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월:] 2021년 07월

왕불류행(王不留行) Melandrii Herba seu Vaccariae Semen

강의요약. 한반도와 중국이 본초 이름은 같고 실제로는 다른 약물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현재 한반도에서는 장구채의 지상부를, 중국에서는 말뱅이나물의 종자를 왕불류행(王不留行)으로 규정하고 있다.   왕불류행의 기록은 2~3세기경까지 올라간다. 쇠붙이에 상한 데 쓰고, 피를 멈추고 통증을 몰아내며 저림증(風痺)을 없앤다고 하는 등 현대의…

조각자(皂角刺) Gleditsiae Spina

강의요약. 콩과(Fabaceae)에 딸린 조각자나무 또는 주엽나무의 열매와 가시를 약용하는데, 그 중 열매를 ‘조협(皂莢)’, 가시를 ‘조각자(皂角刺)’라고 한다. 이미 2~3세기에 기록이 있던 조협과는 달리 조각자는 14세기에 들어서야 전문본초서에 별도의 약물로 기록되었다.  이때에 이미 각종 옹저(癰疽)가 곪은데 쓴다고 하였으며, 그 후로도 일관되게 고름이…

도인(桃仁) Persicae Semen

강의요약. 2~3세기경에 이미 복사나무나 산복사의 씨를 ‘도인(桃仁)’ 또는 ‘도핵인(桃核仁)’이라 하여 어혈(瘀血)로 인해 달거리가 끊겼을 때나 뱃병이 있을 때에 쓰였다. 특히나 여성의 생식기와 연관된 뱃속 덩어리가 있는 증상에 자주 사용되었고, 더 나아가 종기가 대소장이나 방광에 생겨 아랫배가 단단해지며 열과 통증을 동반하는…

홍화(紅花) Carthami Flos

강의요약. 국화과(Asteraceae)에 딸린 잇꽃이 개화하여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할 때 즈음 꽃을 채취하여 말린 것을 홍화(紅花)라고 한다. 예로부터 염료뿐만 아니라 약으로도 사용하였다.  10세기의 전문 본초서에는 ‘산후에 나타나는 어지러움이나 말을 못하는 증상, 태반 잔여물이 잔류하여 생기는 쥐어짜는 듯한 통증 등에 술로 끓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