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북오두(北烏頭) Aconiti Kusnezoffii Tuber

초오(草烏) Aconiti Kusnezoffii Tuber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草烏《藥譜》    

【생약명】 

· 北烏頭 Aconiti Kusnezoffii Tuber
· 卷毛蔓烏頭 Aconiti Volubile Tuber 또는 Aconiti Ciliare Tuber
· 鴨綠烏頭 Aconiti Jaluensis Tuber 

【이명】 烏頭《神農本草經》 烏喙《神農本草經》 毒公《吳普本草》 土附子《日華子本草》 竹節烏頭《本草綱目》

【약성가】 草烏熱毒治腫毒  風寒濕痺皆可督 

【기원】1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毛茛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이삭바꽃(北烏頭) Aconitum kusnezoffii Rchb.2 또는 놋젓가락나물(卷毛蔓烏頭) A. volubile var. pubescens Regel 3, 투구꽃(나도싹눈바꽃, 鴨綠烏頭) A. jaluense Kom. 4의 塊根으로, 가을에 잎이 말랐을 때 채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THP, DPRKP

※ ChP 및 THP는 ‘이삭바꽃’만 인정, DPRKP는 ‘놋젓가락나물’을 불인정

※ 독성주의한약재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叶植物)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les ; 毛茛目)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毛茛科)

이삭바꽃(北烏頭) Aconitum kusnezoffii Rchb.

[ 이삭바꽃(北烏頭) Aconitum kusnezoffii Rchb. ]

 

놋젓가락나물(卷毛蔓烏頭) Aconitum volubile var. pubescens Regel

[ 놋젓가락나물(卷毛蔓烏頭) Aconitum volubile var. pubescens Regel ]

 

투구꽃(나도싹눈바꽃, 鴨綠烏頭) Aconitum jaluense Kom.

[ 투구꽃(나도싹눈바꽃, 鴨綠烏頭) Aconitum jaluense Kom. ]

 

【성상】

Aconitum種이 많아 1種으로 규정이 어렵다 : 母根과 子根이 서로 붙어 있는 모습이다. 母根은 고르지 않은 長圓錐形으로 약간 구부러졌으며 烏鴉頭모양(烏喙)이고, 윗쪽에는 줄기자국이나 枝根흔적(釘角)이 남아 있다. 표면에 쭈그러진 세로주름이 있으며, 點狀의 鬚根痕과 여러개의 돌출된 枝根(釘角)이 있다. 子根은 母根에 비해 길며, 표면이 매끄럽고 비교적 작거나(이삭바꽃), 母根에 비해 長圓柱形으로 훨씬 길며 표면에 뚜렷한 세로주름(투구꽃)이 있다. 전체적으로 크기와 절단면의 粉性 및 髓部의 모양으로 구분된다.

 

북오두(北烏頭) Aconiti Kusnezoffii Tuber

[ 北烏頭 Aconiti Kusnezoffii Tuber ]

母根과 子根의 크기가 크고(직경 0.6∼1.8cm), 절단면은 粉性이 있으며, 髓部가 크거나 구멍이 있다.

 

卷毛蔓烏頭 및 鴨綠烏頭 Aconiti Volubile seu Jaluensis Tuber

[ 卷毛蔓烏頭 또는 鴨綠烏頭 Aconiti Volubile seu Jaluensis Tuber ]

母根과 子根의 크기가 작고(직경 0.4∼1.2cm), 절단면은 粉性이 없으며 髓部가 작고 충실하다.

 

【산지】

이삭바꽃은 우리나라 북부와 중국에 분포하고, 놋젓가락나물과 투구꽃은 한국과 중국의 東北(黑龍江 遼寧 만주), 華北 등에 분포

【성분】

北烏頭 :  alkaloid 성분으로 mesaconitine, hypaconitine, aconitine, 3-deoxyaconitine, beiwutine, beiwusine A~B, higenamine 등을 함유. Norditerpenoid alkaloid로 aconine, beiwudine 등을 함유.

【작용】

· 진통작용(aconitine)을 하는데, 甘草·黑豆로 炮製한 뒤에도 진통효과는 유지됨
· 소염, 강심(aconitine), 혈소판응집 억제, 항혈전, 항히스타민(총알칼로이드), 국소마취(총알칼로이드) 작용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초오(草烏)’편 ]

 

【성미】 性熱 味辛苦 大毒     【귀경】 心肝腎脾經

【효능】 祛風除濕 溫經止痛

【주치】 風寒濕痺 關節疼痛 心腹冷痛 寒疝作痛 痲醉止痛

【해설】

1. 祛風除濕 溫經止痛 : 辛苦熱하며 表에 있는 風邪를 散하고, 裏에 있는 寒濕을 逐

→ 寒性에 속한 風濕痺痛의 證을 치료

2. 開豁痰 : 中風半身不遂의 證에 응용

3. 外用하여 陰疽腫硬에 응용(부분마취 및 궤파를 유도)

4. 附子5 vs 川烏6 vs 草烏

: 상대적으로 “附子는 逐寒하고 烏頭는 祛風한다”거나 “烏頭는 逐寒하고 草烏는 祛風한다” 등으로 비교 설명

 ① 溫裏力    : 附子> 川烏 > 草烏 

 ② 祛風濕力 : 草烏> 川烏 > 附子

5. 성미 효능 응용법 용법 및 주의사항이 川烏頭와 유사하나, 편성이 더욱 강하므로 急疾이 아니면 久服을 삼가해야 한다.

