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마두령(馬兜鈴) Aristolochiae Fructus

마두령(馬兜鈴) Aristolochiae Fruct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馬兜鈴《開寶本草》

【생약명】 Aristolochiae Fructus

【이명】 兜鈴《新修本草》 馬兜零《蜀本草》 馬兜苓《珍珠囊》 水馬香果《江蘇植物藥材誌》 葫蘆罐 臭鈴檔 蛇參果

【기원】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 馬兜鈴科)에 속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인 쥐방울덩굴(北馬兜鈴) Aristolochia contorta Bunge과 馬兜鈴 A. debilis Siebold & Zucc.의 성숙한 果實로, 9~10월에 果實이 綠色에서 黃色으로 변할 때 果柄까지 함께 채취하여 曬乾한다.

⊂ ChP, DPRKP

※ 국내공정서 미수재품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목련군 (Magnoliids ; 木蘭類植物)
      후추목 (Piperales ; 胡椒目)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 馬兜鈴科)

※ 마두령 등 3종 한약재 공정서 삭제 (민족의학신문, 682호. 2005년 07월 22일 금)

   청목향·마두령·자하거1 등 3종의 한약재를 공정서 규격에서 삭제하고, 노로통 등 5종의 규격을 신설하는 내용의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개정안이 입안예고됐다. 식약청은 18일 신장독성 및 발암성분인 아리스톨로킨산이 함유돼 지난 6월 1일부터 제조·수입이 금지된 청목향과 마두령을 공정서에서 삭제키로 했다 … 한편, 시중에 유통 중인 청목향과 마두령 또는 이들 한약이 들어간 한약제제는 이달 말까지 수거 폐기해야 하며, 공정서에서 삭제되면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이들 약재가 수입돼 들어오거나 유통될 수 있는 길이 차단돼 사실상 사용이 금지된다. …

쥐방울덩굴(北馬兜鈴)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쥐방울덩굴(北馬兜鈴) Aristolochia contorta Bunge ]

【성상】

마두령(馬兜鈴) Aristolochiae Fructus

[ 馬兜鈴 Aristolochiae Fructus ]

卵圓形으로 길이 3~7㎝, 지름 2~4㎝이다. 표면은 黃綠色, 灰綠色 또는 黃褐色으로 세로로 12개의 능선이 있으며 능선으로부터 여러 개의 脈紋이 가로로 향하여 분출하여 있다. … 果皮는 가볍고 부스러지기 쉬우며, 쪼개면 6개의 조각으로 되며 果梗도 6개로 갈라진다. 果皮내의 표면은 평활하면서 광택을 띠었고 비교적 치밀하며 가로로 향한 脈紋이 있다. 果實은 6개의 室이 있는데 각 室마다 여러 개의 종자가 쌓여 가지런히 배열되어 있다. 종자는 편평하면서 얇으며 둔한 삼각형 또는 扇形으로 길이 6~10㎜, 너비 8~12㎜이며 邊緣에는 깃이 있고 엷은 褐色이다.

【산지】

한국과 중국의 東北(黑龍江 遼寧 吉林 만주), 西北(甘肅 陜西 寧夏), 華北(河北 河南 山西) 등에 분포한다.

【성분】

北馬兜鈴의 성숙과실에는 aristolochic acid A,C,D,E, 7-methoxy-8-hydroxyaristolochic acid 및 β-sitosterol, magnoflorine, allantoin, flavonoid, couma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馬兜鈴의 과실과 종자에는 aristol1ochic acid 관련 성분으로 aristolochic acid A~C, debilic acid, 7-hydroxyaristolochic acid 등이 있다. Alkaloid 성분으로는 magnoflorine, cyclanoline 등이 있고, 휘발성 정유성분으로는 aristolene, Δ1(10)-aristolene, Δ1(10)-aristolone, debilone 등이 있다.

【작용】

· 진해·거담(紫菀·天南星보다는 약함), 진통, 진정, 평활근수축 촉진(aristolochic acid)작용
· 피부진균 억제 작용
· 혈압강하작용

 

【성미】 性微寒 味苦              【귀경】 肺大腸經

【효능】 淸肺降氣 止咳平喘 淸腸消痔

【주치】 肺熱喘咳 痰中帶血 腸熱痔血 痔瘡腫痛

【해설】

1. 淸肺降氣 止咳平喘 : 辛寒 散肺熱 苦寒 降肺氣, 淸肅시키는 가운데 또한 開泄시키는 효능

① 咳嗽痰喘이 肺熱에 속한 자에게 모두 응용

② 肺虛久喘에 補肺止咳약물과 배합하여 응용

2. 淸腸消痔 : 肺大腸表裏 故淸肺熱卽 淸腸熱

① 痔瘡腫痛에 전탕액으로 외용

【포제】

비벼서 筋을 제거한 다음 체로 쳐서 泥土를 제거하여 生用하거나, 정선한 후 蜜炙하여 사용한다. 蜜炙한 후에는 潤肺시키는 작용이 증강되며 또한 涌吐의 부작용을 완화시키므로 일반적으로 蜜炙用한다.

