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川貝母1《神農本草經》
【생약명】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2
【이명】 虻《詩經》 黃虻《管子》 貝母《本經》 莔 勤母 藥實
【약성가】 貝母微寒痰嗽宜 開鬱除煩肺癰痿
【기원】
※ 기원식물에 따른 구분 및 감별 등은 여기를 참조
나리과(Liliaceae ; 百合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川貝母(卷葉貝母) Fritillaria cirrhosa D.Don. 또는 暗紫貝母 F. unibracteata P.K.Hsiao & K.C.Hsia, 梭砂貝母 F. delavayi Franch., 甘肅貝母 F. przewalskii Maxim. ex Batalin의 鱗莖으로, 여름과 가을에 채집하여 曬乾 또는 저온에서 건조.
기원 식물과는 별개로 모양에 따라 ‘송패(松貝)’ 또는 ‘청패(靑貝)’, ‘노패(爐貝)’ 등3으로 나누기도 한다.
⊂ KP, ChP4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
나리목 (Liliales ; 百合目)
나리과(Liliaceae ; 百合科)
[ 卷葉貝母 Fritillaria cirrhosa D.Don. (좌), 暗紫貝母 F. unibracteata P.K.Hsiao & K.C.Hsia(중), 棱砂貝母 F. delavayi Franch.(우) ]
【성상】
[ 卷葉貝母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좌상), 暗紫貝母 Fritillariae Unibracteatae Bulbus(우상), 甘肅貝母 Fritillariae Przewalskii Bulbus(좌하), 棱砂貝母Fritillariae Delavayii Bulbus(우하)]
※ 고가의 약물로 혼위품이 많다. 혼위품과의 상세한 감별은 여기를 참조
類圓錘形~近球形 … 지름 0.3~0.9㎝ … 표면은 乳白色이고, 외층은 鱗葉이 두 쪽으로 크고 작은 것이 뚜렷하며, 큰 쪽이 작은 쪽을 싸고 있다. 頂端은 閉合 … 중심에는 한 개의 灰褐色 鱗梗盤이 있다. 質은 단단하면서도 잘 부스러지며, 단면은 白色이며 粉性이 풍부하다.
【산지】
해발 2800~4000m 사이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며 중국의 四川省 西北部의 阿藏族自治州와 靑海 東南部의 果洛藏族自治州, 甘肅省 西南部의 甘南藏族自治州 및 雲南, 西藏省 등지에서 생산.
【성분】
※ 상세한 성분 및 구조 등은 여기를 참조
· 卷葉貝母의 鱗莖에는 alkaloid 성분으로 fritimine, sipeimine, chinpeimine, sonpeimine, songbeinone, peimisine, demissid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 暗紫貝母의 鱗莖에는 alkaloid 성분으로 songbeisine, songbeinine, songbeinone, sipeimi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그 밖에 sucrose, stearic acid, palmitic acid, 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 棱砂貝母의 鱗莖에는 alkaloid 성분으로 delavine, delavinone, chuanbeinone, delafrine, delafrinone, (22R,25S)-soland-5-en-3β,5α,6β-triol, peimisine, sipeimine, fritimine, fritimin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 甘肅貝母의 鱗莖에는 alkaloid 성분으로 minpeimine, minpeiminine, chuanbeinone, delavinone, sipeim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기관지 평활근을 확장하며 분비를 감소시킨다
· 진해거담작용이 있다.
· 동공을 확대하고 혈압을 떨어뜨린다.
· 자궁흥분 작용과 자궁수축 촉진, 소장평활근 수축 억제, 혈당상승(fritimine), 항균 작용을 한다.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패모(貝母)’편 ]
【성미】 性微寒 味苦甘 【귀경】 肺心經
【효능】 淸熱潤肺 化痰止咳
【주치】 肺熱燥咳 乾咳少痰 陰虛勞嗽 喀痰帶血
【해설】 (명대 중반에서야 川貝와 浙貝가 구분되어 쓰이기 시작)
1. 淸熱潤肺 化痰止咳
① 微寒甘하여 淸肺化痰으로 止咳 : 痰熱로 인한 咳嗽에 응용
② 滋潤性이 강하여 潤肺化痰시키는 특성을 겸함 : 肺熱燥咳와 肺虛勞嗽의 증에 다용
2. 川貝母는 상대적인 虛症에 多用하고, 浙貝母는 상대적인 實症에 多用
3. 貝母 vs 半夏 : 止咳化痰에 상용하는 약물 → 咳嗽痰多한 증을 치료
┌ 半夏(燥) : 辛溫 燥濕化痰 入脾肺經 : 寒痰과 濕痰에 적용
└ 貝母(潤) : 苦涼 淸肺化痰 入肺心經 : 熱痰과 燥痰에 적용
4. 慢性咳嗽등에 祛痰의 목적으로 紫菀 款冬花 百部根 貝母의 조합
┌ 紫菀 款冬花 百部根은 溫性으로서 止咳平喘
└ 貝母는 寒性으로 止咳平喘 → 反佐의 역할
【포제】
生用 또는 散劑로 만들어 사용한다.
【용량】
3~9g (硏粉冲服 1回 1~2g).
【금기】
Aconitum속을 기원으로 하는 약재와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되며, 寒痰과 濕痰으로 인한 痰多咳嗽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 상세한 배합례는 절패모 참조
① 杏仁 麥門冬 紫菀 등 潤肺化痰시키는 약물을 配合하여 肺虛久嗽로 痰少咽燥口乾한 증상을 치료한다(예:貝母散).
② 沙蔘 麥門冬 天門冬 등을 配合하여 肺虛久嗽를 치료한다.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9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51-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93-4.
각주
- 謂形似聚貝子 故名貝母
- 기원식물을 모두 포함하여 표기한 생약명은 ‘Fritillariae Cirrhosae seu Unibracteatae seu Przewalskii seu Delavayii Bulbus’이다
- 송패는 사천의 송번(松潘)현의, 청패는 사천성 청천(靑川)현의 특산이라는 점에서 유래한 이름이고, 노패는 청해나 운남, 사천 등에서 생산되어 사천성 타전노(打箭爐 ; 현재의 康定시)에 집산되었음에 유래한 이름이다. 노패는 다시 산출되는 지역에 따라 청해의 옥수(玉樹)나 사천의 감자(甘孜)현과 같이 북쪽에서 나는 것을 북로화(北路貨), 운남의 금사강(金砂江) 중전(中甸) 여강(麗江)과 같이 남쪽에서 나는 것을 남로화(南路貨)로 구분하기도 한다.
- 태백패모(太白貝母)와 와포패모(瓦布貝母)까지 모두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