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3절 삽정축뇨지대약(澁精縮尿止帶藥)

제3절 삽정축뇨지대약(澁精縮尿止帶藥)

강의요약. 자신의 의사와는 관련없이 정액이나 소변, 냉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될 때 응용하는 약물을 삽정축뇨지대약으로 분류한다. 고대의 한의학에서는 신체의 허약을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하였기에 이 약물군에 속하는 것은 대체로 인체를 보익하는 효능을 겸한 것이 많다. 그러나 의식주가 개선된 지금에는 앞서의 증상이 꼭 허약을 기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현한 환자가 많으므로 해당 약물의 적용 여부뿐만 아니라 배합 약물의 선택에 주의해야 한다.

1. 澁精·縮尿·止帶藥

 : 收澀藥 중 精氣를 固하고 小便을 攝하며 白帶를 감소하는 등의 작용을 가지고 있는 약물로, 精 小便 帶下 등을 거두어 들이는 약물로서 주로 下焦인 肝腎經에 작용

2. 적응증

 : 이 약물군은 대부분 甘澀한 味를 가지고 있음. 收斂固澀하는 효능이 있음. 肝腎에 작용해서 下焦를 固澀.

  → 遺精, 滑精, 小便頻數, 遺尿, 小便白濁 및 帶下諸證 등에 응용

3. 주의사항

 : 精關不固와 尿頻한 것은 腎虛하여 攝納하지 못하여 된 것이며, 帶下證은 脾腎虛弱과 下焦濕熱로 되는 등 病機가 같지 않기 때문에 이들 약물은 병의 상황에 맞는 처방 중에 配合하여 응용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收澀의 효능에만 의존하면 효과를 얻기는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관련 증상이나 약물의 배합을 고려해야 한다.

4. 대표약물

오미자(五味子) Schisandrae Fructus

연자육(蓮子肉) Nelumbinis Semen

검실(芡實) Euryales Semen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금앵자(金櫻子) Rosae Laevigatae Fructus

상표초(桑螵蛸) Mantidis Oötheca

복분자(覆盆子) Rubi Fructus

해표초(海螵蛸) Sepiae et Sepiellae Endoconcha

백반(白礬) Alumen

5. 참고

  《東醫寶鑑·內景篇·精》 精滑脫屬虛

· 仲景曰 失精家 小腹弦急 陰頭寒 目眩髮落 脉極虛芤遲 爲淸穀 亡血 失精. 男子失精 女人夢交 桂枝龍骨牡蠣湯主之.

· 靈樞曰 恐懼而不解則傷精 精傷則骨痠痿厥 精時自下. 又曰 精脫者耳聾.

· 內經曰 ··· 夫腎藏天一 以慳爲事 志意內治 則精全而澁. 若思想外淫 房室太甚 則固有淫泆不守 輒隨溲尿而下. 然本於筋痿者 以宗筋弛縱也.

· 其不御女漏者 或聞淫事 或見美色 或思想無窮 所願不得 或入房太甚 宗筋弛縱 發爲筋痿而精自出者 謂之白淫. 宜乎滲漏而不止也. 宜加減珍珠粉丸.

· 又曰 慾心一動 精隨念去 凝滯久則莖中痒痛 常如欲小便 然或從小便而出 或不從便出而自流者 謂之遺精. 比之夢遺尤甚 八物湯加減 呑珍珠粉丸.

· 精滑專主濕熱 用黃柏ㆍ知母ㆍ牡蠣ㆍ蛤粉 《丹溪》

· 童男陽盛 情動於中 志有所慕而不得 遂成夜夢而遺精 愼不可補 淸心乃安 朝服淸心蓮子飮 暮服定志丸 《醫鑑》

· 戴氏曰 不因夢而自泄者 謂之精滑 皆相火所動也.

  《東醫寶鑑·內景篇·精》 白淫

· 張子和曰 莖中作痛 痛極則痒 或陰莖挺縱不收 或出白物如精 隨溲而下 得之於房室勞傷 及邪術所使. 宜以降心火之劑下之. 宜服瀉心湯·淸心蓮子飮.

· 白淫 宜與精滑脫條同參 治之

  《東醫寶鑑·內景篇·小便》 小便不禁

· 遺尿者 尿出不自知覺也 《綱目》

· 腎與膀胱俱虛 內氣不充 故脬中自滑 所出多而色白焉. 是以 遇夜而陰盛愈多. 下焦虛寒 不能溫制水液 則便尿欲出而不禁 《直指》

· 肺氣虛則尿色變 卒遺失無度 《甲乙》

· 經曰 下虛則遺尿 下虛謂膀胱下焦虛也. 仲景曰 下焦竭則遺尿失便 其氣虛 不能自禁制也. 又云 下焦不歸則遺溲 世用桑螵蛸 雞肶胵之類是也 《綱目》

· 小便不禁 屬熱屬虛 熱者 五苓散合解毒湯 虛者 五苓散合四物湯 加山茱萸·五味子 《丹心》

  《東醫寶鑑·內景篇·胞》 赤白帶下

· 赤者 熱入小腸 白者 熱入大腸. 原其本 皆濕熱結于脉 故津液涌溢 是爲赤白帶下 臍下痛 陰中綿綿而下也 《保命》

· 帶下是濕熱爲病 赤屬血 白屬氣 主治燥濕爲先 《丹心》

· 久帶下 陽氣虛極 下流白滑如涕 腥臭 多悲不樂 宜酒煮當歸丸·固眞丸·桂附湯 《入門》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6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7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