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숙지황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

강의요약. 질경이과(Plantaginaceae) 또는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딸린 식물인 지황(地黃)의 뿌리는 가공 여부에 따라 다른 한약재로 사용한다. 가공하지 않은 신선한 것이 생지황(生地黃), 건조한 것이 건지황(乾地黃), 여러 번 찌고 말린 것이 숙지황(熟地黃)이다. 이 중 숙지황은 심한 신체적 소모 또는 빈약한 섭식, 발달 지연, 노화 등으로 부족한 정혈(精血)과 진액(津液)을 늘려야 할 때 일차로 고려하는 보혈약(補血藥)이자 자음약(滋陰藥)이다. 정혈(精血)1의 부족은 혈(血)의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핏기 없이 누렇게 뜬 얼굴에 어지러움, 가슴 두근거림 등의 혈허(血虛) 증상이 정혈 부족으로 인한 경우에 숙지황을 사용하였다. 사물탕이 대표적인 처방이다. 또한, 혈(血)처럼 적극적으로 영양을 공급하지는 않으나 피부와 뼈를 윤택하게 유지하거나, 뇌수를 충만케 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액(液)2’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뼈의 시큰거림, 관절 운동이 원활치 않음, 귀 울림, 푸석거리는 피부 증상 등에도 사용하였다. 육미지황탕과 그 수많은 변방이 이를 활용한 예이다. 더하여 정혈(精血)과 진액(津液)이 동시에 고갈되어 나타나는  몸 속의 후끈 달아오르는 듯한 열감, 휴지기의 식은땀, 심한 갈증 등이 동반되는 만성 소모성 질환이나 갱년기 질환에도 많이 응용한다. 금수육군전이나 옥녀전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다만, 정혈과 진액을 크게 보충하는데 장점이 있지만,  비양(脾陽)을 심하게 소모시켜 대변을 무르게 하거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용법 용량에 주의토록 한다.

【본초명《출전》】 熟地黃 《備急千金要方》

【생약명】 Rehmanniae Radix Preparata

【이명】 熟地《景岳全書》

【약성가】 熟知微溫滋腎水 補血烏髭益精髓

【기원】

질경이과(Plantaginaceae ; 車前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Gaertn.) DC의 根을 여러 번 蒸熟한 것

⊂ KP,ChP, DPRKP, JP3

cf. 懷慶地黃 R. glutinosa ‘huechingensis’ (Chao & Shih) P.G.Xiao 은 지황의 단순 재배품종이나 비대하여 증숙에 적당치 않음4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類植物)
        꿀풀군 (Lamiids ; 唇形類植物) – 진정국화군 I (Euasterids I ; 眞菊一類植物)
          꿀풀목 (Lamiales ; 唇形目)
            질경이과(Plantaginaceae ; 車前科)   cf. 과거 :현삼과 (Scrophulariaceae ; 玄參科)

지황

숙지황

【성상】

겉부터 속까지 고르게 윤기가 있는 검은색(九蒸九曝의 眞意)이며 탄내가 없어야 함.

【산지】

한국과 중국의 각지에서 재배. 한국은 정읍이, 중국은 河南이 주산지.

【성분】

· Iridoid 성분으로 leonuride, aucubin, catalpol, rehmannioside A~D 등
· monoterpene 성분인 ionone glucoside, monoterpene glucoside Ⅰ 및 sesquiterpene 등
· 유기산으로는 aeginetic acid, 5-c-hydroxyaeginet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등
· 그 밖에 5-oxoproline, uracil, uridine 및 2개의 산성다당 등이 함유

※ KP : 이 약은 정량할 때 환산한 건조물에 대하여 5-히드록시메틸-2-푸르알데히드(5-Hydroxymethylfurfural, C6H6O3 : 126.11) 0.1 % 이상을 함유

【작용】

조혈기능 촉진, 간손상 억제, 항혈전, 혈압강하, 심근보호, 항산화, 갑상선호르몬 정상화, 혈당강하, 이뇨, 항아나필락시스 작용.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지황(地黃)편 ]

 

【성미】 性微溫 味甘      【귀경】 肝腎經

【효능】 滋陰補血 益精塡髓

【주치】 肝腎陰虛 腰膝痿(酸)軟 骨蒸潮熱 盜汗遺精 內熱消渴 血虛萎黃 心悸怔忡 月經不調 崩漏下血 眩暈 耳鳴 鬚髮早白.

