이 근골을 튼튼히 한다는 우슬의 효능은 모자람을 채우는 보익(補益)의 결과가 아닌 영위(營衛)의 원활한 소통18 , 특히 혈맥(血脈)의 원활한 유통19의 결과로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견지에서 우슬을 주증(酒蒸)하는 주요한 목적은 자양하는 약물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허약한 사람을 위해 편성을 완화시키는 것이라 보아야 한다.

【본초명《출전》】 牛膝《神農本草經》 

【생약명】 

①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②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③ 첨우슬(甛牛膝) Cyathulae Officinalis Radix20

④ 마우슬(麻牛膝) Cyathulae Capitatae Radix

【이명】

白倍《本經》 牛莖《廣雅》 脚斯蹬《救荒本草》 懷牛膝《本草便讀》 鷄髎骨

【약성가】

牛膝味苦濕痺除 補精强足下胎瘀

【기원】

비름과 (Amaranthaceae ; 莧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① 土牛膝21  : 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Miq.

⊂ KP, DPRKP

② 懷牛膝 : 털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KP, ChP, JP, THP, HKCMMS 

③ 甛牛膝 : 川牛膝 Cyathula officinalis K.C.Kuan

⊂ ChP, THP

④ 麻牛膝 : 頭花杯莧 Cyathula capitata Moq.

⊂ (수재 공정서 없음)

으로, 줄기와 잎이 마른 다음에 채취하여 泥土를 제거하고 曬乾한다.

국내에서는 ①과 ②만 한약규격품으로 유통될 수 있음.

※ 麻牛膝은 일부 문헌에 小毒하다고 기록되어 있고 다른 우슬의 위품에 해당하므로 주의.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석죽목 (Caryophyllales ; 石竹目)
             비름과 (Amaranthaceae ; 莧科) ⊃ 土牛膝 懷牛膝 甛牛膝 麻牛膝

【성상】  기원식물 및 약재 감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 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Miq. ]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 土牛膝 : 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Miq.의 根 ]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de Radix

[ 털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Blume ]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de Radix

[ 懷牛膝 : 털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Blume의 건조한 根 ]

 

천우슬(川牛膝)과 마우슬(麻牛膝) Cyathulae Officinalis seu Capitatae Radix

[ 川牛膝 Cyathula officinalis K.C.Kuan(좌),

甛牛膝 : 川牛膝 Cyathula officinalis K.C.Kuan의 根 (우상),

麻牛膝: 頭花杯莧 Cyathula capitata Moq.의 根(우하) ]

 

1. 根표면은 옅은 黃色, 淡灰黃色, 土黃色이며, 뿌리는 가늘고 비교적 짧다

2. 뿌리는 長圓柱形이며 가늘고 길며 구부러졌고 단면이 灰褐色이다
 —————————————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2. 뿌리가 長圓柱形이며 약간 두껍고 길며 반듯하고 단면이 黃褐色이다
—————————————-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1. 根표면은 棕黃色, 짙은 褐色이며, 뿌리는 거칠고 비교적 길다

3. 뿌리가 약간 구부러졌으며 표면에는 皮孔이 많으며, 氣微味甘하다
—————————————- 첨우슬(甛牛膝) Cyathulae Officinalis Radix

3. 뿌리는 많이 구부러졌으며 표면에는 皮孔이 적고, 味苦澁하고 마비감이 있다
—————————————- 마우슬(麻牛膝) Cyathulae Capitatae Radix

※ 기원식물검색표 등의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산지】

쇠무릎은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며, 懷牛膝은 동북·내몽고를 제외한 중국 각지에 분포하는데, 河南省이 주산지이다.

