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홍화

홍화(紅花) Carthami Flos

강의요약. 국화과(Asteraceae)에 딸린 잇꽃이 개화하여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할 때 즈음 꽃을 채취하여 말린 것을 홍화(紅花)라고 한다. 예로부터 염료1뿐만 아니라 약으로도 사용하였다.
 10세기의 전문 본초서에는 ‘산후에 나타나는 어지러움이나 말을 못하는 증상, 태반 잔여물이 잔류하여 생기는 쥐어짜는 듯한 통증 등에 술로 끓여 사용하고 더불어 기생충으로 인한 하혈에도 쓴다2‘고 하였다. 이와 같은 용례는 후대의 탈화전과 같은 처방에서 보인다.
 그 뒤로 징가(癥瘕)3 및 적취(積聚)4에 대한 의학 경험이 누적되고 흉강으로도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18-19세기 즈음에는 흉복부의 어혈(瘀血)과 관련된 질환에 사용하는 약물로 굳게 자리 잡았다. 혈행순환 저체로 인한 월경통에 다용하였던 현부이경탕, 같은 원인으로 인한 흉복강의 다양한 질환에 쓰는 혈부축어탕 등이 그 예이다.
 15세기 이후로는 어체(瘀滯)로 인한 피부건조증이나 부종을 동반한 통증 등으로 그 쓰임이 다소 늘어났다. 전자의 대표적인 처방이 생혈윤부음이다. 후자는 외상으로 인한 것뿐만 아니라 혈행 저체로 인한 저림증이나 마비증까지로 범위가 확대되어 18-9세기에 이르러서는 어체로 인한 중풍 후유증에도 응용하게 되었다. 마목(麻木)에 쓰인 보양환오탕, 비증(痺證)에 쓰인 소경활혈탕이나 소풍활혈탕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홍화의 작용을 두고 명청대의 의가들은 대체로 ‘(어)혈을 통하게 하고 혈을 생기 있게 하다(通瘀活血)’는데 의견5을 같이 한다. 구체적으로는 ‘혈분에서 경락을 트이게 하여 통하게 한다(專入血分 爲疏通經絡)’ 또는 ‘트이게 하고 다다르게 하여 혈을 (어체가 없는) 좋은 상태로 만든다(疏達和血)’고 표현6하기도 한다. 이처럼 홍화의 어혈을 흩는 효능(散瘀)은 ‘성글게 하여 트이게 하므로써 막힘이 없게 통하게 함(疏通)’에 근간7을 두고 있으므로 직접적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약물로 오인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최근 민간에서 홍화씨8를 임의로 무분별하게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환자에게는 ‘과량을 사용하면 출혈이 멈추지 않는다’는 옛 의가의 경고9를 상기시켜줄 필요가 있다.

 

【본초명《출전》】 紅花《開寶本草》 10

【생약명】 Carthami Flos

【이명】11 紅籃花《金匱要略》 刺紅花《四川中藥志》 草紅花《陜西中藥志》 紅蘭 

【약성가】 紅花辛溫消瘀熱 多卽通經少養血

【기원】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花科)에 딸린 한해살이풀인 잇꽃(紅花) Carthamus tinctorius L.로서, 7~8월에 꽃잎이 黃色에서 紅色으로 변할 때 筒狀花를 따서 曬乾하거나 또는 陰乾한다.

⊂ KP, ChP, JP, THP, DPRK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초롱꽃군 (Campanulids ; 桔梗類植物) – 진정국화군 II (Euasterids II ; 眞菊花二類植物)
            국화목(Asterales ; 菊目)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科)

【성상】

잇꽃

[꽃이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할 시기에 채취]

[ 약간 갈라진 암술머리(좌), 유통되는 홍화12(우상), 물에 넣었을 때(우중), 홍화자(우하) ]

紅色 또는 赤褐色의 花冠, 黃色의 花柱 및 수술로 되어 있고 드물게 덜 익은 子房이 섞일 때가 있다. 길이는 1~2㎝ 내외이고 花冠은 통상 5열로 되며 수술은 5개로 긴 암술을 둘러싸고 있다. 꽃가루는 거의 球形이며 지름은 약 50㎛이고 黃色으로 표면에 가느다란 돌기가 있다. 이 약을 板狀으로 한 것은 두께 약 5㎜이며 다수의 冠狀花를 모은 것이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쓰다. 

