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여루채자 맥람채자

왕불류행(王不留行) Melandrii Herba seu Vaccariae Semen

강의요약. 한반도와 중국이 본초 이름은 같고 실제로는 다른 약물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현재 한반도에서는 장구채의 지상부를, 중국에서는 말뱅이나물의 종자를 왕불류행(王不留行)으로 규정하고 있다. 1
  왕불류행의 기록은 2~3세기경까지 올라간다. 쇠붙이에 상한 데 쓰고, 피를 멈추고 통증을 몰아내며 저림증(風痺)을 없앤다고 하는 등2 현대의 응용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 기록은 그 후로도 반복되어 기록되어 있으나 지혈(止血)이나 제비(除痺)의 처방에서 왕불류행을 찾기 어렵다는 점에서 약물지식의 축적에 따라 자연스레 응용 범위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 본초서 중에는 5세기에 비로소 종기(癰疽)3나 심한 부스럼(惡瘡), 젖멍울(瘻乳), 난산(難產) 등에 쓰인다는 기록4이 있으며 7세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옹루(癰瘻)의 처방에 사용한다.’는 기록5 이 덧붙여졌다. 용천산(涌泉散)처럼 처방에서의 응용례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기록에 의거하여 주로 젖몸살에 통유탕(通乳湯)이나 통유양혈탕(通乳養血湯)에 왕불류행을 더하여 응용해 왔다.
 한편, 10세기 전후의 방제서에는 석위산(石葦散)이나 통초탕(通草湯)처럼 소변이 방울져 나오며 시원치 않은 증상6에 응용한 예를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명청대의 의가들은 이소변(利小便)을 왕불류행의 주요 효능으로 간주7하였는데, 젖몸살에 응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이수(利水)라기 보다는 소변이 나가는 통로가 좁아지거나 막힌 것을 완화시킨 결과라고 추정된다.
 이러한 효능을 두고 후대의 의가들은 ‘혈맥(血脈)을 통하게 하여 이내 양명충임(陽明衝任)의 약이 되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하여 경락(經絡)을 통하게 한다.’는데 의견8을 같이 하며, 일부는 ‘맺힌 것을 깨뜨리고 펼쳐 이끈다(破結宣導)’고 표현9하였다.

 

【본초명《출전》】 王不留行《本經》

【생약명】

① 女婁菜10 : Melandrii Herba

② 麥藍子 : Vaccariae Semen

【이명】 王不留《綱目》 奶米《救荒本草》 麥藍子《甘泉縣志》

【약성가】 王不留行除風痺 調經催産乳癰類

【기원】

① 女婁菜 : 석죽과(Caryophyllaceae ; 石竹科)에 딸린 장구채(疏毛女婁菜) Silene firma Siebold & Zucc.11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열매가 익었을 때의 지상부

⊂ KHP, DPRKP

② 麥藍子: 동 과에 속한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인 말뱅이나물(麥藍菜) Vaccaria hispanica (Mill.) Rauschert 12의 성숙한 種子

⊂ ChP, TH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석죽목 (Caryophyllales ; 石竹目)
          석죽과(Caryophyllaceae ; 石竹科)

장구채 Silene firma

[ 장구채(疏毛女婁菜) Silene firma Siebold & Zucc. ]

맥람채(말뱅이나물) Vaccaria hispanica

[ 말뱅이나물(麥藍菜) Vaccaria hispanica (Mill.) Rauschert ]

【성상】 

여루채자 맥람채자

[장구채의 종자 (좌), 말뱅이나물의 종자(우) ]

球形으로 지름은 약 2㎜이다. 표면은 黑色으로 더러는 紅褐色이고 약간 광택이 있으며 세밀한 顆粒狀의 돌기가 있고, 한쪽에는 한 개의 움푹 들어간 縱溝가 있다. 質은 단단하고 胚乳는 白色이며 2개의 子葉이 있다.

【산지】

中國의 華南地方을 제외한 각지에 분포한다.