【성분】 ※ 우슬(牛膝)의 성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懷牛膝의 根에는 triterpenoid 성분으로 oleanolic acid-α-L-hamnopyranosyl-β-D-galactopyranoside, achybidensaponin Ⅰ~Ⅱ, ginsenoside Ro, PJS-1, polypodine B 등이 함유되어 있다. Steroid 성분으로는 ecdysterone, inokosterone, rubrosterone 등이 있고, 기타 다당성분,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진통작용과 일시적인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 경미한 이뇨작용이 있다.
∙ 자궁의 수축을 증가시킨다.
∙ 쇠무릎은 임신억제, 자궁수축, 소염·진통, 간·신장의 단백질합성 촉진 작용을 한다.
∙ 懷牛膝은 진통 작용을 하며, 酒炙한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소염, 심박감소, 혈관확장, 혈압강하, 혈당강하, 항산화, 골밀도개선 작용을 한다.
∙ 懷牛膝과 甛牛膝은 임신 억제, 유산유발, 혈액응고억제(懷牛膝>甛牛膝), 면역증강, 항종양 작용을 한다.
∙ 懷牛膝과 甛牛膝의 성분인 ecdysterone은 체중증가, 간·신장의 단백질합성 촉진, 담즙분비 촉진, 동맥경화 억제, 간염 억제 작용을 한다.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우슬(牛膝)’편 ]

 

【성미】 性平 味苦酸      【귀경】 肝腎經

【효능】 ① 生用:散瘀血 消癰腫  ② 熟用:補肝腎 强筋骨

【주치】

① 生用: 淋病尿血 經閉 癥瘕 難産 胞衣不下 産後血瘀腹痛 喉痹 癰腫 跌打損傷

② 熟用:腰膝骨痛 四肢拘攣 痿痹

【해설】 《本草正義》  牛膝 疏利泄降 所主皆氣血壅滯之病

0. 苦味泄降 入肝腎二經 ← 强筋骨 ← 通利關節 保養肝腎 ←  活血祛瘀 引血下行

1. 散瘀血 消癰腫 (生用)

① 産後의 胞衣不下 및 臍腹疼痛, 經水不利, 臍腹作痛 등에 응용(婦人科의 血瘀證에 常用하는 藥物)

② 熱淋 또는 血淋, 石淋으로 인한 排尿痛 排尿困難 등에 八正散 또는 石葦散에 가미하여 응용

2. 補肝腎强筋骨 (熟用)

① 血行阻滯가 원인인 風濕性 關節痹痛(腰膝痛 大腿痛 등)에 응용

② 肝腎不足으로 인한 腰膝痠痛과 筋骨無力에 응용

3. 단, 先導下行이 주효능이며 補益肝腎의 효능은 川續斷과 杜仲보다 약함

4. 引血下行의 의미

① 下腹部의 血瘀 치료 : 婦人의 血瘀證, 血尿와 痛症을 수반하는 淋病(熱淋 血淋 石淋)을 치료하는데 응용

② 上病下取 : 血熱上炎의 病證에 上炎된 火를 降火시켜줌으로써 上溢된 血液을 和平하게 만드는데 응용 e.g. 고혈압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肝陽上亢

③ 補肝腎 强筋骨 : 下焦筋骨의 기능을 보강하는 용도로 응용

④ 能引諸藥下行 : 타약물의 효능을 下方으로 인도시킬 목적으로 응용

5. 기원에 따른 각 牛膝의 상대적인 장점22

┌ 甛牛膝(生用) Cyathulae Officinalis Radix : 活血祛瘀 通利關節

├ 麻牛膝(生用) Cyathulae Capitatae Radix   : 祛風利濕 活血通經

├ 懷牛膝(酒蒸)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 補肝腎强筋骨

└ 土牛膝(生用) Achyranthis Japonicae Radix  : 淸熱解毒 利尿

6. 甛牛膝 麻牛膝  : 風濕腰膝疼痛 筋攣 血淋 尿血 婦女經閉 癥瘕 등과 같은 活血化瘀力이 더 필요한 질병에 더욱 효과적. 단, 麻牛膝은 일부 문헌에 小毒하다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甛牛膝을 응용하는 것이 더 적합.

【포제】

洗淨한 다음 潤透되면 殘留된 蘆頭를 제거하고 切斷하여 曬乾하여 사용하거나, 酒炙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용량】

6~12g.