【산지】

이집트가 원산지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재배하며, 中國에서는 河南, 浙江, 四川省 등 지역에서 재배한다.

【성분】

花에는 flavonoid 성분으로 carthamin, precarthamin, safflow yellow A,B, safflomin A, 6-hydroxykaempferol, kaempferol-3-gluc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Chalcone 성분으로는 tinctorimine, cartorimin 등이 있고, phenol 성분으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catech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정 정유성분은 80여종이 함유되어 있는데, 주요 성분으로는 ethyl acetate, benzene,pent-1-en-3-ol,3-hexano 등이 있다. 그 밖에 16종의 아미노산과 지방산, 다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자궁에 대한 수축율을 높여주고, 腸管 血管 氣管支平滑筋 등에도 흥분작용을 나타낸다.
∙ 소량을 사용하면 심장의 흥분작용이 있고, 대량을 사용하면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심근경색 억제, 혈관확장, 혈류량 증가, 혈액응고 억제, 혈중지질 저감 작용이 있다.
∙ 비교적 장기적인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 면역억제(safflow yellow), 진통, 진정(safflow yellow), 항산화, 항균, 한랭저항성 향상, 항피로 작용을 한다.

 

【성미】 性溫 味辛         【귀경】 心肝經

【효능】 活血通經 散瘀止痛

【주치】 經閉 痛經 惡露不行 癥瘕痞塊 跌撲損傷 瘡瘍腫痛

【해설】

1. 活血通經 散瘀止痛 → 內科, 婦人科, 外科, 傷科의 活血方에 常用하는 藥物

① 각종 瘀血阻滯로 인한 病證에 適用

② 타박 또는 염좌에 의한 腫痛에 일반적으로 蘇木과 함께 소량 가미

③ (周震亨) 多用破留血 少用養血

    ┌ 小量(5푼 이하) 사용 :  活血通經

    └ 大量(5푼 이상) 사용 :  破血逐瘀 催生下胎

④ 桃仁과 相須配合하여 婦科에 多用

【포제】

莖葉, 蒂頭를 제거하고 使用한다.     

【용량】

4~12g.

【금기】

活血通經의 효력이 비교적 강하므로 瘀滯가 없는 자나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배합례】

① 牧丹皮 當歸 炒蒲黃 등을 配合하여 産後血暈 血崩 月經不調 등에 응용
홍화산 紅花散《素問病機氣宜保命集》 治婦人產後血昏血崩 月事不調 遠年乾血氣 皆治之
: 乾荷葉 牡丹皮 當歸 紅花 蒲黃炒. 上各等分 為細末 每服半兩 酒煎和滓溫服 如衣不下 另末榆白皮 煎湯調半兩立效.

② 當歸 川芎 牛膝 肉桂 등을 配合하여 婦人難産 胞衣不下에 응용
탈화전 脫花煎《景岳全書》 凡臨盆將產者 宜先服此藥催生最佳 並治產難經日 或死胎不下俱妙
: 當歸七八錢或一兩 肉桂一二錢或三錢 川芎 牛膝各二錢 車前子錢半 紅花一錢 催生者 不用此味亦可. 水二鍾 煎八分 熱服 或服後飲酒數杯亦妙. 若胎死腹中 或堅滯不下者 加朴硝三五錢即下. 若氣虛困劇者 加人參隨宜. 若陰虛者 必加熟地三五錢.

