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Sappan Lignum

소목(蘇木) Sappan Lignum

강의요약. 동남아에서 산출되는 콩과(Fabaceae)에 딸린 나무인 다목1의 심재(heartwood)인 소목(蘇木) 2은 한반도에서도 삼국시대에 이미 고급 염료로 유명하였다.
 그러나 7세기의 본초서3에는 산후에 오로가 잘 배출되지 않아 생기는 증상에 쓴다는 기록만 있다. 이 흔적이 후대의 《동의보감》의 잡병 부인편에 단방4으로 남아있으며, 점차 활용이 확대되어 통경탕이나 귀출이경탕과 같은 처방에도 응용하게 되었다.
 11~12세기5에는 고름을 배출하고 심한 종기를 삭게 하며6, 타박손상과 중풍에 쓴다는 기록이 더해졌다. 그러나 전자의 처방에는 대부분 배농(排膿)과 소옹(消癰)력이 뛰어난 다른 약물이 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소목의 배농과 소옹 효능이 좋다기 보다는 동반되는 어체(瘀滯)를 제거하여 결과적으로 치료가 잘 되도록 해주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동원서점자탕을 예로 들 수 있다.
 후기에는 이러한 질환보다는 붓기를 동반한 타박상에 쓰는 처방에 자주 등장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 유명한 당귀수산과 그 변방인 화어전이 대표적인 예이다.
 중풍에 쓰인 예는 많지 않으나 여러 의가들이 이를 해석하며 소목의 효능에 대한 주요한 단서를 남겼다. 즉, ‘겉과 속의 풍사(風邪)를 발산하고 계류된 나쁜 피를 소통(疏通)시킨다’와 ‘혈(血)을 돌게 하여 어(瘀)를 없애며 겉과 속의 풍기(風氣)를 발산한다’와 같은 인식7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곧 영혈(營血)의 운행과 연관이 깊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소목이 쓰인 처방에는 대체로 혈(血) 자체의 운행을 촉진시키는 당귀나 천궁 등이 배합된다는 점에서 운행의 대상이 나머지 영음(營陰)일 것이라 유추할 수 있다. 더욱이 붓기를 동반한 타박상에 주로 쓰였으니 그 영음(營陰) 중에서도 맥관 외에 유출된 것을 소통시키는 데 장점이 있는 약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주로 산어(散瘀)하는 홍화(紅花)를 배합하여 응용8하였다.

 

【본초명《출전》】 蘇木《新修本草》

【생약명】 Sappan Lignum

【이명】 9 蘇方木《新修本草》 蘇方《肘後方》 赤木《獸醫國藥及處方》 紅柴《四川中藥志》

【약성가】 蘇木甘鹹行積血 産後月經兼撲跌

【기원】

콩과(Fabaceae ; Leguminosae ; 豆科)에 딸린 갈잎작은키나무 또는  작은키나무인 다목 10 (蘇木) Caesalpinia sappan L.心材를 건조한 것으로, 수시로 채취하여 樹皮와 邊材를 제거하고 중심부분만 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JP, THP, DPRKP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진정장미군 I(Eurosids I ; 眞蔷薇一類植物) -콩군(Fabids ; 豆類植物)
         콩목 (Fabales ; 豆目)
           콩과 (Fabaceae ; Leguminosae ; 豆科)

【성상】

Caesalpinia sappan

[따뜻한 물에 넣으면 선명한 선홍색의 안료가 유출된다]

Sappan Lignum

[紅色과 黃色이 층층으로 엇갈린 條紋이 있다]

  껍질을 제거한 木心部로 조각 또는 長圓柱形으로 길이 10~100㎝, 지름 3~12㎝이다. 표면은 黃紅色 또는 褐紅色으로 칼로 벗겨낸 자국과 枝痕이 있으며, 세로로 쪼개져 있다. 횡단면은 약간 광택이 있고 나이테가 뚜렷하며 暗褐色이다. 質은 딱딱하나 세로로 잘린 것은 부스러지기 쉽다.

【산지】

동남아시아의 열대지방에서 생산된다. 中國의 廣西, 雲南, 廣東, 四川省 등에 분포11 한다.