【금기】

孕婦와 月經過多者는 服用을 忌한다.

【배합례】

① 當歸 黃芩 등을 配合하여 莖中痛, 小便不通, 腹部堅痛 등에 응용
삼미우슬탕 三味牛膝湯《景岳全書》 治小便不通 莖中痛 及婦人血熱內結 腹堅痛
: 牛膝根葉一握生用 當歸一兩 黃芩去黑心半兩. 上咀 每服一兩許 水一鐘半 煎七分 食遠服 日三.

가미신기환 加味腎氣丸《嚴氏濟生方》 治腎虛腰重腳重 小便不利
: 附子炮二兩 白茯苓去皮 澤瀉 山茱萸取肉 山藥 車前子酒蒸 牡丹皮去木各一兩 官桂不見火 川牛膝去蘆酒浸 熟地黃各半兩. 上為細末 煉蜜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七十丸 空心. 米飲下.

혈부축어탕 血府逐瘀湯《醫林改錯》 治胸中血府血瘀之症. 頭痛 胸疼 胸不任物 胸任重物 天亮出汗 食自胸右下 心裡熱 瞀悶 急躁 夜睡夢多 呃逆 飲水即嗆 不眠 小兒夜啼 心跳心忙 夜不安 俗言肝氣病 乾嘔 晚發一陣熱.
: 當歸三錢 生地三錢 桃仁四錢 紅花三錢 枳殼二錢 赤芍二錢 柴胡一錢 甘草一錢 桔梗一錢半 川芎一錢半 牛膝三錢. 水煎服.

④ 우슬탕 牛膝湯《婦人大全良方》 治胎衣不出 臍腹堅脹急痛即殺人 服此藥胞即爛 下死胎.
: 牛膝 瞿麥各四兩 當歸三兩 通草六兩 滑石八兩 葵子五兩. 上細切 以水九升 煮取三升 分三服. 若衣不下 腹滿即殺人. 推其源 皆是胞衣有血奔心 是以不出也. 或坐婆生疏 斷帶收兒 其衣失於系住 則帶縮入腹中 便不得出.

cf. 우슬탕 牛膝湯《東醫寶鑑》 治産後胞衣不下 腹滿卽殺人 服此卽爛下
: 滑石末二錢 木通 當歸 牛膝 瞿麥各一錢半 冬葵子二錢. 右剉作一貼水煎服[良方]

獨活 細辛 桑寄生 등을 配合하여 風寒濕邪로 인한 下肢關節疼痛, 屈伸不利 등에 응용
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備急千金要方》  治痹證日久 肝腎兩虧 氣血不足 腰膝疼痛 肢節屈伸不利 或麻木不仁 畏寒喜溫 心悸氣短 舌淡苔白 脈象細弱
: 獨活3兩 寄生2兩 杜仲2兩 牛膝2兩 細辛2兩 秦艽2兩 茯苓2兩 桂心2兩 防風2兩 芎窮2兩 人參2兩 甘草2兩 當歸2兩 芍藥2兩 乾地黃2兩. 上㕮咀 以水1鬥 煮取3升 分3服 溫身勿冷. 服湯 取蒴藋葉火燎 厚安席上 熱眠上 冷複燎之. 冬月取根 春取莖 熬 臥之佳.

⑥ 紅花 續斷 當歸 등을 配合하여 跌打損傷 등에 응용
서근활혈탕 舒筋活血湯《傷科補要》 筋絡 筋膜 筋腱損傷. 爲傷筋中期及脫臼複位後調理之
: 羌活 防風 荊芥 獨活 當歸 續斷 靑皮 牛膝 五加皮 杜仲 紅花 枳殼

⑦ 蒼朮 黃柏 薏苡仁 등을 配合하여 濕熱下注로 인한 關節紅腫疼痛, 足膝痿軟 등에 응용

▪ 蒼朮 : 燥濕健脾 ┬ 二妙散 –┐
▪ 黃柏 : 淸熱燥濕 ┘             ├  三妙丸 —┐
▪ 牛膝 : 活血祛瘀 酒蒸補肝腎  ┘             ├  四妙丸 
▪ 薏苡仁 : 利水滲濕 ————————–┘