【성분】

① 女婁菜 :  vitexin, isovitexin, orientin, homoorientin, α-spinasteryl glucoside, meland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 麥藍子: triterpenoid saponin으로 vacsegoside A~D, gypsogenin의 derivative glycoside, vaccaroid B, vaccaroside A~H, dianoside G 등이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 성분에는 isosaponarin, apigenin-6-C-arabinosylglucoside, vaccarin A~D 등이 있다. 그리고 cyclopeptide에는 segetalin A~E,G,H, allantoin, hypaphorine 등이 있으며, 기타 xanthone derivatives, phenylpropanoid glycosides, steroid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麥藍子 : 자궁흥분작용(알코올침출액>전탕액), 착상·임신 억제, 혈액점도 감소, 에스트로겐 유사작용(segetalin G, H)을 한다.

 

【성미】 性平 味苦         【귀경】 肝胃經

【효능】 活血通經 下乳消腫

【주치】 婦女經閉 經痛 乳汁不通 乳癰腫痛

【해설】

0. 味苦主泄 專入血分 通利血脈 行血而不留滯 走泄而不守

┌ 上 → 通乳

└ 下 → 通經

   → 瘀血이 阻滯된 病症에 응용

1. 活血通經 ← 消腫止痛

 : 婦女經病 및 經痛, 癰腫 등에 응용

2. 下乳消腫

① 催乳의 목적으로 응용

② 乳癰(e.g. 乳腺炎)에 양호한 효과

3. 硬葉女婁菜(女婁菜) : 장구채(疏毛女婁菜)의 全草. 국내에서는 과거부터 꾸준히 장구채의 지상부가 王不留行으로 유통 중이며 KHP에도 이를 王不留行으로 수재하고 있음 → 효능은 유사하나 女婁菜는 麥藍子에 비하여 淸熱解毒 및 利尿에 장점이 있다고 간주됨

【포제】

洗淨한 다음 건조해서 사용하거나 微炒하여 사용한다.

【용량】

6~12g.

【금기】

孕婦, 血虛無瘀滯者는 服用을 禁한다.

【배합례】

① 麥門冬 瞿麥 穿山甲 龍骨 등을 配合하여 乳汁不下 乳癰腫痛에 응용
용천산 涌泉散《衛生寶鑑》 治婦人因氣 奶汁絕少.
: 瞿麥穗 麥門冬去心 王不留行 緊龍骨 穿山甲炮黃 各等分. 上五味為末 每服一錢 熱酒調下. 後食豬蹄羹少許. 投藥 用木梳左右乳上 梳三十來梳. 一日三服 食前 服三次羹湯 投三次梳乳.

cf. 통유탕 通乳湯《古今醫鑑》 乳病 … 婦人乳汁不通有二種 有血氣壅盛 乳脈澀而不行者, 有血氣虛弱 乳脈絕少者. 夫虛者補之 以鐘乳粉 豬蹄 鯽魚之類, 盛者行之 用通草漏蘆之類… (《東醫寶鑑》 枯涸則宜用通乳湯)
: 豬蹄下節四雙 通草二兩 川芎一兩 穿山甲十四片炒 甘草一錢. 上用水五升 煮汁飲之. 忌生冷 避風寒 夜臥不宜失蓋 更以蔥湯頻洗乳房.

· 통유탕 通乳湯《方藥合編》 … [活套] 王不留行 3~4錢 加하면 더욱 좋다.

· 통유양혈탕 通乳養血湯《晴崗醫鑑》  … 乳少 加王不留行 3錢

② 蒴藋葉 甘草 桑白皮 등을 配合하여 癰腫에 응용
왕불류행산 王不留行散《傷寒雜病論(桂林古本)》 若身有瘡 被刀斧所傷 亡血故也 此名金瘡 無膿者 王不留行散主之 (《普濟方》 癰疽發背 一切瘡腫)
: 王不留行十分(燒) 蒴藋細葉十分(燒) 桑根白皮十分(燒) 甘草十八分 黃芩二分 蜀椒三分(去目) 厚朴二分 乾薑二分 芍藥二分. 右九味 為散 飲服方寸匙. 小瘡即粉之 大瘡但服之 產後亦可服.

③ 酸漿草 茺蔚子 白蒺藜 五靈脂 등을 配合하여 難産逆生, 胎死腹中에 응용
승금산 勝金散《世醫得效方》 治難產 逐敗血 即自生. 若橫逆則轉正 子死腹中則胎軟膨寬即產. 祖宗秘傳 不授 用者敬之.
: 王不留行 酸漿死胎倍用 茺蔚子 白蒺藜去刺 五靈脂行血宜生用. 上各等分 為散. 每服三錢. 取利方 水一盞半 入白花劉寄奴子一撮同煎 溫服 大效.