【해설】

甘溫味厚 質潤多液 ← 補血+滋潤+生精益髓 ←  肝腎二經을 補益시키는 要藥 ← 腎陰不足과 心肝血虛諸證에 常用하는 良品

1. 滋陰補血 益精塡髓

  ① 血虛와 陰虛를 겸한 心悸怔仲 月經不調 崩漏下血 內熱消渴 등의 병증에 응용

  ② 氣血兩虛에 補氣藥과 배합하여 응용

  ③ 陰虛內熱 虛火上炎로 인한 頭暈目眩 耳鳴耳聾 潮熱盜汗 등의 병증에 응용

  ④ 腎虛로 인한 喘咳에 응용(熟地黃은 虛喘을 다스리는 良藥)

  ⑤ 肝腎陰虛로 인한 筋骨痿軟 遺精에 응용

2. 滋膩하여 膩滯하기 쉬운 약물 : 性이 粘膩하여 濕邪停滯하기 쉬우므로 處方을 구성할 때는 砂仁을 配合하여 응용하면 그 粘膩性이 輕減되어 胃腸障碍를 면할 수 있다.

3. 熟地黃의 소화장애 극복법

  ① 牛膝 車前子 陳皮 砂仁을 첨가하거나 혹은 人蔘 乾薑을 넣는다.

  ② 乾地黃을 사용하거나 乾地黃과 熟地黃을 반씩 사용한다.

  ③ 龍眼肉으로 대용 → 龍眼肉의 安神작용까지 도모함

  ④ 酒蒸何首烏로 대용

  ⑤ 腎陽虛를 겸한 경우에는 熟地黃보다는 肉蓯蓉을 고려함

 (《本草綱目》 蓋地黃性泥 得砂仁之香而竄 合和五臟沖和之氣 歸宿丹田故也. ··· 生地黃酒炒則不妨胃 熟地黃薑汁炒則不泥膈)

4. 九蒸九曝에 대하여,

  ① 동양에서의 九는 盡數. 즉 ‘마르고 닳도록’의 의미. 안팎이 고르게 검은색을 나타낼 때까지 蒸曝하라는 의미.

  ② 九는 陽의 극대수. 陰이라는 차가운 성질을 갖고 있는 乾地黃을 陽의 따뜻한 성질의 熟地黃으로 만들기 위해서 陽의 극대수인 九를 사용하였다는 설.

【용량】

4~20g.

【금기】

滋膩하므로 脾胃虛弱 氣滯痰多 腹滿便溏한 경우에는 忌하며, 感冒 脾胃虛寒 下痢 등에도 忌하고, 萊菔을 忌5한다.

【포제】 6

① 熟地黃 : 물에 가라앉는 지황(地黃)을 취하고, 물에 반은 뜨고 반은 가라앉는 지황(人黃)과 물위에 모두 뜨는 지황(天黃)을 같이 찧어 汁液을 만들어 地黃에 拌하여 찜통에 찌서 햇볕에 말리고 다시 地黃汁속에 하루정도 넣어두었다가 햇볕에 말린다.

② 酒製 : 乾地黃에 黃酒 30%를 고르게 뿌려 찜통에 넣고 쪄서 전체가 검고 윤택하게 되었을 때 꺼내서 晒乾한다. 혹은 乾地黃을 찜통에 넣고 8시간 정도 쪄낸 후, 하룻밤을 두었다가 이튿날 뒤집어 재차 4~8시간 쪄서 다시 하룻밤을 재운 뒤에 꺼내 햇볕에 80% 정도 말린다. 이와 같이 반복하기를 九蒸九曝한다. 또한 黃酒와 砂仁을 섞어서 만들기도 하는데 이는 消化작용을 돕기 위함이다.