이묘산 二妙散《丹溪心法》 治筋骨疼痛因濕熱者 有氣加氣藥 血虛者加補藥 痛甚者加生薑汁 熱辣服
: 黃柏 蒼朮米泔浸炒. 上二味為末 沸湯 入薑汁調服. 二物皆有雄壯之氣 表實氣實者 加酒少許佐之. 若痰帶熱者 先以舟車丸 或導水丸 神芎丸下伐 後以趁痛散服之.

○ 삼묘환 三妙丸《醫學正傳》 治濕熱下流 兩腳麻木 或如火烙之熱
: 黃柏四兩切片酒拌略炒 蒼朮六兩米泔浸一二宿細切焙乾 川牛膝去蘆二兩. 上為細末 面糊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五七十丸 空心 薑鹽湯下. 忌魚腥 蕎麥熱面 煎炒等物.

○ 사묘환 四妙丸《成方便讀》 二妙丸 蒼朮 黃柏. 治濕熱盛於下焦而成痿證者. 夫痿者萎也 有軟弱不振之象 其病筋脈弛長 足不任地 步履歪斜 此皆濕熱不攘 蘊留經絡之中所致. 然濕熱之邪 雖盛於下 其始未嘗不從脾胃而起. 故治病者必求其本 清流者必潔其源. 方中蒼朮辛苦而溫 芳香而燥 直達中州 為燥濕強脾之主藥. 但病既傳於下焦 又非治中可愈 故以黃柏苦寒下降之品 入肝腎直清下焦之濕熱 標本並治 中下兩宣 如邪氣盛而正不虛者 即可用之. 本方加牛膝 為三妙丸. 以邪之所湊 其氣必虛 若肝腎不虛 濕熱決不流入筋骨. 牛膝補肝腎 強筋骨 領蒼朮黃柏入下焦而祛濕熱也. 再加苡仁 為四妙丸. 因《內經》有云 治痿獨取陽明. 陽明者主潤宗筋 宗筋主束筋骨而利機關也. 苡仁獨入陽明 祛濕熱而利筋絡 故四味合而用之 為治痿之妙藥也.

熟地黃 麥門冬 知母 등을 配合하여 胃熱陰虛之牙痛, 頭痛, 牙齦出血 등에 응용
옥녀전 玉女煎《景岳全書》 凡陰虛水虧 陽明火盛 煩渴內熱者宜此 … 治水虧火盛 六脈浮洪滑大 少陰不足 陽明有餘 煩熱乾渴 頭痛牙疼 失血等證 如神. 若大便溏泄者 乃非所宜.
: 生石膏三五錢 熟地三五錢或一兩 麥冬二錢 知母 牛膝 各錢半. 水一鍾半 煎七分 溫服或冷服. 如火之盛極者 加梔子地骨皮之屬亦可, 如多汗多渴者 加北五味十四粒, 如小水不利 或火不能降者 加澤瀉一錢五分 或茯苓亦可, 如金水俱虧 因精損氣者 加人參二三錢尤妙.

cf. 옥녀전거우슬숙지가세생지원삼방 玉女煎去牛膝熟地加細生地元參方《溫病條辨》 太陰溫病 氣血兩燔者 玉女煎去牛膝加元參主之. 氣血兩燔 不可專治一邊 故選用張景岳氣血兩治之玉女煎. 去牛膝者 牛膝趨下 不合太陰證之用. 改熟地為細生地者 亦取其輕而不重 涼而不溫之義 且細生地能發血中之表也. 加元參者 取其壯水制火 預防咽痛失血等證也.
: 生石膏一兩 知母四錢 元參四錢 細生地六錢 麥冬六錢. 水八杯 煮取三杯 分二次服 渣再煮一鐘服.

