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삽정축뇨지대약

제18장 수삽약(收澀藥)

땀이나 대변, 소변, 정액, 질내분비물 등이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활탈불금(滑脫不禁)한 증후라 한다. 본초학에서는 이와 같은 증후에 자주 사용한 약물을 묶어 수삽약(收澀藥)이라 분류한다. 그 효능은 거두어 간직한다는 의미에서 수렴(收斂), 나가는 것을 견고하게 지키거나 늦춘다는 의미에서 고삽(固澀)이라 한다.
 앞 장에서 다룬 다른 약물도 이러한 효능을 더러 지니기도 하나, 그런 약물은 여기에서 다루는 약물에 비해 비교적 편성이 강하거나 유발 원인에 따른 치료에 사용한다는 점에서 수삽약으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즉, 수삽의 효능이 있으나 다른 약물에 비해 활용 분야가 애매한 약물을 배속시켰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삽약의 많은 본초가 식약공용한약재에 해당한다.

제3절 삽정축뇨지대약(澁精縮尿止帶藥)

자신의 의사와는 관련없이 정액이나 소변, 냉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될 때 응용하는 약물을 삽정축뇨지대약으로 분류한다. 고대의 한의학에서는 신체의 허약을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하였기에 이 약물군에 속하는 것은 대체로 인체를 보익하는 효능을 겸한 것이 많다. 그러나 의식주가 개선된 지금에는 앞서의 증상이 꼭 허약을 기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현한 환자가 많으므로 해당 약물의 적용 여부뿐만 아니라 배합 약물의 선택에 주의해야 한다.

오미자(五味子) Schisandrae Fructus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다섯 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오미자’로 불린다. 완만한 효력을 지녀 장기 복용 처방에 응용하는 예가 많았다. 특히, 오래된 기침에 자주 쓰는데 민간에서 단방으로 오미자청을 응용하기도 한다. 영양상태가 좋지 못했던 고대에는 정을 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장관에 힘이 없어 설사하는 경우에도 응용하였다. 최근에는 lignan 성분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연자육(蓮子肉) Nelumbinis Semen

연꽃은 버리는 부분이 없이 부위별로 다양한 약물로 쓰인다. 연자육과 연자심, 우절, 하엽 등이 많이 쓰였으나 현대에서는 영양상태의 개선으로 고대에 비해 연자심이나 하엽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검실(芡實) Euryales Semen

우리나라에서는 보호종인 가시연꽃의 종자를 ‘검실(芡實)’이라 한다. ‘검(芡)’은 흉년이 들었다는 뜻의 글자 ‘겸(歉)’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가시연꽃의 종자도 구황식물로 사용되었음을 암시한다. 꽃의 형태가 닭머리와 닮았다는 의미에서 ‘계두실(鷄頭實)’이라는 이명이 있다.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익히 알려진 산수유는 민간에서는 대단한 효능을 지닌 약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보조적으로 응용했던 약물이다. 주로 ‘腎虛’로 대표되는 증후군에 응용되는 처방에 산수유를 가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