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아출(莪朮) Curcumae Rhizoma

아출(莪朮) Curcumae Rhizoma

강의요약. 생강과(Zingiberaceae)에 딸린 봉아출의 땅속줄기를 ‘아출(莪朮)’ 또는 ‘봉아출(蓬莪朮)’이라고 한다.
 8세기 문헌에는 이름1만 있다가 10세기에 흉복강의 통증과 소화기계 증상 등에 사용하였다고 기록2되었다. 11세기에는 ‘옛날 처방에 사용례가 없다. 지금의 의사들이 적취제기(積聚諸氣)의 가장 요긴한 약으로 쓰며 삼릉(三稜)과 같이 쓰면 좋다.3’는 말과 ‘모든 기를 다스린다(治一切氣). 식욕을 늘리고 소화를 돕는다. 달거리를 통하게 하며, 어혈(瘀血)을 삭힌다. 타박상으로 아프고 피나는 것을 그치게 하며 안으로는 나쁜 피를 덜어 낸다.4’라고 기록되어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현대의 응용과 다름없게 되었다.
 특히. ‘적취제기(積聚諸氣)의 가장 요긴한 약’이라는 언급과 ‘모든 기를 다스린다(治一切氣)’는 효능은 16세기의 ‘뱃속의 취가(聚瘕)를 삭히고, 모든 기(諸氣)가 단단하게 맺힌 것을 깨트린다.5’라는 설명과 17세기의 ‘뱃속의 모든 통증을 낫게 하며 기혈(氣血)이 모두 맺힌 것을 풀어 준다.6’에서 그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해석과 앞서 언급된 주치증을 종합하면, 기혈(氣血)의 응결(凝結)로 유발되어 다양한 체간의 동통7을 나타내는 적취(積聚)나 징가(癥瘕), 현벽(痃癖)8이 아출(莪朮)의 주요한 적응증이었다 볼 수 있다. 응용된 다양한 처방 또한 이 범주에 벗어나지 않으며 대부분 삼릉(三稜)과 동용하였다9.
 한편, 그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선 일부 의가가 ‘온통(溫通)하여 함락시키는 것(攻克)이니 오직 실증에만 마땅하다.10’고 한 것을 음미해 볼만 하다.

【본초명《출전》】 莪朮《藥性論》

【생약명】 

Curcumae Rhizoma

① 蓬莪朮 Curcumae Phaeocaulis Rhizoma

② 溫莪朮(片薑黃11) Curcumae Aromaticae Rhizoma

③ 廣(西)莪朮 Curcumae Kwangsiensis Rhizoma

【이명】 蓬莪朮《藥譜》 蓬莪荗《雷公炮炙論》 廣戌《珍珠囊》 蓬朮《普濟方》 廣朮《本草求眞》

【약성가】

莪朮溫苦破痃癖 消瘀通經止痛劇

【기원】

생강과(Zingiberaceae ; 生薑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蓬莪朮 Curcuma phaeocaulis Valeton 12根莖으로, 겨울에 莖葉이 枯萎한 후에 채취하여 洗淨하고 쪄서 曬乾한다. 

⊂ KP, ChP, THP, JP, DPRKP 

나라마다 기원식물로 인정하는 범위가 상당히 다르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 참조.

KP12 & ChP2015 : 鬱金[= 溫鬱金=川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13과 廣西莪朮 C. kwangsiensis S.G.Lee & C.F.Liang의 根莖도 인정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외떡잎식물군(monocots ; 單叶植物)
       닭의장풀군 (Commelinids ; 鴨跖草群)
          생강목 (Zingiberales ; 薑目)
             생강과 (Zingiberaceae ; 薑科)

봉아출(蓬莪朮) Curcuma phaeocaulis

[ 蓬莪朮 Curcuma phaeocaulis Valeton ]

【성상】

아출(莪朮) Curcumae Rhizoma

[ 봉아출(蓬莪朮) Curcumae Phaeocaulis Rhizoma ]

卵圓形, 圓錘形 또는 長紡錘形으로 길이 2~8㎝, 지름 1.5~4㎝이다. 바깥면은 灰黃色 또는 灰棕色으로 環狀의 마디가 있고 마디에는 鬚根의 흔적이 있다. 體는 重하고 질은 堅實하여 잘 부러지지 않는다. 단면은 灰褐色 또는 藍褐色으로 角質狀이며, 內皮層의 環紋은 棕褐色이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시원하다.