【용량】

4~12g2

【금기】

虛寒咳喘과 感冒咳嗽, 脾胃가 虛寒하여 下痢하는 자에는 복용을 忌하여야 하며, 이 외에도 本品은 涌吐시키는 弊가 있으므로 孕婦나 胃氣虛弱者는 비록 熱痰으로 인한 咳嗽의 증이 있더라도 신중하게 응용하여야 한다.

【배합례】

※ 현재(2023년) 馬兜鈴은 유통이 금지된 상태이므로 아래 처방을 응용할 경우에는 적절한 약물로 대체3하여 응용해야 한다.

① 桑白皮 杏仁 枇杷葉 등을 配合하여 肺熱咳嗽에 응용
상행청폐탕 桑杏淸肺湯《重訂通俗傷寒論》 前哲皆謂冬月多正傷寒證 以予歷驗 亦不盡然. 最多冬溫兼寒 即客寒包火. 首先犯肺之證 輕則桑菊飲 或桑杏清肺湯 加鮮蔥白三枚 淡香豉三錢, 重則麻杏石甘湯 越婢加半夏湯 隨症加味 …
: 霜桑葉 栝蔞皮蜜炙 枇杷葉各三錢 光杏仁 川貝 炒牛蒡各二錢 桂兜鈴 桔梗各一錢

② 阿膠 杏仁 등을 配合하여 肺虛久咳에 응용
아교산 阿膠散 = 보폐산 補肺散 = 보폐아교산 補肺阿膠散《小兒藥證直訣》 治小兒肺虛氣粗喘促
: 阿膠一兩五錢麩炒 黍黏子炒香 甘草炙各二錢五分 馬兜鈴五錢焙 杏仁七個去皮尖炒 糯米一兩炒. 上為末 每服一二錢 水一盞 煎至六分 食後溫服.

계명산 雞鳴丸《萬病回春》 治男婦不問老少 十八般咳嗽吐血諸虛等症如神
: 知母四兩,炒 杏仁去皮尖,二錢 桔梗去蘆,五錢 阿膠麩炒,四錢 葶藶火上焙,三錢 款冬花四錢 旋覆花一兩 半夏薑汁炒,三錢 甘草炙,一兩 陳皮去白,一兩 兜鈴一兩 五味子四錢 麻黃一兩 人參五錢. 上共為細末 煉蜜為丸 如彈子大. 每服一丸 五更 烏梅 生薑 棗子湯下.

④ 보화탕 保和湯《東醫寶鑑》引《十藥神書》4 治虛勞勞嗽肺痿唾膿血
: 知母 貝母 天門 冬款冬花各一錢 麥門冬 天花粉 薏苡仁 杏仁 五味子各七分 馬兜鈴 紫菀 百合 桔梗 阿膠 當歸 生乾地黃酒炒 甘草炙各三分半 紫蘇葉 薄荷各二分. 右剉作一貼 薑三 煎至半 去滓入飴糖 一大匙攪熔化 食後服日三次.

血盛 加蒲黃 茜根 藕節
痰盛 加南星 半夏 陳皮 枳殼 瓜蔞仁
喘急 加桑白皮 葶藶子 陳皮
熱盛 加梔子 片芩 連翹
風盛 加防風 荊芥 金沸草
寒盛 加人參 桂皮

⑤ 마두령산 馬兜鈴散《婦人大全良方》 治妊娠胎氣壅滯 咳嗽喘急
: 馬兜鈴 苦梗 人參 甘草 貝母各半兩 陳皮去白 大腹皮 紫蘇 桑白皮各一兩 五味子七分半.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 姜三片 煎至七分 去滓 無時溫服.

⑥ 槐花 地楡 등을 配合하여 庤瘡下血과 항문주위 腫痛에 응용

 ⑦ 黃芩 夏枯草 釣鉤藤 등을 配合하여 고혈압과 肝陽上亢으로 인한 頭暈面赤에 응용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13-4.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95-778-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99-800.


 




각주

  1. 자하거 앰플은 규격품으로 유통됨(2023년 기준)
  2. 맛이 매우 쓰다. 外洗에는 소량 生用하며, 止咳에는 蜜炙하여 쓴다. 胃弱者는 9g 정도 이상에서 惡心嘔吐가 발생한다.
  3. 예. 細辛 소량으로 대체
  4. 元나라의 葛可久가 편술한 《十藥神書》의 내용을 《醫方類聚》에서 인용하였고, 이를 다시 《東醫寶鑑》이 인용한 것으로 추정함. 馬兜鈴을 제하고 아래 가감법에 따라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