【성분】

心材에는 chromane 성분으로 3-dexoysappanone B, sappanone B, 3′-deoxysappanone B 등이 있고, 또한 brazilin, 3′-O-methyl brazilin, brazilin derivative 1,2 등이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 성분으로는 ombuin, rhamnetin, quercetin, 4,4′-dihydroxy-2′-methoxychalc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diphenylheptane이나 epoxiheptane, calsalpin(J, P), octacosanol, β-sitosterol, tarax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혈액응고 촉진, 미세혈액순환 개선, 관상동맥 혈류증가, 심박감소, 혈액점도 감소, 혈소판응집 억제 작용이 있다.
∙ 杆菌 球菌 등에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 중추신경의 흥분작용을 나타낸다.
∙ 嘔吐, 腹瀉, 催眠 작용을 나타낸다.
∙ 항암, 알도즈환원효소(aldose reductase) 활성억제 작용을 한다.

 

【성미】 性平 味甘鹹      【귀경】 心肝脾經

【효능】 活血破瘀 消腫止痛

【주치】 經閉痛經 産後瘀阻 胸腹刺痛 外傷腫痛 跌打損傷 破傷風

【해설】

1.活血破瘀 消腫止痛 : 辛味走散 入心肝脾三經之血分

① 跌打損傷 骨折傷 등의 疾患에 응용하는 外科의 要藥

② 婦女의 血瘀로 인한 病證(經閉痛經 産後瘀阻 )에 보조적으로 응용

2. 蘇木의 효능은 기본적으로 紅花와 비슷하나 주로 外科 및 婦人科에서 쓰였던 약물

【포제】

사용할 때 薄片 또는 細切하여 사용한다.

【용량】

4~12g.

【금기】

走散動血하므로 血虛無瘀者, 月經過多者, 孕婦는 服用을 禁한다.

【배합례】

① 귀출파징탕 歸朮破癥湯《東醫寶鑑》 治月經不通 腹中有積塊 疼痛
: 香附子醋炒一錢半 三稜 蓬朮並醋煮 赤芍藥 白芍藥 當歸尾 靑皮 各一錢 烏藥七分 紅花 蘇木 官桂 各五分. 右剉作一貼 入酒少許水煎服<集略>

 cf. 귀출리경탕 歸朮理經湯《晴崗醫鑑》 腹中積塊 經少或不通 陣痛 動悸 或血下 帶下
: 香附子醋炒三錢 當歸二錢 赤芍藥 玄胡索醋炒一錢半 三稜 蓬朮 靑皮 烏藥 蘇木 牧丹皮 桃仁一錢 官桂七分 紅花 五分

② 통경탕 通經湯《古今醫鑑》劉近川方. 治月閉
: 當歸 川芎 白芍 生地 大黃 官桂 厚朴 枳殼 枳實 黃芩 蘇木 紅花 各七分 右剉作一貼 入烏梅一個 生薑三片一枚. 水煎溫服.

③ 人蔘을 配合하여 産後氣虛 惡露不行 敗血上攻于肺 氣急喘促에 응용
소삼소음 小參蘇飮《東醫寶鑑》 治産後敗血 入肺 面黑 發喘 欲死者
: 蘇木二兩剉 水二椀 煎至一椀 調人參細末二錢 服之<雲岐>

④ 인삼구폐산 人參救肺散《東醫寶鑑》一名救脈散 治虛勞吐血
: 人參 黃芪 白芍藥 熟地黃 當歸梢各一錢 升麻 柴胡 蒼朮 陳皮 蘇木 甘草灸 各五分. 右剉作一貼水煎服<東垣>

⑤ 당귀수산 當歸鬚散《醫學入門》 治打撲 以致氣凝血結 胸腹脇痛 或寒熱
: 歸尾一錢半 紅花八分 桃仁七分 甘草五分 赤芍 烏藥 香附 蘇木各一錢 官桂六分. 水酒各半煎 空心服.  如挫閃 氣血 不順 腰脇痛者 加靑皮 木香, 脇痛 加柴胡 川芎.

cf. 화어전 化瘀煎《晴崗醫鑑》 打撲 顚倒 墮落 등으로 인한 瘀血結滯 牽引作痛 (當歸鬚散의 加減方으로 外傷瘀血에 專用된 處方)
: 當歸尾 蘇木二錢半 香附子 赤芍藥 烏藥一錢半 靑皮 桃仁 川芎一錢 白芥子 紅花 桂心七分. 酒水相半煎.

