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부소맥(浮小麥) Tritici Levis Fructus

부소맥(浮小麥) Tritici Levis Fruct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浮小麥《本草綱目》  

【생약명】 Tritici Levis Fructus

【이명】 浮水麥《本草蒙筌》 浮麥《綱目》

【약성가】 小麥微寒除煩熱 止渴利溲養肝血

【기원】

벼과 (Poaceae ; Gramineae ; 禾本科)에 딸린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인 밀(小麥) Triticum aestivum L.의 익지 않아 물에 뜨는 種子를 曬乾한 것이다.1

⊂ KHP, ChP2, TH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
     닭의장풀군 (Commelinids ; 鴨跖草類植物)
       벼목 (Poales ; 禾本目)
         벼과 (Poaceae ; Gramineae ; 禾本科)

밀(小麥) Triticum aestivum L.

[ 밀(小麥) Triticum aestivum L. ]

【성상】

부소맥(浮小麥) Tritici Levis Fructus

[ 浮小麥 Tritici Levis Fructus ]

긴 橢圓形의 穎果로 길이 2~6㎜, 지름 1.5~2.5㎜이다. 표면은 엷은 黃褐色 또는 黃色으로 약간 주름이 있으며, 腹面의 중앙에는 비교적 깊은 세로 홈이 있고 背面의 밑에는 뚜렷하지 않은 한 장의 胚가 있다. 頂端에는 黃色의 부드러운 털이 있고, 질은 단단하다. 단면은 白色 또는 엷은 黃褐色이고 껍질이 붙어 있는 것도 가끔 있다. 가벼워 물에 뜨고 바깥면에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산지】

각지의 농가에서 재배

【성분】 starch, protein, fat, calcium phosphate, vitamin B 등을 함유

 

【성미】 性涼 味甘鹹              【귀경】 心經

【효능】 益氣 除熱 止汗

【주치】 自汗 盜汗 骨蒸勞熱

【해설】

1. 益氣 除熱 止汗 작용  : 藥力이 和平하고 衛分으로 잘 走行하여 虛汗을 그치게 하고 浮熱을 없앰

(陽虛自汗과 陰虛盜汗을 가리지 않고 모두 적용)

① 體虛自汗不止에 응용 (ex. 麻黃根湯-牡蠣 麻黃根 黃芪 浮小麥 當歸 桂枝 人蔘)

② 骨蒸勞熱 또는 虛汗에 응용 (ex. 浮小麥 生地黃 麥門冬 地骨皮)

③ 情緖不安에서 오는 自汗에 응용 (ex. 甘麥大棗湯-甘草 浮小麥 大棗)

2. 약간의 抗利尿作用도 있어 小兒의 夜尿에 桑螵蛸 益智仁 등을 배합하여 응용 (ex. 加味甘麥大棗湯 : 灸甘草 浮小麥 菟絲子 桑螵蛸 益智仁 龍骨 大棗)

3. 小麥(밀) : 歸脾心腎經하여 養心益腎 除熱止渴의 효능. 특히 淸心除煩의 효능이 浮小麥에 비해 좋아 心病을 치료하는 약물로 응용

【포제】

生用 혹은 炒하여 사용

【용량】

12~30g

【금기】

無汗으로 煩躁者 혹은 虛脫汗出者는 복용을 忌한다.

【配合例】

① 牡蠣 麻黃根 黃芪 등을 配合하여 體虛自汗不止 에 응용
 마황근탕 麻黃根湯《傅青主女科》 治產後虛汗不止
 : 人參二錢 當歸二錢 黃耆一錢半, 炙 白朮一兩, 炒 桂枝五分 麻黃根一錢 粉草五分, 炒 牡蠣研, 少許 浮麥一大撮. 虛脫汗多 手足冷 加黑薑四分 熟附子一片. 渴加麥冬一錢 五味十粒. 肥白人產後多汗 加竹瀝一盞 薑汁一小匙 以清痰火. 惡風寒 加防風 桂枝各五分. 血塊不落 加熟地三錢 晚服八味地黃丸.

② 生地黃 麥門冬 地骨皮 등을 配合하여 骨蒸勞熱 에 응용

③ 炒焦하여 가루를 내어 매회 8g씩 자주 복용하여 盜汗과 虛汗不止에 응용
부맥산 浮麥散 = 독성산 獨聖散《衛生寶鑑》 治盜汗及虛汗不止
 : 浮小麥 不以多少 文武火炒令焦 為細末 每服二錢 米飲湯調下 頻服為佳. 一法取陳小麥同乾棗煎服 更妙.

④ 煆牡蠣 麻黃根 黃芪 등을 配合하여 氣虛自汗, 盜汗, 心悸短氣, 虛煩體倦에 응용
모려산 牡蠣散《太平惠民和劑局》 治諸虛不足 及新病暴虛 津液不固 體常自汗 夜臥即甚 久而不止 羸瘠枯瘦 心忪驚惕 短氣煩倦
 : 黃耆去苗土 麻黃根 牡蠣米泔浸 刷去土 火燒通赤 各一兩. 上三味為粗散 每服三錢 水一盞半 小麥百餘粒 同煎至八分 去渣 熱服 日二服 不拘時候.

감초소맥대조탕(감맥대조탕) 甘草小麥大棗湯《傷寒雜病論(桂林古本)》 婦人臟燥 悲傷欲哭 數欠伸 象如神靈所作者 甘草小麥大棗湯主之
: 甘草三兩 小麥一升 大棗十枚劈. 右三味 以水六升 煮取三升 去滓 分溫三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8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419-21.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35-6.


 




각주

  1. 깜부기병에 걸려 밀알이 차지 않아 물에 뜨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깜부기병의 원인 진균으로 알려진 Tuburcinia cepulae (Frost) Liro 등과의 한방효능간의 연관성을 찾기 어려우므로 현재는 밀알이 튼실하게 차지 않아 가벼운 종자를 약용한다. 즉, 깜부기병의 감염여부와 상관없이 밀알이 튼실치 못한 것을 가공해봤자 산출 효율이 떨어지므로 따로 모아두었다가 약으로 사용했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2. 잘 익은 열매 중에서 바짝 말라 가볍고 물에 뜨는 것을 말린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