赭石 龍骨 龜板 등을 배합하여 陰虛陽亢 肝風內動으로 인한 頭目眩暈 胸部脹痛 面色如醉 心中煩熱 脈弦張有力 증에 응용
진간식풍탕 鎭肝熄風湯 《醫學衷中參西錄》 治內中風證(亦名類中風 即西人所謂腦充血證) 其脈弦長有力(即西醫所謂血壓過高) 或上盛下虛 頭目時常眩暈 或腦中時常作疼發熱 或目脹耳鳴 或心中煩熱 或時常噫氣 或肢體漸覺不利 或口眼漸形歪斜 或面色如醉 甚或眩暈 至於顛仆 昏不知人 移時始醒 或醒後不能撤銷 精神短少 或肢體痿廢 或成偏枯
: 懷牛膝一兩 生赭石一兩軋細 生龍骨五錢搗碎 生牡蠣五錢搗碎 生龜板五錢搗碎 生杭芍五錢 玄參五錢 天冬五錢 川楝子二錢搗碎 生麥芽二錢 茵陳二錢 甘草錢半. 心中熱甚者 加生石膏一兩, 痰多者 加膽星二錢, 尺脈重按虛者 加熟地黃八錢 淨萸肉五錢, 大便不實者 去龜板 赭石 加赤石脂(喻嘉言謂石脂可代赭石)一兩.

제천전 濟川煎《景岳全書》 凡病涉虛損 而大便閉結不通 則硝黃攻擊等劑必不可用, 若勢有不得不通者 宜此主之. 此用通於補之劑也 最妙最妙 (방제학공통교재 溫腎益精, 潤腸通便. 腎陽虛衰 精津不足, 大便秘結  小便清長 腰膝酸軟 舌淡苔白 脈沉遲)
: 當歸三五錢 牛膝二錢 肉蓯蓉酒洗去咸二三錢 澤瀉一錢半 升麻五七分或一錢 枳殼一錢虛甚者不必用. 水一鐘半 煎七八分 食前服. 如氣虛者 但加人參無礙, 如有火 加黃芩, 如腎虛 加熟地.

⑪ 환소단 還少丹《東醫寶鑑》 治下部脈微細 陰痿不起
: 熟地黃 枸杞子各一兩半 山藥 牛膝 遠志 山茱萸 巴戟 白茯苓 五味子 石菖蒲 肉蓯蓉 楮實子 杜仲 茴香. 右爲末 蜜和棗肉爲丸 梧子大 空心 溫酒或鹽湯下 三五十丸[集略]. 亦有鬱火甚而致痿者 非還少丹所能起 當服黃栢知母 淸火堅腎之藥[節齊]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58-9.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79-8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39-541.


 




