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북정력자 北葶藶子 Lepidii Semen

정력자(葶藶子) Lepidii seu Descurainiae Sem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馬兜鈴《雷公炮炙論》

【생약명】 Lepidii seu Descurainiae Semen

【이명】 大適 大室《本經》 丁歷《別錄》 蕇蒿

【약성가】 葶藶苦辛利水腫 痰喘肺癰癥瘕重

【기원】

배추과 (Brassicaceae ; 十字花科)에 속한 두해살이풀인 다닥냉이(獨行菜) Lepidium apetalum Willd. 또는 재쑥(播娘蒿) 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의 성숙한 種子로, 여름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채취하여 曬乾한다.

⊂KHP, ChP, THP, DPRKP

 ※ 전통적으로 꽃다지(葶藶) Draba nemorosa L.의 성숙한 씨도 사용하였음

다닥냉이(獨行菜) Lepidium apetalum Willd.

[ 다닥냉이(獨行菜) Lepidium apetalum Willd. ]

재쑥(播娘蒿) 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

[ 재쑥(播娘蒿) Descurainia sophia (L.) Webb ex Prantl ]

【성상】

북정력자(北葶藶子) Lepidii Semen

[ 北葶藶子 Lepidii Semen ]

① 北葶藶子 (다닥냉이 獨行菜의 種子):扁卵形으로 길이 1~1.5㎜, 너비 0.5~1㎜이다. 표면은 갈색 또는 紅褐色으로 광택이 조금 있고 2條의 縱溝가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비교적 뚜렷하다. 한쪽 끝은 둥글고 다른 한쪽의 끝은 뾰족하면서 조금 오목하고 乳白色이며, 種臍가 있는 끝은 오목하게 들어갔다.

남정력자(南葶藶子) Descurainiae Semen

[ 南葶藶子 Descurainiae Semen ]

② 南葶藶子 (재쑥 播娘蒿의 種子):긴 圓形으로 약간 납작하고 길이는 약 1~1.5㎜, 너비 0.5㎜이다. 한쪽 끝은 둥글고 다른 끝은 약간 움푹하거나 평탄하다.

【산지】

우리 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중국에서 播娘蒿는 江蘇, 山東, 安徽省 등 지역에, 獨行菜는 河北, 遼寧, 內蒙古 등 지역에 분포한다.

【성분】

① 北葶藶子(다닥냉이의 종자) : sinigrin 함유. 그외 지방유, sinalbin, 단백질, 당류

② 南葶藶子(재쑥의 종자): sinapic acid, strophanthidin, helveticoside, evomonoside, sinapine 등. 휘발성 정유성분으로는 giucosinolate, erucic acid, benzyl isothiocyanate(BITC) 등. 지방유에 함유된 지방산으로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oleic cid 등.

【작용】

· 강심, 이뇨, 거담 작용
· 혈중지질개선(TC, TG, LDL ↓; HDL ↑) 작용

 

【성미】 性大寒 味辛苦           【귀경】 肺膀胱經

【효능】 瀉肺平喘 行水消腫

【주치】 痰涎壅肺 喘咳痰多 胸脇脹滿 不得平臥 胸腹水腫 小便不利

【해설】

0. 肺爲水之上源 肺主行水 肺爲通調水道 → 若肺氣壅實 → 氣化失司 → 水道不通 → 水腫脹滿 → 瀉肺氣之閉塞 →  肺氣宣通 → 水道通利 → 利水消腫

1. 瀉肺平喘 行水消腫

苦寒 沈降 入肺經 ┌ 瀉肺降氣 – 氣降卽平喘 ┐ 行水 祛痰 平喘

                            └ 行水消痰 – 水行卽痰消 ┘

 ∴ 肺家氣分之藥(瀉肺行水의 要藥)으로서 肺의 水邪를 瀉하는 효능이 강력한 약물

① 胸腹積水(e.g. 熱入結胸證) 小便不利 등에 응용

② 痰飮壅滯로 肺氣가 不降하여 나타나는 咳嗽 氣喘 등에 응용

③ 咳逆痰飮으로 인한 一身面目의 浮腫과 不得臥 등에 응용

2. 주된 효능은 桑白皮와 유사하나 桑白皮에 비해서 훨씬 강력한 효능

【포제】

生用하거나, 微炒하고 搗碎하여 사용한다.   

