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18장 수삽약(收澀藥)

제18장 수삽약(收澀藥)

강의요약. 땀이나 대변, 소변, 정액, 질내분비물 등이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활탈불금(滑脫不禁)한 증후1라 한다. 본초학에서는 이와 같은 증후에 자주 사용한 약물을 묶어 수삽약(收澀藥)이라 분류한다. 그 효능은 거두어 간직한다는 의미에서 수렴(收斂), 나가는 것을 견고하게 지키거나 늦춘다는 의미에서 고삽(固澀)이라 한다.

 앞 장에서 다룬 다른 약물도 이러한 효능을 더러 지니기도 하나, 그런 약물은 여기에서 다루는 약물에 비해 비교적 편성이 강하거나 유발 원인에 따른 치료에 사용한다는 점에서 수삽약으로 분류하지는 않는다. 즉, 수삽의 효능이 있으나 다른 약물에 비해 활용 분야가 애매한 약물을 배속시켰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삽약의 많은 본초가 식약공용한약재에 해당한다.

 대체로 편성이 완만한 약물군이기 때문에 한 때는 사용 빈도가 줄기도 하였으나 고연령 시대가 도래하면서 활용도가 증가되고 있다. 즉, 노화로 인한 인체 기능의 저하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편성이 완만한 약물의 조합이 중요시되고 있다.

 

1. 收澀藥의 정의

   : 收斂固澀시키는 작용이 주요 효능이 되어 각종 滑脫不禁한 증후를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약물로, 대부분 酸澀한 味로 斂汗 止瀉 固精 縮尿 止帶 止血 止嗽 등의 작용. Tannin을 함유한 약물이 많고 대부분 강한 收斂작용이 있고 抗菌작용을 지니고 있음.

2. 적응증

 : 氣脫, 精脫, 血脫 등의 滑脫 증상. 久病體虛와 元氣不足으로 인한 自汗 盜汗 瀉痢 脫肛 遺精 早泄 遺尿 帶下日久 失血崩漏 및 久嗽不止 등 기능이 실조되어 나타나는 證에 적용

① 신체쇠약으로 인한 自律神經系의 失調(自汗, 盜汗, 腸管의 流動이나 分泌亢進에 의한 泄瀉)에 응용

② 筋緊張低下 括約筋機能低下(脫肛 子宮脫) 등에 응용

3. 치법개요

: 澀可固脫 (李時珍 – 脫하면 散而不收하기 때문에 酸澀之藥을 써서 耗散을 斂한다)

① 味多酸澁 酸能收斂 澁可去脫 能收澁滑脫不禁之證

② 甘平之性 能益氣固衛 實表止汗 整腸而止瀉痢 或 固腎澀精而止遺濁

③ 兼具 補肝腎 健脾祛濕 生津止渴 溫中行氣 和胃制酸 安蛔止痛 解毒療瘡

4. 배오

 滑脫證候의 근본적인 원인은 正氣虛弱 But, 收斂固澀은 治標應急의 방법에 속해서 滑脫諸證의 病機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없음 → 標本을 모두 살펴야 하며, 구체적인 證候의 病機에 근거해서 응용하고 적당한 配伍應用을 선택

① 氣虛自汗이나 陰虛盜汗에는 마땅히 補氣藥과 혹은 養陰藥과 배오

② 脾腎虛弱으로 久瀉不止하거나 혹은 帶下에는 補脾固腎藥과 동용

③ 腎虛遺精과 遺尿에는 補腎藥을 配合

④ 崩漏出血에는 마땅히 肝腎을 補하는 약과 衝任을 견고히 하는 약물을 配合

⑤ 久嗽不止에는 補肺益腎시키고 止咳化痰시키는 약물을 配合

5. 주의사항

① 外感 邪實에 속하는 자는 마땅히 忌用하고 혹은 愼用하므로서 留邪를 면하며,

② 虛極欲脫證 역시 收斂藥을 單用하는데 그치지 말고 마땅히 本을 구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6. 응용 예시

① 止汗(多汗 自汗 盜汗) : 糯稻根 麻黃根 浮小麥 ; 補中益氣湯 當歸六黃湯

② 止瀉(泄瀉) : 訶子 肉豆蔲 五倍子 ; 五苓散 四神丸 六神丸

③ 遺精 : 金櫻子 芡實 五味子 補骨脂 蓮鬚 菟絲子 ; 六味地黃丸 

④ 多尿 : 桑螵蛸 覆盆子 烏藥 益智仁 鷄內金

⑤ 月經過多 : 五倍子

⑥ 咳嗽 : 五味子 訶子

⑦ ┌ 衄血 : 犀角 藕節 白茅根

    ├ 吐喀血 : 白芨 白茅根

    ├ 尿血 : 蒲黃 大小薊

    └ 子宮出血 ┌ 寒性 : 艾葉 乾薑

                    └ 熱性 : 地楡 側栢葉

 


제1절 지한약(止汗藥)

제2절 지사약(止瀉藥)

제3절 삽정축뇨지대약(澁精 縮尿 止帶藥)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5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6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32,859,862.


 




각주

  1. 몸이 허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이러한 증후를 묶어 ‘五勞六極七傷’ 또는 ‘五勞七傷’이라 총칭하기도 한다(虛損之疾生自五勞卽生六極復生七傷, 一曰陰寒 二曰陰痿 三曰裏急 四曰精漏 五曰精少 六曰精淸 七曰小便數. 又一曰陰汗 二曰精寒 三曰精淸 四曰精少 五曰囊下濕痒 六曰小便澁數 七曰夜夢陰人 其病皆小便赤熱 或如鍼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