각주

  1. Lasioptera achyranthii Shinji, 1939. ‘쇠무릎혹파리’로 알려져 있으나 국가생물종목록(v3 : 430p)에 따르면 ‘비름혹파리’가 표준명이다. https://www.kbr.go.kr/home/rsc/rsc01002v.do?data_gbn_cd=BIO&ktsn_no=120000021377&menuKey=448
  2. 《神農本草經》 牛膝. 味苦 酸(《御覽》作辛). 主寒(《御覽》作傷寒)濕痿痹 四肢拘攣 膝痛不可屈伸 逐血氣 傷熱火爛 墮胎. 久服 輕身‧耐老(《御覽》作能老). 一名百倍 生川谷.
  3. 《名醫別錄》 牛膝. 味酸 平 無毒. 主傷中少氣 男子陰消 老人失溺 補中續絕 填骨髓 除腦中痛腰脊痛 婦人月水不通 血結 益精 利陰氣 止發白. 生河內及臨朐. 二月‧八月‧十月采根 陰乾. (惡螢火‧龜甲‧陸英 畏白前)
  4. 《本草經集註》 牛膝. (為君) 味苦‧酸 平 無毒. 主治寒濕痿痹 四肢拘攣 膝痛不可屈伸 逐血氣 傷熱火爛 墮胎. 治傷中少氣 男子陰消 老人失溺 補中續絕 填骨髓 除腦中痛及腰脊痛 婦人月水不通 血結 益精 利陰氣 止發白. 久服輕身耐老. 一名百倍. 生河內川谷及臨朐. 二月‧八月‧十月采根 陰乾. (惡螢火‧陸英‧龜甲‧畏白前) 今出近道蔡州者 最長大柔潤 其莖有節 似牛膝 故以為名也. 乃云有雌雄 雄者莖紫色而節大為勝爾.
  5. 《證類本草》 臣禹錫等謹按 藥性論云:牛膝 臣 忌牛肉. 能治陰痿 補腎填精 逐惡血流結 助十二經脈. 病患虛羸 加而用之. 日華子云:牛膝 治腰膝軟怯冷弱 被症結 排膿止痛 產後心腹痛並血暈 落死胎 壯陽.
  6. 《本草蒙筌》 牛膝 … 凡入藥劑 酒漬咬咀. 善理一身虛羸 能助十二經脈. 主手足寒濕痿痹 大筋拘攣, 理膀胱氣化遲難 小便短少. 補中續絕 益陰壯陽. 填髓除腰膝酸疼 滑血滋須發烏黑. 竹木刺入肉 嚼爛濃罨, 老瘧久弗痊 單煎連服. 卒得不識惡毒 搗生根敷上即差, 尿管澀痛幾危 煮濃酒飲下立愈. 治女人血症血瘕 月水行遲, 療產婦血暈血虛 兒枕痛甚. 同麝香墮胎甚捷 (牡牛膝一兩‧麝香一錢 搗細 熔蠟搓成長條 插陰戶內即墮). 引諸藥下走如奔. 故凡病在腰腿胻踝之間 必兼用之而勿缺也. 亦宜久服 耐老輕身.
  7. 卷柏의 배합례 참조
  8. 이처럼 인체 하부의 큰 관절에 대해 주효하게 작용하는 牛膝의 효능을 강조하고, 또한 약재 배오(配伍)에 활용하기 위하여 ‘모든 약을 아래쪽으로 인도한다(引諸藥性能下行)’는 특징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本草發揮》 丹溪云 牛膝之用 能引諸藥下至於足.
    《本草約言》 療痿痹拘攣於股節 引諸藥性能下行 治腰腿不宜缺用 ··· 牛膝能引諸藥下行而滋陰活血.
    《本草蒙筌》 凡病在腰腿胻踝之間 必兼用之而勿缺也.
    《醫學入門》 凡腰腿之疾 必用引下
    《本草備要》 足痿筋攣 下行故理足 補肝則筋舒 血行則痛止.
    《本草求眞》 引藥下行 ··· 用於下部經絡血分舒氣則可.
    《本草正義》 能通經絡而利機關 亦惟股膝足脛諸證 最爲捷應 而手臂肩背之病 亦非懷慶牛膝所能呈功.
  9. 《雷公炮製藥性解》 牛膝 … 按:丹溪云 牛膝引諸藥下行 宜入足少陰以理諸疾 婦人得之 應歸血海 故行血有功 脾虛氣陷及腿膝腫者 不宜用之. 有二種 土牛膝所稟薄 故短而細主破血氣.