【배합례】 (補血이 주목적인 주요 처방은 다른 보혈약 참조)

山茱萸 山藥 澤瀉 牡丹皮 白茯苓 등과 配合하여 小兒의 腎怯失音 囟開不合 神不足 目中白睛多 등의 병증을 다스린다
육미지황환 地黃丸[=補腎地黃丸·補肝腎地黃丸·六味地黃丸·六味丸]《小兒藥證直訣》. 滋補肝腎. 治肝腎陰虛 頭暈目眩 耳聾耳鳴 腰膝痠軟 遺精盜汗 骨蒸潮熱 五心煩熱 失血失音 消渴淋濁 婦女腎虛 血枯閉經 小兒囟開不合 五遲五軟.
: 熟地黃8錢 山萸肉4錢 乾山藥4錢 澤瀉3錢 牡丹皮3錢 白茯苓(去皮)3錢.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3丸 空心溫水化下. 忌蘿蔔. 忌鐵器 忌三白. 本方熟地滋膩滯脾 有礙消化 故脾虛食少及便溏者慎用. 陰盛陽衰 手足厥冷 感冒頭痛 高熱 寒熱往來者不宜用. 又南方夏季暑熱濕氣較盛時 宜少服用

② 當歸 地骨皮 枳殼 柴胡 秦艽 知母 鱉甲 등과 配合하여 骨蒸體熱勞倦의 병증을 다스린다
지황산 地黃散《幼幼新書》卷二十引《張氏家傳》 治小兒骨蒸體熱 成勞倦.
: 熟地黃(去土 洗) 當歸(洗) 地骨皮(洗) 枳殼(去瓤 麩炒) 柴胡(去蘆) 秦艽(去蘆) 知母 鱉甲(去黑皮盡 醋炙黃) 各等分. 上爲末 每服1錢半 水1盞 加烏梅半個 煎7分 和梅熱服.

③ 甘草 白芍藥 黃耆 등과 配合하여 虛勞吐血 衄血 汗出 등에 응용
유비탕 柔脾湯《婦人良方》卷七引《養生必用》治婦人虛勞吐血·衄血·下白 汗出.
: 甘草1兩 白芍藥1兩 黃耆1兩 熟地黃3兩. 上爲末 每服4錢 水·酒各1盞 煎至7分 去滓 取6分淸汁 食前溫服.《雞峰》有桂一兩.

生石膏 麥門冬 知母 牛膝 등과 配合하여 水虧火盛 脈浮洪滑大 少陰不足 陽明有餘 煩熱乾渴 頭痛 牙疼 失血 등의 병증을 다스린다
 옥녀전  玉女煎《景岳全書》 治水虧火盛 六脈浮洪滑大 少陰不足 陽明有餘 煩熱乾渴 頭痛牙疼 失血.
: 生石膏3-5錢 熟地3-5錢或1兩 麥冬2錢 知母1錢半 牛膝1錢半. 水1鍾半 煎7分 溫服或冷服. 如火之盛極者 加梔子·地骨皮之屬 如多汗·多渴者 加北五味14粒 如小水不利 或火不能降者 加澤瀉1錢5分 或茯苓亦可 如金水俱虧 因精損氣者 加人參2-3錢尤妙. 大便溏瀉者 乃非所宜

