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1절 지한약(止汗藥)

제1절 지한약(止汗藥)

강의요약. 비정상적으로 땀이 날 때 사용하던 약물을 지한약(止汗藥)이라 한다. 살가죽 겉에 생긴 작은 결을 ‘주리(腠理)’라 하는데, 고대의 한의학에서는 이 결이 열리면 땀이 난다고 보아서, 이 결을 고밀하게 만들면 땀이 그친다고 설명하였다. 땀이 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 중의 대부분은 신체가 상대적으로 열적인 상태에 놓였거나 열을 발생시키는 활동을 한 뒤에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반작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치료에 있어서는 그 원인에 따른 적절한 처방 구성이 가장 중요하며, 이 절에 속하는 약물은 보조적으로 응용함이 좋다.

 

1. 止汗藥

: 固表斂汗에 주요하게 사용하는 약물

 

2. 적응증

: 周身肌表에 行하고, 外로는 衛分에 작용하여 腠理를 固密하게 하며, 自汗, 盜汗 등 腠理가 固密하지 않는 證에 적용

 

3. 배합

: 각각의 病情을 모두 고려하여야 하며 단순히 止汗藥만 취하여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① 氣虛와 脾虛의 自汗에는 통상 黃芪 白朮 등을 配合하므로 益氣固表

② 陰虛와 血虛로 인한 盜汗에는 當歸 白芍 生地 등을 고려하여 配合하므로 養血滋陰

③ 潮熱盜汗이 아울러 나타나는 虛熱證에는 마땅히 地骨皮와 知母 등을 配合

④ 心虛者는 養心藥을 配合(汗者 心之液)

⑤ 心火가 亢盛한 者는 瀉火淸心을 配合

 

4. 주의사항

:기타 痰飮, 胃熱 등 많은 질병에도 自汗證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主證 치료를 우선으로 하고, 止汗藥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ex. 亡陽虛脫의 厥逆汗出證에 이르렀을 때는 마땅히 그 本을 치료해야 하며, 止汗藥을 사용하더라도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음)

 

5. 대표약물

부소맥(浮小麥) Tritici Levis Fructus

마황근(麻黃根) Ephedrae Radix et Rhizoma

나도근(糯稻根) Oryzae Rhizoma et Radix

 

6. 참고

  《東醫寶鑑·內景篇·津液》 身中津液

• 腠理發泄 汗出溱溱 是謂津. 津之滲於孔竅 留而不行者爲液. 《內經註》
• 靈樞曰 腠理發泄 汗出溱溱 是謂津 津脫者 腠理開 汗大泄.
• 穀入氣滿 淖澤注於骨 骨屬屈伸 洩澤 補益腦髓 皮膚潤澤 是謂液. 液脫者 骨屬屈伸不利 色夭 腦髓消 脛痠 耳數鳴. 《資生》

  《東醫寶鑑·內景篇·津液》 汗因濕熱

• 內經曰 心爲汗. 又曰 陽加於陰 謂之汗. 釋曰 陽氣上薄 陰能固之 則蒸而爲汗.
• 汗者 心之液 心動則惕然而汗出. 《醫鑑》
• 衛氣虛則汗多 榮血虛則無汗. 《綱目》

  《東醫寶鑑·內景篇·津液》 自汗

• 自汗者 無時而濈濈然出 動則爲甚 屬陽虛 胃氣之所司也. 治法宜補陽調胃. 《正傳》
• 靈樞曰 衛氣者 所以肥腠理 司開闔者. 衛氣虛則腠理疏 開闔無司而汗多矣.
• 自汗屬氣虛 屬濕與痰 ··· 凡內傷及一切虛損之證 自汗不止者

  《東醫寶鑑·內景篇·津液》 盜汗 

• 盜汗 乃陰虛血虛有火也. 

  《東醫寶鑑·內景篇·津液》 亡陽證

• 凡汗漏不止 則眞陽脫亡 故謂之亡陽 其身必冷 多成痺寒矣. 《入門》
• 凡發汗過多 則陽虛不固 汗出多 則津液亡而小便難. 四肢者 諸陽之本 液脫者 骨屬屈伸不利 是以四肢拘急 桂枝附子湯主之. 《入門》
• 汗多亡陽 宜用止汗法.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5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6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