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白果) Ginkgonis Sem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白果《本草綱目》
【생약명】 Ginkgonis Semen
【이명】 銀杏《紹興本草》 靈眼《太倉州誌》 佛指柑《一握坤與》 鴨腳子
【약성가】 白果甘苦喘嗽驅 能治白濁且壓酒
【기원】
은행나무과(Ginkgoaceae ; 銀杏科)에 속한 낙엽교목인 은행나무 Ginkgo biloba L.의 種子로, 10~11월에 성숙한 果實을 채취하여 다육질의 외종피를 제거한 다음 세정하여 曬乾한다.
⊂ KHP, ChP, THP, DPRKP
겉씨식물군 (Gymnosperms ; 裸子植物)
은행나무문 (Ginkgophyta ; 銀杏植物)
은행나무목(Ginkgoales ; 銀杏目)
은행나무과(Ginkgoaceae ; 銀杏科)
[ 은행나무 Ginkgo biloba L. ]
【성상】
[ 白果 Ginkgonis Semen ]
橢圓形으로 길이 1.5~2.5㎝, 너비 1~2㎝, 두께 약 1㎝이다. 표면은 黃白色 또는 淡褐黃色으로 평활하고, 한 쪽 끝은 조금 뾰족하고 다른 한 쪽은 둔하며 邊緣에는 2~3개의 능선이 있고 껍질은 단단하다. 種仁은 넓은 卵形 또는 楕圓形으로 한 쪽은 담갈색이며 횡단면의 외층은 黃色이고 내부는 淡黃色 또는 淡綠色으로 粉性이며 중간은 비어 있다.
【산지】
우리 나라 각지에서 재식한다.
【성분】
종자에는 유독성분인 4-O-methylpyridoxine(MPN, ginkgotoxin)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6-(pentadec-8-enyl)-2,4-dihydroxybenzoic acid, 6-tridecyl-2,4-dihydroxybenzoic acid, anacaridc acid 및 25종의 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種仁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화합물, 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肉質外種皮에는 ginkgolic acid, hydroginkgolic acid, hydroginkgolinic acid, bilobol, ginnol 및 flavonoid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항이뇨, 항결핵 작용
· 거담, 혈압강하, 면역억제, 항알러지, 항균, 뇌경색 증상 개선 작용
【성미】 性平 味甘苦澀 有小毒 【귀경】 肺經
【효능】 斂肺平喘 收澁止帶濁 縮小便
【주치】 痰多喘咳 帶下白濁 遺尿頻尿
【해설】
1. 斂肺平喘 (甘澀 苦降 收斂肺氣 定喘止咳)
← 咳喘痰多에 응용
2. 收澁止帶濁 縮小便 (苦澀 除濕止帶 縮小便)
← 帶下와 白濁, 小便頻數 등 증에 응용
3. 銀杏葉(白果葉)1
: 甘苦澁平 小毒. 活血養心 斂肺澁腸 治胸痺心痛, 喘咳痰嗽, 泄瀉痢疾, 白帶 등
【포제】
生用하거나 蒸熟하여 사용. 그러나 MPN은 열에 안정적(Flash Point: 198.3 °C, Boiling Point: 404.2 °C at 760 mmHg)이므로 蒸熟해도 독성이 거의 사라지지 않음
【용량】
6~12g.
【금기】
澀斂壅氣시키므로 實邪가 있는 咳嗽나 痰稠不利한 咳嗽에는 복용을 忌한다. 또한 生食하거나 과량 복용하면 중독을 일으키기가 쉬우며, 小兒에는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 Ginkgotoxin(MPN, 4-methoxypyridoxine, C9H13NO3)함유량은 개당 약 80µg. 15~574개의 섭취만으로도 치사한 경우가 있으며, 이 중 유아나 아동의 치사율은 27%로 아주 높음. 그러므로 소아는 5개/일 이상 또는 장기복용의 경우에도 중독 증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2
【배합례】
① 麻黃 杏仁 桑白皮 등과 配合하여 肺虛咳喘과 痰多한 證에 응용
정천탕 定喘湯《萬病回春》引《攝生衆妙方》治哮吼喘急
: 麻黃三錢 杏仁去皮尖,一錢半 片芩去朽 半夏薑製 桑白皮蜜炙 蘇子水洗去土 款冬花蕊 各二錢 甘草一錢 白果二十一個,去殼切碎炒黃. 上銼一劑 水煎服.
② 오과다 五果茶《濟衆新編》[俗方] 治老人氣虛外感咳嗽
: 胡桃十箇 銀行十五箇 大棗七個 生栗留外皮七個切 生薑一塊細切煎服. 或加銀行 或加胡挑九粒和蜜 或砂糖尤好. 無外氣只咳嗽 去生栗加黃栗.
③ 芡仁 黃柏 등을 配合하여 帶下와 白濁 등에 응용
역황탕 易黃湯《傅青主女科》 所以世之人有以黃帶為脾之濕熱 單去治脾而不得痊者 是不知真水真火 合成丹邪元邪 繞於任脈胞胎之間而化 此鈴色也 單治脾何能痊乎! 法宜補任脈之虛 而清腎火之炎 則庶幾矣. 方用易黃湯
: 山藥一兩,炒 芡實一兩,炒 炒黃柏二錢,鹽水炒 車前子一錢,酒炒 白果十枚,碎. 水煎 連服四劑 無不全愈. 此不特治黃帶方也. 凡有帶病者 均可治之 而治帶之黃者 功更奇也. 蓋山藥 芡實專補任脈之虛 又能利水 加白果引入任脈之中 更為便捷 所以奏功之速也. 至於用黃柏清腎中之火也 腎與任脈相通以相濟 解腎中之火 即解任脈之熱矣.
④ 益智仁 桑螵蛸 등을 配合하여 小便頻數과 遺尿에 응용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1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9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99-800.
각주
- 작용
① 뇌순환 혈류 촉진작용, 뇌세포빈혈, 水腫 보호작용 : 관상동맥이나 뇌혈관 순환을 촉진시켜주는 물질이 있어(flavonoid 배당체의 genin) 혈청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주고 기관지를 이완시켜준다. 최근에 들어 이러한 효능으로 심장병 및 혈액순환 개선제로서의 약품이 개발되어 응용되고 있다(예: 징코민).
② 중추신경 : 기억재생 및 신경보호작용+노화억제, 치매예방작용
③ 혈관긴장작용+손상혈관재생작용
④ 항지방축적작용+혈중지질생성억제작용
- Kajiyama, et al. Ginkgo Seed Poisoning. Pediatrics. 2002 : 109(2) : 325-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