【산지】

中國에서는 廣西, 四川省이 주산지이며, 熱帶地方에서 생산된다.

【성분】 ※ 울금(鬱金) 및 강황(薑黃), 아출(莪朮)의 성분에 관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 蓬莪朮에는 휘발성 정유성분으로 curzerenone(44.93%), borneol(4.28%), germacrone(6.16%), α-/β-pine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효능을 가진 curcuminoid류 성분들도 함유되어 있다.
∙ 廣(西)莪朮에는 휘발성 정유성분으로 borneol, curzerenone, curcumol, α-/β-pin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β-sitosterol, daucosterol, palmi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 溫莪朮(片薑黃)에는 휘발성 정유성분으로 curdione, curcumol, α-/β-pinene, camph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항종양, 면역증강, 항균 작용이 있다.
∙평활근 흥분작용이 있다.
∙혈소판응집억제, 항혈전, 착상억제, 임신중단, 간손상 억제, 신장손상 억제 작용을 한다.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아출(莪朮)’편.]

 

【성미】 性溫 味辛苦     【귀경】 肝脾經

【효능】 行氣破血 消積止痛

【주치】 血氣心痛 飮食積滯 脘腹脹痛 血滯經閉 通經 癥瘕痞塊 跌打損傷

【해설】

1. 行氣破血 消積止痛

┌ 胃腸疾患 또는 滯氣 → 成積    ┬→ 筋肉强直 또는 臍中動氣를

└ 氣滯則血滯 → 血瘀 → 成癥瘕 ┘    동반한 痛症

 → 莪朮 辛散苦泄 溫通行滯 → 破血祛瘀 + 行氣止痛

① 癥瘕積聚를 破하는 要藥

 : 血瘀로 인한 有形堅積의 證에 三稜과 常須하여 응용

② 行氣消積시키는 효력이 비교적 崚猛하여 止痛에 유효

 : 飮食不節이나 脾運化失常으로 인한 脘腹脹滿疼痛에도 적용

2. 莪朮 vs 三稜 :  相須配合하여 攻堅破積의 효능 증강

┌ 莪朮 : 理氣力 > 活血力 → 行氣止痛에 장점

└ 三棱 : 理氣力 < 活血力 → 祛瘀消積에 장점

3. 食積에서 蓬朮과 三棱의 가감

 平胃散 + 二陳湯 = 平陳湯 ┐에서 破積이 필요할 경우에 加

 平胃散 + 五苓散 = 胃苓湯 ┘

【포제】

切片하여 生用하거나, 止痛의 목적으로 醋製하여 사용한다.

【용량】

4~12g.

【금기】

莪朮 및 三稜은 克伐시키는 藥物이므로 正氣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해서 사용한다. 즉, 氣血兩虛와 脾胃가 薄弱하여 積滯가 있는 者는 愼用하여야 하며, 月經過多者와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배합례】

① 분심기음 分心氣飲《仁齋直指方論》 治憂思鬱怒諸氣 痞滿停滯 通利大小便.
: 紫蘇莖葉三兩 半夏 枳殼制 各一兩半 青皮去白 陳橘皮 大腹皮 桑白皮 木通去節 赤茯苓 南木香 檳榔 蓬莪朮 麥門冬去心 桔梗 辣桂 香附 藿香各一兩 甘草炙一兩三分. 上銼散. 每服三錢 水大盞三片二枚 燈心十莖 煎七分 不時服. 里人瘴瘧 經年虛腫 腹脹 食不知飽 以此藥吞溫白丸 見浮腫門. 初則小便數次 後則大便盡通 其病頓愈.