③ 현부리경탕 玄附理經湯《晴崗醫鑑》 血中氣滯하여 月經難行하며 臨經腹痛이 甚한 데 쓰인다. 順氣活血劑로서 月經痛에 多用된 方이다
: 香附子三錢 蒼朮 烏藥各一錢半 玄胡索 橘皮 當歸 白芍藥 川芎 枳殼 蓬朮 桃仁各一錢 官桂 木香 紅花各七分 生薑三片

④ 丹蔘 川芎 赤芍藥 등을 配合하여 冠狀動脈硬化로 인한 心絞痛에 응용
관심2호방 冠心Ⅱ號方《北京地區經驗方》 活血化瘀 行氣止痛. 血瘀型心絞痛證. 胸部悶痛或心區劇痛 心悸 怔忡 舌質紫暗 脈澀或弦緊.
: 川芎 赤芍 紅花 降香 丹參. 兼痰濕內阻者 可合溫膽湯, 兼氣陰兩虛者 可生脈散. 附心肌梗塞調理方: 人參 鬱金 丹參 橘絡 附子 川七 枳殼.

⑤ 소풍활혈탕 疏風活血湯《古今醫鑑》 死血所致 四肢百節 流注刺痛 其痛處或腫或紅.
: 威靈仙 白芷 防己 黃柏 南星 蒼朮 羌活 桂枝 各一錢 紅花三分 生薑五片. 水煎服.

cf. 소경활혈탕 疏經活血湯《萬病回春》 風濕之邪內侵 經脈瘀滯者. 遍身骨痠痛如針刺 左足尤甚 晝輕夜重.
: 當歸 甘草 白芍 生地黃 蒼朮 牛膝 陳皮 桃仁 威靈仙 川芎 防己 羌活 白芷 龍膽草 茯苓 生薑. 挾痰 加南星半夏, 上身臂痛 加桂枝薑黃, 下身足痛 加木瓜木通黃柏薏苡仁, 氣虛 加人參白朮龜板, 血虛 倍四物湯加阿膠丹參薑汁.

혈부축어탕 血府逐瘀湯《醫林改錯》 治胸中血府血瘀之症. 頭痛 胸疼 胸不任物 胸任重物 天亮出汗 食自胸右下 心裡熱 瞀悶 急躁 夜睡夢多 呃逆 飲水即嗆 不眠 小兒夜啼 心跳心忙 夜不安 俗言肝氣病 乾嘔 晚發一陣熱.
: 當歸三錢 生地三錢 桃仁四錢 紅花三錢 枳殼二錢 赤芍二錢 柴胡一錢 甘草一錢 桔梗一錢半 川芎一錢半 牛膝三錢. 水煎服.

보양환오탕 補陽還五湯《醫林改錯》 此方治半身不遂 口服歪斜 語言蹇澀 口角流涎 大便乾燥 小便頻數 遺尿不禁
: 黃耆四兩生 歸尾二錢 赤芍一錢半 地龍一錢去土 川芎一錢 桃仁一錢 紅花一錢. 水煎服. 初得半身不遂 依本方加防風一錢 服四五劑後去之. 如患者先有入耳之言 畏懼黃耆 只得遷就人情 用一二兩 以後漸加至四兩. 至微效時 日服兩劑 豈不是八兩. 兩劑服五六日 每日仍服一劑. 如已病三兩個月 前醫遵古方用寒涼藥過多 加附子四五錢. 如用散風藥過多 加黨參四五錢. 若未服 則不必加. 此法雖良善之方 然病久氣太虧 肩膀脫落二三指縫 胳膊曲而搬不直 腳孤拐骨向外倒 啞不能言一字 皆不能愈之症 雖不能愈 常服可保病不加重. 若服此方愈後 藥不可斷 或隔三五日吃一副 或七八日吃一副 不吃恐將來得氣厥之症. 方內黃耆 不論何處所產 藥力總是一樣 皆可用.

⑧ 當歸 葛根 連翹 牛蒡子 甘草 등을 配合하여 熱鬱血滯로 인한 斑疹色暗에 응용
당귀홍화음 當歸紅花飮《麻科活人全書》 治麻已出而復收(系備用方)
: 當歸酒炒 紅花 葛根 連翹 牛蒡子 甘草. 水煎服. 一書有升麻 一書有生白芍桔梗