⑥ 乳香 沒藥 紅花 血竭 등을 配合하여 打撲損傷 瘀滯作痛에 응용
팔리산 八厘散《醫宗金鑑·卷八十八》 治跌打損傷 接骨散瘀
: 蘇木面一錢 半兩錢一錢 自然銅醋淬七次三錢 乳香三錢 沒藥三錢 血竭三錢 麝香一分 紅花一錢 丁香五分 番木鱉油煠去毛一錢. 共為細末 黃酒溫服 童便調亦可.

⑦ 동원서점자탕 東垣鼠粘子湯《東醫寶鑑》 治耳內痛生瘡
: 桔梗一錢半 黃芪 柴胡 各七分 鼠粘子 連翹 生乾地黃酒炒 當歸尾 黃芩 生甘草 灸甘草 各五分 昆布 蘇木 黃連 蒲黃 草龍膽 各三分 桃仁三箇 紅花一分. 右剉作一貼 水煎食後服[東垣]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68-9.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99-1001.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37-8.


 




각주

  1. 자생식물이 아니므로 한글 이름이 없다. 그러나 삼국시대부터 수입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인지 《동의보감》에는 ‘다목’이라 표기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를 따라 한글 이름을 표기하였다.
    《東醫寶鑑》 蘇方木 다목 性平(一云寒)味甘醎無毒治婦人血氣心腹痛及産後血脹悶欲死女子血噤失音消癰腫撲損瘀血排膿止痛能破血. 一名蘇木令人用染色者[本草]. 酒煮去皮節用[入門]
  2. 동남아의 섬나라인 소방국(蘇方國)에서 산출되어 소방목(蘇方木)이라고 하였다가 나중에 줄여서 소목(蘇木)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本草綱目》 時珍曰 海島有蘇方國 其地產此木 故名. 今人省呼為蘇木爾.
  3. 《新修本草》 蘇方木. 味甘咸平無毒. 主破血 產後血脹悶欲死者 水煮若酒煮五兩 取濃汁服之.
  4. 《東醫寶鑑》 蘇木 治産後血暈及惡露不下 痛悶欲死 蘇木一兩剉酒水煎服[本草]
  5. 《證類本草》 蘇方木. 味甘咸平無毒. 主破血. 產後血脹悶欲死者 水煮 苦酒煮五兩 取濃汁服之效. … 臣禹錫等謹按日華子云 治婦人血氣心腹痛 月候不調及蓐勞 排膿止痛 消癰腫 撲損瘀血 女人失音血噤 赤白痢並後分急痛. … 海藥 云謹按徐表《南海記》 虛勞血癖氣壅滯,產後惡露不安怯起 衝心腹中攪痛 及經絡不通 男女中風 口噤不語 …
  6. 고름과 붓기를 동반하는 종기라는 점에서 현대의 각종 화농성 질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7. 《本草通玄》 蘇木 甘辛微酸 三陰經血分藥也. 發散表裡風邪 疏通稽留惡血 風與血皆肝所主 大都入肝居多. 少用則和血 多用則破血.
    《本草備要》 蘇木. 瀉 行血 解表甘鹹辛涼. 入三陰血分. 行血去瘀 發散表裡風氣(宜與防風同用). 治產後血暈(《肘後方》 煮汁服. 《海藏方》 加乳香 酒服) 脹滿欲死 血痛血瘕 經閉氣壅 癰腫朴傷 排膿止痛. 多破血 少和血.
    《本草從新》 蘇木 瀉 行血祛風. 甘鹹辛平 入三陰血分 行血去瘀 宣表裡之風(元素曰 宜與防風同用 但此之治風 即治風先治血 血行風自滅之義 不宜與防風同用也).
  8. 蘇木은 消腫에, 紅花는 散瘀에 각각의 장점이 있다. 즉, 오로(惡露)나 타박손상과 같은 외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안팎의 고인 핏물이 부종을 일으켜 영혈의 운행을 방해하는 상황이라면 상수배합하였다.
  9. 서양에서는 ‘Sappanwood’ 또는 ‘Indian redwood’로 알려져 있다.
  10. 주석1 참조.
  11. 그러나  현재(2021년)는 중국도 대부분 동남아시아에서 수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