② 파울단 破鬱丹《東醫寶鑑》 治婦人噫氣胸緊 連十餘聲 不盡噯出氣 心頭略寬 不噯卽緊
: 香附子醋煮 梔子仁炒各四兩 黃連薑汁炒二兩 枳實 檳榔 蓬朮 靑皮 瓜蔞仁 蘇子各一兩 右爲末 水丸梧子大 滾水下三五十丸[回春]

③ 대칠기탕 大七氣湯《古今醫鑑》 治五積六聚 狀如癥瘕 隨氣上下 發作有時 心腹疼痛 上氣窒塞 小腹脹滿 大小便不利.
: 三稜 莪朮 青皮 陳皮 桔梗 藿香 益智仁 香附 肉桂 甘草. 上銼 生薑三片一枚 水煎服. 心脾痛 加烏藥‧枳殼. 脾滯 合和四聖散. 一方加大黃‧檳榔 治大人‧小兒諸般痞積 面色痿黃 四肢無力 皆緣內有蟲積 或好食生米 或好食生壁土 或好食茶‧炭‧咸辣等物 只此一服除根. 用水煎一服 露一宿 空心溫服 不得些少飲食 不然則藥力減而蟲積不行矣. 服後少頃 肚腹心疼 當下如魚凍 或長蟲 或血鱉 至日午蟲積下盡 方用溫粥止之.

④ 내소산 內消散《萬病回春》 治過食寒硬之物 食傷太陰 或嘔吐痞滿脹痛.
: 陳皮 半夏薑製 白茯苓去皮 枳實去瓤麩炒 山楂肉 神麯 砂仁 香附 三稜 莪朮 乾生薑. 上銼一劑 水煎溫服

⑤ 대이향산 大異香散《醫學入門》 治穀脹‧氣脹
: 三稜 莪朮 青皮 陳皮 半夏曲 藿香 桔梗 益智仁 香附 枳殼各五分 甘草半分 薑棗煎服.

⑥ 가감위령탕 加減胃苓湯《古今醫鑑》 (〔批〕按此方治黃疸滲濕利水之劑) 治黃疸 飲食無味 四肢無力 行步倦怠 脈澀而濡.
: 蒼朮米泔制 一錢半 陳皮去白 一錢 厚朴薑炒八分 甘草炙三分 豬苓八分 澤瀉一錢 白朮去蘆 一錢 赤茯苓去皮一錢 神麯炒八分 山楂去核七分 砂仁 七分 香附薑汁炒六分 檳榔八分 木瓜一錢 大腹皮六分 藿香 半夏 蘿蔔子 三稜 莪朮 青皮各七分. 上銼一劑 水煎服.

⑦ 향릉환 香稜丸《嚴氏濟生方》 治五積 破痰癖 消癥塊及冷熱積聚.
: 木香不見火 丁香各半兩 京三稜細銼酒浸一宿 枳殼去瓤 麩炒 莪朮細銼 一兩 用去殼巴豆三十粒 同炒巴豆黃色 去巴豆不用 靑皮去白 川楝子銼 炒 茴香炒. 上等分 為細末 醋煮麵糊為丸 如梧桐子大 以硃砂研極細為衣 每服二十丸 炒生薑鹽湯下 溫酒亦得 不拘時候.

⑧ 귀출파징탕 歸朮破癥湯《東醫寶鑑》 治月經不通 腹中有積塊 疼痛
: 香附子醋炒一錢半 三稜 蓬朮並醋煮 赤芍藥 白芍藥 當歸尾 靑皮 各一錢 烏藥七分 紅花 蘇木 官桂 各五分. 右剉作一貼 入酒少許水煎服<集略>

⑨ 반총산 蟠蔥散《醫學入門》 治男婦脾胃虛冷 氣滯不行 攻刺心腹 痛連胸脅 膀胱 小腸腎氣及婦人血氣刺痛 並皆治之.
: 玄胡索 肉桂 乾薑各一分 蒼朮 甘草各四分 砂仁 檳榔 丁皮各二分 三稜 莪朮 靑皮 白茯苓各三分 連須蔥一根 水煎熱服.

목향빈랑환 木香檳榔丸《儒門事親》 (《東醫寶鑑》治濕熱氣滯痞痛)
 : 木香 檳榔 靑皮 陳皮 廣朮 黃連麩炒以上各一兩 黃柏 大黃各三兩 香附子 牽牛各四兩. 上為細末 水丸如小豆大. 每服三十丸 食後 生薑湯送下.

⑪ 십장군환 十將軍丸《丹溪心法附餘》治瘧疾日久不愈 邪氣伏藏脅腹 結為瘧母
: 三稜去毛土炮 莪朮 靑皮去白 陳皮去白各一兩 草果去殼 川常山各二兩 砂仁 檳榔 烏梅 半夏湯泡七次各一兩. 上藥先將常山‧草果二味銼碎 用酒‧醋各一椀浸一夜 後入餘藥同.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47-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5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491-2.