6. 中毒症 : 附子中毒症과 거의 동일(舌麻痺 · 惡心 · 眩暈 · 四肢麻痺 등으로 시작하여 動悸 · 不整脈 · 血壓降下 심하면 痙攣 死亡)

7. 草烏毒에 대한 일반적인 대처방법

1) 민간 : ① 명태(寒性)와 함께 끓여 사용 ② 돼지足(猪蹄)과 함께 끓여 사용 ③ 돼지머리와 함께 끓여 사용

2) 처방 : 일단 복용을 중지시키고 위세척 후 寒性藥과 解毒藥 등을 사용(甘豆湯 or 竹葉石膏湯 or 黃連解毒湯 加 白首烏)

【포제】

生用 혹은 製用 (附子 烏頭와 마찬가지로 炮製하여 사용함이 원칙임)

① 草烏에 냉수를 가하여 3~5일간 浸한 후에 甘豆湯에 煮沸하는데, 白心이 없어질 때까지 하여 晒乾하여 사용

② 草烏를 生薑湯에 3~4일간 浸한 후에 淸蒸하고 武火로 急炒하여 사용

③ 草烏에 약 10배의 물을 넣고 10~14시간 煮沸하여 속의 白心이 없어질 때까지 실시하며, 이후 文火로 가열하여 물이 마를 정도로 졸여서 햇볕에 말리거나 烘乾

【용량】

2~4g.

【금기】

독성이 있으므로 生品을 內服하여서는 안되며, 孕婦는 복용을 忌하고, 半夏 瓜蔞 貝母 白及 白斂 犀角 등과 同用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

【배합례】

① 추풍산 追風散《東醫寶鑑》引《仁齋直指方論》 治偏正頭風 及面上遊風 狀如蟲行
: 川烏 石膏 白殭蠶 川芎 防風 荊芥 甘草各五錢 南星 白附子 羌活 天麻 全蝎 地龍 白芷各二錢半 草烏 沒藥 乳香 雄黃各一錢二分半. 右爲末每 半錢 臨臥茶淸 或溫酒調下.

cf. 추풍산 追風散《仁齋直指方論》引《太平惠民和劑局方》 治諸風上攻 頭疼目眩 鼻塞聲重 皮膚瘙癢 眉角牽引. 婦人血風 一切頭風 並皆治之.
: 白殭蠶去絲嘴,炒 荊芥各二兩 石膏 川烏炮,去皮臍 防風去蘆叉 各四兩 全蠍炒,一錢 川芎三兩 麝香 甘草炙,各一兩. 上為末 每服半錢 食後臨臥 茶調下.

② 일자경금산 一字輕金散《東醫寶鑑》引《世醫得效方》 治偏正頭風痛夾腦風 眉稜骨痛 牽引兩眼 抽掣疼痛 迸出 或生瞖膜視物不明
: 川芎 白芷 藿香 荊芥 旋覆花 石膏 防風各五錢 南星 川烏生各二錢半 草烏一錢半. 右剉日晒擣爲末 每一字 茶淸調下神效

③ 칠생환 七生丸《東醫寶鑑》引《萬病回春》 治男女八般頭風 及一切頭痛 痰厥 腎厥 傷寒 傷風頭痛幷治
: 川芎 川烏 草烏 南星 半夏二味冷水洗去滑 白芷 石膏俱生用各等分 細辛 全蝎各減半. 右細末 硏取 韭菜自然汁和丸梧子大 嚼生葱 茶淸送下七丸 或九丸

④ 방풍천마산 防風天麻散《東醫寶鑑》引《醫學正傳》 治風濕麻痺 走注疼痛 或偏枯 或暴瘖
: 滑石二兩 防風 天麻 川芎 羌活 白芷 草烏 白附子 荊芥穗 當歸 甘草各五錢. 右爲末 蜜丸彈子大 每取半丸 或一丸 熱酒化下 覺藥力運行微麻爲度 此散鬱開結 宣風通氣之妙劑也. 或爲末 蜜酒調下一錢.

활락단 活絡丹 = 소활락단 小活絡丹《東醫寶鑑》引《太平惠民和劑局方》 治一切痛風 筋脈拘攣沈痛 時或上衝
: 川烏 草烏 南星 地龍焙各一兩 乳香 沒藥各二錢二分. 右爲末 酒糊和丸梧子大 空心溫酒下 二三十丸.

⑥ 옥분환 玉粉丸《東醫寶鑑》引《本草綱目》 治冬月寒痰結塞語聲不出
: 半夏洗薑製五錢 草烏熟炒 桂心各二分半. 右爲末 薑汁浸蒸餠和丸 芡實大每一丸至夜含 化年久者亦效

⑦ 사호산 四虎散《外科正宗》 治癰疽腫硬 厚如牛領之皮 不作膿腐者宜用
: 南星 草烏 半夏 狼毒各等分. 上為細末 用豬腦同搗 遍敷瘡上 留正頂出氣.