北沙蔘 麥門冬 當歸 枸杞子 川楝子 등과 配合하여 肝木乘胃하여 胃脘當心而痛 脇痛 呑酸 吐酸 疝瘕 一切肝病을 다스린다
일관전 一貫煎《續名醫類案》 卷十八. 滋陰舒肝 養肝血 滋肝陰 泄肝氣 滋陰充液 疏肝調氣 補肝腎之陰 佐以疏肝. 治肝腎陰虛氣鬱 胸脅脘腹脹痛 吞酸吐苦 咽乾口燥 及疝氣瘕聚 舌紅少苔 脈弦細而數.
: 北沙參·麥冬·地黃·當歸·杞子·川楝. 口苦而燥者 加酒連. 兼有停痰積飲 舌苔濁垢 無陰虛征象者忌用 此方下舌無津液四字最宜注意 如其舌苔濁垢 即非所宜 凡屬氣·血·火·食·痰·濕諸鬱 不兼陰虛者忌用 本方滋膩之藥較多 對於兼有停痰積飲者 不宜使用.

⑥ 炙甘草 當歸 등과 配合하여 氣短似喘 呼吸促急 氣道噎塞 등에 응용
정원음 貞元飲[=正元飲]《景岳全書》卷五十一 治肝腎虧損 氣短似喘 呼吸急促 提不能升 咽不能降 氣道噎塞 勢劇垂危 脈象微細無神 若微而兼緊 尤爲可畏.
: 熟地黃7-8錢 甚者1-2兩 炙甘草1-3錢 當歸2-3錢. 水2鍾 煎8分 溫服. 如氣虛脈微至極者 急加人參 如肝腎陰虛 手足厥冷 加肉桂1錢.

巴戟 山茱萸 石斛 肉蓯蓉 附子 五味子 官桂 白茯苓 麥門冬 菖蒲 遠志 등과 配合하여 喑痱 腎虛弱厥逆 語聲不出 등의 병증을 다스린다
지황음자 地黃飲[=地黃飲子]《聖濟總錄》卷五十一 治瘖痱證. 舌強不能言 足廢不能用 及產後麻瞀. 中風腎虛者.
: 熟乾地黃(焙)1兩 巴戟天(去心)1兩 山茱萸(炒)1兩 肉蓯蓉(酒浸 切 焙)1兩 附子(炮裂 去皮臍)1兩 石斛(去根)1兩 五味子(炒)1兩(去粗皮)1兩 白茯苓(去黑皮)1兩 麥門冬(去心 焙)半兩 遠志(去心)半兩 菖蒲半兩. 上銼 如麻豆大 每服3錢匕 水1盞 加生薑3片 大棗2枚(擘破) 同煎如 去滓 食前溫服. 風氣甚而有火多痰者忌服.

當歸 陳皮 半夏 茯苓 炙甘草 등과 配合하여 肺腎虛寒으로 水泛爲痰하거나 오래 된 陰虛로 인해 血氣不足하거나 外受風寒으로 인해 咳嗽 嘔惡 多痰 喘急한 병증을 다스린다
금수육군전 金水六君煎《景岳全書》卷五十一. 潤枯燥濕 益陰化痰. 治肺腎虛寒 水泛爲痰. 或年邁陰虛 血氣不足 外受風寒 咳嗽 嘔惡多痰 喘急 等症.
: 當歸2錢 熟地3-5錢 陳皮1錢半 半夏2錢 茯苓2錢 炙甘草1錢. 水2鍾 生薑3-7片 煎7-8分. 食遠溫服. 如大便不實而多濕者 去當歸加山藥 如痰盛氣滯 胸脅不快者 加白芥子7-8分 如陰寒盛而嗽不愈者 加細辛5-7分 如兼表邪寒熱者 加柴胡1-2錢.

肉桂 麻黃 鹿角膠 白芥子 薑炭 生甘草 등과 配合하여 鶴膝風 陰疽 등의 병증을 다스린다
양화탕 陽和湯《外科全生集》卷四. 溫陽補血 散寒通滯. 治鶴膝風·貼骨疽 及一切陰疽. 患處漫腫無頭 痠痛無熱 皮色不變 口中不渴 舌苔淡白 脈沉細等.
: 熟地1兩 肉桂1錢(去皮 研粉) 麻黃5分 鹿角膠3錢 白芥子2錢 薑炭5分 生甘草1錢. 水煎服 如治乳解·乳岩·加土貝5錢.