 




각주

  1. 《本草拾遺》 蓬莪荗 一名蓬莪 黑色, 二名蒁 黃色, 三名波殺 味甘 有大毒
  2. 《開寶本草》 蓬莪荗. 味苦‧辛 溫 無毒. 主心腹痛 中惡疰忤鬼氣 霍亂冷氣 吐酸水 解毒 飲食不消 酒研服之. 又療婦人血氣 丈夫奔豚. 生西戎及廣南諸州. 子似乾椹 葉似蘘荷 荗在根下 並生一好一惡 惡者有毒. 西戎人取之 先放羊食 羊不食者棄之
  3. 《本草圖經》 … 今醫家治積聚諸氣爲最要之藥 與京三稜同用之良.
  4. 《證類本草》 蓬莪朮. … 日華子云 : 得酒‧醋良. 治一切氣 開胃消食 通月經 消瘀血 止撲損痛下血 及內損惡血等. 此即是南中薑黃根也.
  5. 《本草約言》 莪朮. 味辛‧甘 氣溫 無毒 陽中之陰 可升可降. 消心腹之聚瘕 破諸氣之固結. 既爲治氣之需 又破氣中之血. 入足陽明經. 與三稜功用大率相同 但破血中氣‧氣中血爲少異耳. 二味欲先入血則醋炒 欲先入氣則火炮用之. 色黑屬血分 以其辛溫 破氣中之血藥也. 今治積聚諸氣爲要藥 女科中多用之. 入氣藥仍發諸香 雖爲泄劑 亦能益氣. 故孫用和治氣短不接續 大小七香丸‧集香丸散 及湯內多用此. 然必氣不續者用之可 若肺虛短氣不可用. 亦治小兒食積.
  6. 《本草易讀》 莪朮六十六. 醋炒用. 辛苦氣溫 無毒. 破血行氣 消積去瘀 開胃化食 通經解毒. 療心腹諸痛 解氣血諸結. 奔豚痃癖之疾 霍亂吐酸之疴.
  7. 《本草正》 ·· 在中焦 攻飲食氣滯不消‧胃寒吐酸膨脹. 在下焦 攻奔豚‧痃癖‧冷氣積聚‧氣腫‧水腫 ···

    《本草滙言》 若胃脘作疼 牽引背脅 而痛難展側. 若吞酸吐酸 刺心如醋 而胸膈不淸. 若停食停飲 霍亂吐瀉 而驀然暴作. 若奔豚疝瘕 攻疰小腹 而挺痛勿安. 若盤腸內釣 肚腹絞痛 而面色靑黑. 凡病食飲氣血痰火停結而不運 或邪客中下二焦 臟腑壅滯 陰陽乖隔 不得升降 或鬱久不通 而致損脾元者 雖爲泄劑 用此 頃能撥邪反正 諸疾自平. 通胃行食 ··· 行氣破血, 散結消滯 ···

    《得配本草》 蓬莪朮. 音述 一名蒁藥. 得醋‧酒良. 辛‧苦‧溫. 入足厥陰經氣分. 破氣中之血. 凡氣血凝結作痛者俱效. 配木香 療冷氣攻心. 使阿魏 治小兒盤腸. (積邪破也) 此物極堅硬難搗 須麵裹煨透 乘熱搗之. 以醋炒 或以酒炒 能引入血分. 或磨用 宜合參‧朮不損元氣. 病患積塊 攻之始破其結 補之益助其邪. 然攻之不得其方 致令元氣日虧 積聚愈逞 醫者每致束手. 當此惟有外用散氣消積膏藥 內用補氣滋陰等劑 庶幾攻補並得其效 莪朮非可輕進也.

  8. 《本草便讀》 莪朮. 辛苦入肝脾. 破氣行瘀磨積聚. 溫香疏臟腑. 除痰散滯逐寒凝. (莪朮肝經氣分藥也. 能破氣中之血. 辛苦而溫. 性剛猛. 善克削. 攻一切痃癖積聚. 血凝氣滯等證. 每每與三稜並用. 或嫌其峻厲. 當以醋炒用之.)