⑧ 초오게독산 草烏揭毒散《景岳全書》 治一切癰疽腫毒
: 草烏 貝母 天花粉 南星 芙蓉葉等分. 上為末 用醋調搽四圍 中留頭出毒 如干 用醋潤之.

소금단 小金丹《外科證治全生集》 治一切陰疽 流注 痰核 瘰癧 乳岩 橫痃等證
: 白膠香 草烏 五靈脂 番木鱉另有製法 地龍各一兩五錢末 乳香去油 沒藥去油 歸身各七錢五分末 麝香三錢 墨炭一錢二分即陳年錠子墨略燒存性研細. [批] 番木鱉 水浸半月 煮數沸 再浸熱湯中數日 刮去皮心 用香油煎百余沸 撈炒 入盆中拌罨一夜去土用. 上各末稱足 共歸一處和勻 用糯米一兩二錢研粉為濃糊和入諸末 搗千棰為丸如芡實大. 此浸藥 用小杯合蓋 約浸一二時 以銀物加研 熱陳酒沖服 醉蓋取汗. 凡流注等證初起 服消乃止. 如成膿將潰 潰久者當以十丸作五日早晚服 杜其流走 庶不增出. 但方內五靈脂與人參相反 不可與有參之藥同日服. 孕婦忌此.

⑩ 과반산 瓜礬散 《東醫寶鑑》引《醫學入門》 去鼻痔
: 瓜蔕四錢 甘遂一錢 枯白礬 螺殼 草烏尖 各五分 右爲末麻油 調作丸如鼻孔大 每日一次 以藥納鼻內 令達痔肉上 其痔化爲水肉 皆爛下卽愈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306-7.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634-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307-10.


 




각주

  1. 2023년 현재 국내 공정서에 이명으로 수재된 학명을 정명으로 대체하여 기재함. 각 종의 이명은 아래 주석 참조
  2. = Aconitum birobidshanicum Vorosch.
    Aconitum gibbiferum Rchb.
    Aconitum kusnezoffii subsp. birobidshanicum (Vorosch.) Luferov
    Aconitum kusnezoffii var. birobidshanicum (Vorosch.) S.X.Li
    Aconitum kusnezoffii var. crispulum W.T.Wang
    Aconitum kusnezoffii var. kusnezoffii
    Aconitum kusnezoffii var. nutans Finet & Gagnep.
    Aconitum kusnezoffii var. tenuisectum Regel
    Aconitum kusnezoffii var. yamatutae (Nakai) Kitag.
    Aconitum ningwuense W.T.Wang
    Aconitum pulcherrimum Nakai
    Aconitum pulcherrimum subsp. birobidshanicum (Vorosch.) Vorosch.
    Aconitum pulcherrimum subsp. luferovii Vorosch.
    Aconitum pulcherrimum var. dissectum (Regel) Nakai
    Aconitum pulcherrimum var. tenuisectum (Regel) Nakai
    Aconitum triphylloides Nakai
    Aconitum villosum Maxim.
    Aconitum volubile var. pulcherrimum (Nakai) U.C.La
    Aconitum yamatsutae Nakai
  3. = Aconitum amurense Nakai
    Aconitum ciliare DC.
    Aconitum ciliare var. polytrichum DC.
    Aconitum flaccidum Rchb.
    Aconitum villosum var. amurense (Nakai) S.H.Li & Y.H.Huang
    Aconitum volubile var. oligotrichum (DC.) Kitag.
  4. = 지리바꽃 Aconitum chiisanense Nakai
    Aconitum jaluense var. jaluense
    Aconitum jaluense var. paniculigerum (Nakai) S.X.Li
    Aconitum jaluense var. triphyllum (Nakai) U.C.La
    Aconitum jaluense var. truncatum S.H.Li & Y.H.Huang
    Aconitum kaimaense Uyeki & Sakata
    Aconitum kitagawai Nakai
    Aconitum koreanum Nakai
    Aconitum liaotungense Nakai
    암술바꽃 Aconitum paniculigerum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f. glabrescens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f. ochroleucum Nakai
    Aconitum paniculigerum var. leiocarpum Nakai ex Kitag.
    Aconitum paniculigerum var. ochroleucum (Nakai) U.C.La
    Aconitum paniculigerum var. paniculigerum
    Aconitum proliferum Nakai
    Aconitum pseudoproliferum Nakai
    Aconitum saitoanum Ohwi
    Aconitum saxatile Vorosch. & Viorobiev
    Aconitum sczukinii subsp. subalpinum (A.I.Baranov) Vorosch.
    Aconitum seoulense Nakai
    Aconitum sichotense Komarov
    Aconitum stenanthum Nakai
    Aconitum subalpinum A.I.Baranov
    세잎돌쩌귀 Aconitum triphyllum Nakai
    Aconitum triphyllum var. manshuricum Nakai
    Aconitum uchiyamae Nakai
  5. Aconitum carmichaeli의 子根
  6. A. carmichaeli의 母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