④ 석위산 石葦散《太平惠民和劑局方》 治腎氣不足 膀胱有熱 水道不通 淋瀝不宣 出少起數 臍腹急痛 蓄作有即發 或尿如豆汁 或便出砂石 並皆治之.
: 芍藥 白朮 滑石 葵子 瞿麥 各三兩 石葦去毛 木通各二兩 王不留行 當歸去蘆 甘草炙各一兩. 上為細末. 每服二錢 煎小麥湯調下 食前 日二三服.

cf. 석위산 石葦散《證治彙補》 治砂淋
: 石葦 冬葵子 瞿麥 滑石 車前

⑤ 통초탕 通草湯《嚴氏濟生方》 治諸淋
: 通草 王不留行 葵子 茅根 桃膠 瞿麥 當歸去節洗 蒲黃 上各一兩 甘草炙半兩. 上咬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薑五片 煎至八分 去滓 溫服 不拘時候.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67-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9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38-9.


 




각주

  1. 앞으로 기원 연구를 통해 공정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고문헌의 성상 기록에 적합한 말뱅이나물의 싹과 종자를 기준으로 서술하였다.
    《證類本草》 葉似菘藍等 花紅白色 子殼似酸漿 實圓黑似菘子 如黍粟
  2. 《神農本草經》 味苦平 主金創 止血逐痛 出刺 除風痹內寒. 久服 輕身耐老增壽. 生山谷.
  3. 돋아나는 종기를 옹(癰), 함몰되는 종기를 저(疽)라 하여 구분한다. 크기에 따른 구분도 있는데, 약 3 ~ 6cm 미만은 절(癤), 약 6 ~ 15 cm 정도는 옹(癰), 15 ~ 30 cm 정도는 저(疽), 30 ~ 60 cm 정도는 경체저(竟體疽)라고 한다. 그 외에 肺癰, 心癰, 肝癰, 胃脘癰, 腸癰, 腹癰, 臂癰, 臀癰, 懸癰, 便癰, 囊癰, 附骨疽, 流注骨疽, 疔疽, 乳癰 등과 같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이름 붙은 것도 있다. 이들은 모두 ‘고름(膿)’이 발생했거나 시작했다는 점에서 현대의 각종 화농성 질환을 상기시킨다. 세균 감염이 주요한 원인이었으니 항생제가 없었던 고대에는 치료하기 매우 까다로운 질병에 해당하였다. 항생제가 널리 쓰이게 된 후로 이 분야의 한방치료는 급성보다는 만성으로 진행되어 오랫동안 낫지 않고 해당 질환이 반복되는 경우로 치우쳐 발달하였다.
  4. 《本草經集註》 味苦甘平無毒. 主治金瘡 止血 逐痛 出刺 除風痹內寒. 止心煩 鼻衄 癰疽 惡瘡 瘻乳 婦人難產. 久服輕身 耐老增壽. 生太山山谷. 二月八月采. 今處處有
  5. 《新修本草》 味苦甘平無毒. 主治金瘡 止血 逐痛 出刺 除風痹內寒. 止心煩 鼻衄 癰疽 惡瘡 瘻乳 婦人難產. 久服輕身 耐老增壽. 生太山山谷. 二月八月采. 今處處有. 人言是蓼子 亦不耳. 葉似酸漿 子似松子. 而多入癰瘻方用之.
  6. 임증(淋證)이라고 한다.
  7. 《本經逢原》에서 ‘與瞿麥同功’이라 하였는데, 이는 王不留行이나 瞿麥의 기원식물이 모두 석죽과(Caryophyllaceae)에 속한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두 본초는 최근 연구에 의해 전립선염에 유효한 것으로 밝혀진 뒤로 한방의료기관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8. 《本草備要》 王不留行. 通行血. 甘苦而平. 其性行而不住 能走血分 通血脈 乃陽明衝任之藥(陽明多氣多血). 除風去痹 止血定痛 通經利便 下乳(俗云 穿山甲王不留行 婦人服之乳長流) 催生. 治金瘡(止血) 癰瘡(散血). 出竹木刺. 孕婦忌之.