⑨ 생혈윤부음 生血潤膚飲《醫學正傳》 予仲兄懷德處士 年四十五 平生體瘦弱血少 值庚子年歲金太過 至秋深燥金用事 久晴不雨 得燥證 皮膚折裂 手足枯燥 搔之屑起血出痛楚 十指甲濃 反而莫能搔癢. 予制一方 名生血潤膚飲 服數十帖 其病如脫 後治十數人皆驗.
: 川歸身酒洗 生地黃 熟地黃酒洗 黃芪蜜炙 各一錢 天門冬一錢五分 麥門冬去心一錢 五味子九粒 片芩去朽酒洗五分 栝蔞仁五分 桃仁泥五分 酒紅花一分 升麻二分. 上細切 作一服 水二盞 煎至一盞 溫服. 如大便結燥 加麻仁郁李仁各一錢.

 

【참고】

번홍화(番紅花) Croci Stigma

[이명] 西紅花, 藏紅花13

[기원] 붓꽃과(Iridaceae)에 딸린 사프란(番紅花) Crocus sativus L.의 암술(雌蕊)14

번홍화 서홍화 장홍화 Croci Stigma

[성미] 性平 味甘  [귀경] 入心肝經.

[효능] 活血祛瘀 散鬱開結 涼血解毒.

[주치] 治痛經 經閉 月經不調 產後惡露不淨 腹中包塊疼痛 跌撲損傷 憂鬱痞悶 驚悸 溫病發斑 麻疹.

[포제] 沖泡或浸酒燉

[용량] 煎湯 1 ~ 3 g

→ 高價로 인해 응용이 적음 (아시아와는 다르게 유럽에서는 천식 발작을 진정시키는 약물로 응용하였음)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5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74-6.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51-2.


 

 



각주

  1. 일반적인 염색뿐만 아니라 입술이나 뺨에 찍어 발랐던 연지(燕脂)의 주재료로도 사용하였다.
  2. 《開寶本草》 味辛 溫 無毒. 主產後血暈口噤 腹內惡血不盡絞痛 胎死腹中 並酒煮服. 亦主蠱毒下血 堪作燕脂.
  3. 위치가 일정하며 변동이 없는 것을 징(癥)이라 하고, 위치가 변하거나 크기가 일정치 않은 것을 가(瘕)라고 한다. 현대의 자궁근종이나 난소낭종, 자궁임신외임신 등의 질병을 폭넓게 아우르는 말이다. 《東醫寶鑑》 其不能移動也是癥塊也 或有或無或上或下或左或右者 是瘕塊也
  4. 뱃속에 만져지는 덩어리가 고정적이면 (積), 유동적이면 취(聚)라고 한다. 만성적인 기능장애로 유발된 소화기 내벽의 부종이 대표적인 적(積)의 예이며, 소화기 내의 가스로 인한 팽창이 대표적인 취(聚)의 예이다. 또한, 지금의 한의학에서는 현대의 각종 종양을 적취(積聚)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5. 《本草求眞》 紅花(活血通瘀). 紅花(專入心包肝) 辛苦而溫 色紅入血 爲通瘀活血要劑(血之下而淸者 營虛有熱 血之下而濁者 熱與濕蒸 血色鮮者屬火發 血色黑者屬血燥極 血與泄物幷下者 屬有積 或因脈絡受傷 血從尿出者 屬陰虛火動 或因房勞過度 營血妄行 血色黑黯 面色枯白 尺脈沈遲者 屬下元虛寒 陽虛陰走 嘔吐而見血色紫凝者 屬熱甚鎖鑠 故見稠濁 熱甚水化 故血見黑而紫 血從汗者屬火 喜傷心 喜則氣散 故血隨氣以行 血在糞前者爲近血 其血由于大腸 血在糞後者爲遠血 其血自于肺胃 由氣虛腸薄 故自滲入而下出也 血自口鼻上出 爲陽盛陰衰 有升無降) 蓋血生于心包 藏于肝 屬于衝任 一有外邪內侵 則血滯而不行 紅花汁與血類 故凡血燥而見喉痺不通 痘瘡不起 肌膚腫痛(因血熱血瘀 作腫作痛) 經閉便難(經閉本有血滯 血枯之分 但此止就血滯論) 血暈口噤 子死腹中 治當用此通滑(時珍曰 紅花汁與之同類 故能行男子血脈 女子經水 多則行血 少則養血 按󰡔養疴漫筆󰡕云 新昌徐氏婦 病散暈已死 但胸膈微熱 有名醫陸氏曰 血悶也 得紅花數十斤乃可活 遂亟購得 以大鍋煮湯 盛以桶于窗格之下 畀婦寢其上薰之 湯冷再加 少傾指動 半日乃蘇) 但用不宜過多 少用則合當歸能生 多用則血能行 過用則能使血下行不止而斃 胭脂系紅花染出(胭脂紅) 可治小兒聤耳(紅藍花三錢半 枯礬五錢 爲末 以綿杖繳淨吹之 無花則用枝葉 一方去礬) 幷解痘瘡毒腫 胭脂卽紅花染出 有痘瘡挑破 以油胭脂敷之良)