    《本草求眞》 莪朮. (芳草)瀉肝氣分之血. 莪朮(專入肝). 辛苦氣溫 大破肝經氣分之血. 蓋人血氣安和 則氣與血通 血與氣附 一有所偏 非氣盛而血礙 即血壅而氣滯. 三稜氣味苦平 既於肝經血分逐氣 莪朮氣味辛溫 復於氣分逐血 故凡氣因血窒而見積痛不解 吐酸奔豚 痞癖癥瘕等症者 須當用此調治(按之應手爲癥 是因傷食所得 假物成形爲瘕 是因傷血所得 見於肌膚 可見爲痞 是因傷氣所得 結於隱癖 不見爲癖 是因積聚所得. 五積 肝積曰肥氣 在左脅下形如覆杯 有頭有足 如龜鱉狀. 心積曰伏梁 起於臍上 大如手臂 上至心下. 脾積曰痞氣 在胃脘 覆大如盤. 肺積曰息奔 在右脅下 覆如大杯. 腎積曰奔豚 發於少腹 上至心下 如豚奔走之象 或上或下 亦無定時. 經曰 大積大聚 毒可犯也 衰其大半而止 過者死. 故去積 須以甘溫調養. 又曰 壯者氣行則已 怯者則著而成病. 潔古云 壯人無積 惟虛人則有之 故養正則邪自除) 俾氣自血而順 而不致閉結不解矣! 但蓬朮雖屬磨積之味(血積宜用桃仁山甲乾漆大黃虻蟲蓬朮瓦楞子 痰積宜用半夏南星白朮枳實礞石硝石風化硝白芥子海石蛤粉 水積宜用大戟甘遂蕘花芫花 酒積宜用乾葛神麯砂仁豆蔻黃連乾薑甘遂牽牛 茶積宜用薑黃茱萸椒薑 癖積宜用三稜莪朮巴霜大黃 肉積宜用山楂阿魏硝石 蠱積宜用雄黃錫灰檳榔雷丸蕪荑使君子鶴蝨 瘧積宜用桃仁鱉甲草果). 若虛人服之 最屬可危 須得參朮補助爲妙. 大者爲廣朮(頌曰 此物極堅硬難搗) 灰火煨透 乘熱搗之 或醋磨酒磨 或煮熟用.

    《本草正義》 蓬莪荗 [發明](注 : 項名原缺 今補)今作蓬朮 亦作蓬莪朮. 荗字從草從戍 而讀如術 義不可曉 字書唯一見於《字彙補》 亦不詳其義. 此物生於根下 質極堅硬 味苦辛溫 故爲下氣除寒 消食逐飲 破積攻堅 通瘀行血 亦除癥瘕之藥. 《開寶本草》謂 : 治小腹痛 霍亂冷氣 吐酸水 解毒 食飲不消 婦人血氣 結積 丈夫奔豚, 甄權謂 破痃癖冷氣, 海藏謂 通肝經聚血, 《大明》謂 治一切氣 開胃消食 通月經 消瘀血 止撲損痛下血及內損惡血. 無一非溫通攻克作用 惟實病爲宜 故石頑謂虛人得之 積不去而真已竭 殊爲可慮 須得參‧朮健運 補中寓瀉 乃爲得力.

  9. 자세한 내용은 본문의 배합례와 ‘삼릉(三稜)’ 참조

    《本草備要》 莪朮香烈 行氣通竅 同三稜用 治積聚諸氣良 ··· 宜於破血行氣藥中 加補脾胃藥. 氣旺方能磨積 正旺則邪自消也.

    《藥性切用》 入肝 散瘀行氣 消癥瘕痃癖 醋摩醋炒. 烈於鬱金 虛人酌用. ··· 荊三稜 血中氣藥 入肝 破瘀開結 消堅積老塊 醋炒‧麵煨 其力峻於蓬朮 虛人忌之.

  10. 위 주석 중 《本草正義》 참조
  11. ChP는 鬱金[= 溫鬱金=川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의 根莖을 ‘片薑黃’이라는 별도의 약물로 수재하고 있다.
  12. Curcuma zedoaria (Christm.) Roscoe
  13. = Curcuma wenyujin Y.H.Chen & C.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