    《本經逢原》 王不留行 即剪金花 俗名金盞銀台. 苦甘平 無毒. [發明] 王不留行專行血分 乃陽明 厥陰 衝任之藥. 能通乳利竅 其性走而不守 故妊婦禁服. 一婦患淋臥久 用此煎服 再劑而愈 其利小便 出竹木刺. 與瞿麥同功.

    《本草從新》 王不留行 通行血. 甘苦而平 其性行而不住(雖有王命 不能留行 故名) 能走血分 通血脈 乃陽明衝任之藥(陽明多氣多血) 除風去痹 止血定痛 利便通經 催生下乳(氣盛血滯者 可暫用以行之 否則宜慎). 治金瘡(止血) 癰瘡疔瘡(散血) 出竹木刺. 失血後 崩漏家及孕婦 並忌之. 花如鈴鐸 實如燈籠 子殼五棱 取苗子蒸 漿水浸.

    《本草求真》 … 又按古書有云 穿山甲王不留 婦人服之乳常流 亦云行血之力也 觀此數語 已得氣味主治大要矣. 又著其味曰辛 曰甘 曰平 其氣曰溫 其功則能入足厥陰肝經血分 去風除痺 通經利便 下乳催生 散癰腫 拔竹刺 與瞿麥同功, 則知氣味疎泄 洵爾至極 又安能有血而克止乎?

    《本草述鉤元》 氣味苦甘平. 陽中之陰. 入足厥陰經. 治風毒 通血脈 除風痹內塞 止心煩鼻利小便 下乳汁 女子血經不勻及難產 療癰疽惡瘡 並金瘡止血逐痛. 能走血分 陽明衝任之藥. 俗有穿山甲 王不留 婦人服了乳長流之語 可以見其性矣. 昔一婦患淋諸藥不效. 用翦金花十余葉. 煎湯服之 病減八分 再服而愈.

    《得配本草》 王不留行 一名金盞銀台. 甘苦平. 入手少陰 足厥陰經血分. 通血脈 治諸淋 下乳汁 催生產 療瘡瘍 除風痹(血氣不行 則風毒不去 營衛逆於肉裡則生癰)

  9. 《本草正義》 王不留行 通利迅疾 故得此名. 言雖有王命而不能留其行 則流利之性峻矣. 其味又苦 則泄降下行 惟熱結者為宜. 《本經》主金瘡止血 逐痛刺, 《別錄》止心煩鼻衄 癰疽惡瘡 皆清火活血之用. 除風痹者 風熱壅於經絡也 而風寒寒濕 非其治矣. 惟《本經》「內寒」二字 殊不可解 李氏《綱目》引作內塞 當即瀕湖所改 似非訛字 然別本皆作寒 是當存疑 不必強解. 又治產難 通乳汁, 甄權謂治風毒 通血脈, 《日華》謂主遊風風疹 婦女月事不勻, 瀕湖謂利小便, 景岳謂利陽明衝任血海 通經滯不調, 石頑謂走而不守 長於利竅, 皆以破結宣導為功. 苟屬虛體 慎弗輕投 而妊娠尤為大禁.
  10. 《中華本草》에 애기장구채(女婁菜) Silene aprica Turczaninow ex Fischer & C. A. Meyer [FOC]의 全草와 장구채(疏毛女婁菜) Silene firma Sieb. et Zucc.[FOC]의 全草가 각각 女婁菜, 硬葉女婁菜라는 명칭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이 중 硬葉女婁菜의 異名으로 ‘女婁菜’가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女婁菜를 장구채로 한정해서 설명한다.

    《中華本草》 女婁菜

    石竹科植物女婁菜 Silene aprica Turca.[= Melandrium apricum (Turca.) Rohrb.]的全草.

    《中華本草》 硬葉女婁菜 (異名: 女婁菜)

    石竹科植物粗壯女婁菜 Silene firma Sieb. et Zucc. [Melandrium firmum (Sieb. et Zucc.) Rohrb.]的全草.

  11. = Melandrium firmum (Siebold & Zucc.) Rohrb.
  12. = V. segetalis Garcke ex Asch. = V. vulgaris H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