경옥고 瓊玉膏 《洪氏集驗方》卷一引申鐵瓮方. (《東醫寶鑑》 塡精補髓 調眞養性 返老還童 補百損 除百病 萬神俱足 五藏盈溢 髮白復黑 齒落更生 行如奔馬 日進數服終 日不飢渴 功效不可盡述 一料分五劑 可救癱瘓五人 一料分十劑 可救勞瘵十人 若二十七歲服 起壽可至三百六十 若六十四歲服 起壽可至五百年.)
: 生地黃 十六斤 搗絞取汁 人參 細末 二十四兩 白茯苓 細末 四十八兩 白蜜 煉去滓 十斤. 右和勻 入磁缸內 以油紙 五重 厚布 一重 緊封缸口 置銅鍋內水 中懸 胎令 缸口出水上 以桑柴火 煮三晝夜 如鍋內水減 則用煖水添之 日滿取出 再用蠟紙 緊封缸口 納井中浸一晝夜 取出 再入 舊湯內 煮一晝夜 以出水氣 乃取出先用少許 祭天地神祗 然後 每取一二匙 溫酒調服 不飮酒 白湯下 日進二三服 如遇夏熱 置陰凉處 或藏氷中 或埋地中 須於不聞鷄犬聲 幽淨處 不令婦人喪服人見之 製時終始 勿犯鐵器 服時忌食葱蒜蘿葍醋酸 等物<入門>○ 衛生方 生地黃 八斤 人參 三十二兩 白茯苓二十四兩 白蜜五斤本朝永樂中 太醫院會議加天門冬 麥門冬 地骨皮 各八兩 進御服食 賜號益壽永眞膏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2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09-12.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247-249.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각주

  1. 한의학에서는 음식에서 비롯된 정미(精微)한 물질인 정(精)이 몸의 근본을 이루며, 이것이 뼈의 구멍으로 스며들어 골수와 뇌를 보태고 더하며 생식활동에 까지 영향을 준다고 보았다(精者 身之本也. 又曰 五穀之津液 和合而爲膏 內滲入于骨空 補益髓腦而下流于陰股≪東醫寶鑑≫). 또한, 정(精)의 일부는 기(氣)로 전화되며, 일부는 그릇(皿)의 상태로 존재하다가 필요에 의해 혈(血)로 전화되고, 나머지는 저장된다 하였다. 그러므로 ≪臨證指南醫案≫에서 ‘又因縱欲傷精者 當治下而兼治八脈 又須知塡補精血精氣之分’이라 한 바와 같이 精을 補할 때에는 당연히 精血과 精氣를 구분하여야 한다.
  2. 穀入氣滿 淖澤注於骨 骨屬屈伸 洩澤 補益腦髓 皮膚潤澤 是謂液. 液脫者 骨屬屈伸不利 色夭 腦髓消 脛痠 耳數鳴
  3. JP는 보료나 증숙 횟수 등의 포제법에 대한 언급이 없다.
  4. 회경지황으로 숙지황을 제조한다면, 괴근을 고른 크기로 잘게 자른 다음 선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값싼 수입품 중에는 통째로 과다하게 고온 고압을 가하여 증숙하여 탄 것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5. 《珍珠囊補遺藥性賦》忌食萊菔 令人發白. 《本草約言》 忌萊菔 能耗諸血 見之則無補血之功矣)
  6. 최초로 《神農本草經》에 乾地黃이 수재되었으며, 生者가 더욱 좋다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名醫別錄》에서 처음으로 生地黃을 분리하였고, 宋代 《圖經本草》에 熟乾地黃이 가장 좋다고 하며 그 제법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비육한 地黃을 깨끗이 씻고 가는 뿌리를 제거한 다음, 가는 뿌리를 짓찧어 만든 즙을 地黃과 함께 솥에 넣고 3~4차례 증숙하면 漆黑같이 검고 맛이 조청처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