    《本草備要》 通行血 潤燥 辛苦甘溫 入肺經而破瘀血 活血(瘀行則血活 有熱結於中 暴吐紫黑血者 吐出為好. 吐未盡 加桃仁紅花行之. 大抵鮮血宜止 瘀血宜行) 潤燥 消腫止痛(凡血熱血瘀 則作腫作痛)

    《本草從新》 本草備要와 거의 동일.

    《本經逢原》 血生於心包 藏於肝 屬於衝任 紅花汁與之同類. 故能行男子血脈 通婦人經水 活血 解痘毒 散赤腫. 產後血暈及胎死腹中 並宜和童便服之. 少則養血 多則行血 過用使人血行不止 且性兼上行 不可不知.

    《本草經解》 氣味俱升 陽也 肝為藏血之臟 生生之經. 產後血暈口噤者 產後則肝血不藏 肝枯則風熾 所以血暈而口噤也 治風先治血 血行風自滅 紅花辛溫潤血 所以主之. 腹內惡血不盡絞痛 胎死腹中 皆血寒不行 不能養肝之故. 紅花辛溫 活血暢肝 所以主之也. 並酒煎服者 借酒活血潤血之力也. 亦主蠱毒者 辛溫則散而毒可解也.

  6. 《本草正義》 蓋以其色殷紅 體質又輕揚疏達 故專入血分 為疏通經絡 活血行滯之品 … 要之 性本溫和 氣兼辛散 凡瘀滯內積 及經絡不利諸證 皆其專主. 但走而不守 迅利四達 不宜大劑獨任. 苟僅以為疏達和血之用 小劑亦無流弊
  7. 국화과(Asteraceae)에 딸린 식물의 꽃차례가 기원인 본초의 효능은 대체로 ‘疏, 泄, 散’의 작용과 연관이 깊다.
  8. 홍화자(紅花子)라고 한다. 홍화와 효능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다만, 홍화자는 종자유로 인한 소화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탓에 한방기관에서는 홍화를 선호한다.
    《本草綱目》 紅花子 … 功與花同(蘇頌)
  9. 過用則能使血下行不止而斃 등. 위 주석 3과 4 참조
  10. 본초학 공통교재는 《本草圖經》을 출전으로 기재하였으나, 그 이전에 출간된 《開寶本草》에 이미 수록되었다. 여기에서는 이에 따라 출전을 달리 표기하였다.
    劉翰 et al. 開寶重定本草. 宋, 974. In: 尙志鈞 (ed). 開寶本草(輯复本). 合肥:安徽科學技術出版社. 1998:218.
  11. ‘Safflower’로 알려져 있다.
  12. 수입 유통되는 홍화 중 일부는 타르색소를 첨가하여 색깔을 진하게 만든 것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13. 현재는 중동의 이란이 주산지이다. 여기에서 생산된 번홍화는 실크로드를 따라 티벳을 거쳐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티벳의 수도인 라싸가 중간 집산지였던 탓에 번홍화(서홍화, 장홍화)만을 취급하는 전문 상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름 중 ‘番’은 토번을, ‘西’는 서역을, ‘藏’은 서장을 뜻한다.
  14. 꽃 한포기에 암술이 3개 있으며 이를 핀셋같은 도구로 하나씩 떼어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