  10. 《本草彙言》 牛膝. … 是皆足三陰氣滯血瘀之證 惟牛膝可以行之. 大抵牛膝之劑 功在去風活血 故腰膝骨病 與痛風在下者 宜多用之. 欲其補腎滋肝 必倍杞‧朮‧歸‧地‧山茱萸‧鹿角膠可也. 然誤用傷血墮胎 經閉未久疑似有娠者勿用 上焦藥勿用 血崩不止者勿用 胃寒脾泄者勿用.
  11. 《神農本草經疏》 牛膝 … 益補肝則筋舒 下行則理膝 行血則痛止. 逐血氣 猶云能通氣滯血凝也. … 血行則月水自通 血結自散.
  12. 《神農本草經百種錄》 牛膝 … 主寒濕痿痺 四肢拘攣 膝痛不可屈伸 皆舒筋行血之功. 逐血氣 破瘀血也. 傷熱火爛 清熱也. 墮胎 降血氣也. 久服 輕身耐老 血和之功. 此乃以其形而知其性也. 凡物之根皆橫生 而牛膝獨直下 其長細而韌 酷似人筋 所以能舒筋通脈 下血降氣 為諸下達藥之先導也. 筋屬肝 肝藏血 凡能舒筋之藥 俱能治血 故又為通利血脈之品.
  13. 《本草求眞》 … 然味薄氣厚 性沉 炙滑 用於下部經絡血分舒氣則可 若使肺分氣薄遺脫泄瀉 則又當知忌戒 不可因其氣虛而概用之 …
  14. 《本經逢原》 … 蓋腎司閉藏 肝司疏泄 此味專司疏泄 而無固熱之功. 世俗妄謂益腎而培養下元藥中往往用之 與延盜入室何異.
  15. 《本草新編》 … 牛膝 … 近人多用此藥以治血症血瘕 絕無一效 亦未取其功用而一思之也. 夫血症血瘕 乃脾經之病. 牛膝能走於經絡之中 而不能走於腸腹之內. 況症瘕之結痰包血也. 牛膝乃陰分之藥 總能逐血而不能逐痰 此所以終歲而無效耳. 至於血暈血虛 兒枕作痛 尤不宜輕用 而近人用之 往往變生不測 亦未悟用牛膝之誤也. 牛膝善走而不善守 產暈 血虛之極也 無血以養心 所以生暈.
  16. 《本草正》 牛膝 … 走十二經絡 助一身元氣 主手足血熱痿痹‧血燥拘攣 通膀胱澀秘‧大腸乾結 補髓填精 益陰活血 治腰膝痠疼 滋鬚髮枯白. 其性下走如奔 故能通經閉 破血癥 引諸藥下降 同麝香用墮胎尤速. 凡藏寒便滑 下元不固者 當忌用之.
  17. 《本草正義》 其所謂補中續絕‧填骨髓‧益精‧利陰氣諸說 皆壅滯既疏 正氣自旺 萬不可誤認牛膝為填補之品. 腦中痛者 多陽邪之上升 牛膝下行為順 則氣火自潛. 腰脊痛 亦經隧之壅滯 牛膝宣通脈絡 則關節自利. 又主月水不通‧血結等證 則固破瘀導滯之真諦 此皆當就疏通一層著想 則牛膝之真實功用昭昭矣. 《別錄》又謂其止髮白 然通利之品 非養血益陰者可比 必無是理 刪之.
  18. 《本草經解》 牛膝氣平. 稟天秋降之金氣. 入手太陰肺經. 味苦酸無毒. 得地木火之味. 入足厥陰肝經‧手厥陰心包絡. 氣味俱降 陰也. 肺熱葉焦 發為痿痹. 牛膝苦平清肺 肺氣清則通調水道 寒濕下逐 營衛行而痿痹愈矣. 濕熱不攘 則大筋軟短 而四肢拘攣 膝痛不可屈伸矣. 牛膝苦酸 酸則舒筋 苦除濕熱 所以主之也. 逐血氣者 苦平下泄 能逐氣滯血凝也. 傷熱火爛者 熱湯傷 火傷瘡也 苦平清熱 酸能收 斂則止 而瘡愈也. 苦味伐生生之氣 酸滑傷厥陰之血 所以墮胎. 久服則血脈流通無滯 所以輕身而耐老也.
  19. 위《神農本草經百種錄》 《本草彙言》 등 참조.
  20. 현재 국내에서 懷牛膝이 川牛膝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으므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명인 甛牛膝로 표기하였다.
  21. 단, ChP는 粗毛牛膝 Achyranthes aspera L.의 뿌리와 땅속줄기를 ‘土牛膝’로 규정하고 있음.
  22.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