【용량】

4~12g.

【금기】

강한 泄利로 正氣를 손상시키므로 體虛者는 반드시 補益藥과 같이 사용하며, 風寒咳嗽와 脾胃虛弱이나 眞陰不足으로 인한 浮腫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大棗를 配合하여 痰飮壅滯로 肺氣가 不降하여 나타나는 咳嗽, 痰多, 氣喘, 胸滿 등에 응용
정력대조사폐탕 葶藶大棗瀉肺湯《傷寒雜病論》 咳而氣逆 喘鳴迫塞 胸滿而脹 一身面目浮腫 鼻出清涕 不聞香臭 此為肺脹 葶藶大棗瀉肺湯主之
: 葶藶熬令黃色 搗丸如彈子大 大棗十二枚. 右二味 以水三升 先煮大棗取二升 去棗 納葶藶 煮取一升 去滓 頓服.

cf. 정력대조사폐탕 葶藶大棗瀉肺湯《溫病條辨》 (苦辛甘法)支飲不得息 … 支飲上壅胸膈 直阻肺氣 不令下降 呼息難通 非用急法不可. 故以稟金火之氣 破癥瘕積聚 通用水道 性急之葶藶 急瀉肺中之壅塞. 然其性剽悍 藥必入胃過脾 恐傷脾胃中和之氣 故以守中緩中之大棗 護脾胃而監制之 使不旁傷他臟 一急一緩 一苦一甘 相須成功也.
 : 苦葶藶炒香碾細三錢 大棗去核五枚. 水五杯 煮成二杯 分二次服 得效 減其制 不效 再作服 衰其大半而止.

② 정력의이사폐탕 葶藶薏苡瀉肺湯《兒科要略》 治肺癰初潰 唾膿血.
: 葶藶酒炒研,八分 薏苡仁五錢 貝母去心,一錢六分 甘草節一錢五分 陳皮一錢二分 黃耆酒拌勿炒 桔梗 忍冬 白芨各一錢 生薑一片. 淸水煎 食後緩緩服.

初起去黃耆 白芨 加防風,
潰後膿盡 加人參,
久不斂 去葶藶加合歡皮.

③ 위경력조탕 葦莖藶棗湯《重訂通俗傷寒論》 風熱入肺 肺氣腫盛 不能通調水道 致上身腫而喘息者 此中醫所謂肺痹 西醫所謂肺積氣也. 風重熱輕者 越婢加半夏湯 散風熱以降肺氣, 熱重風輕者 葦莖藶棗湯 或用荷杏石甘湯1 送下淸肺葶藶丸 瀉氣熱以消腫痹
: 鮮葦莖即活水蘆根之靑色者 冬瓜子各一兩,先煎代水 光桃仁七粒 生苡仁五錢 葶藶子二錢 大紅棗兩枚

④ 청폐정력환 淸肺葶藶丸《重訂通俗傷寒論》 (李惺菴先生驗方) 효능 및 주치는 위 ‘葦莖藶棗湯’ 참조
: 葶藶隔紙炒 川貝 木通各一兩 光杏仁 木防己各二兩 爲末 紅棗肉丸 每服二三錢

防己 大黃 椒目 등을 配合하여 面目浮腫과 胸腹積水 등을 동반하는 小便不利에 응용
방기초목정력대황환 防己椒目葶藶大黃丸 = 기초력황환 己椒藶黃丸《傷寒雜病論》 腹滿 口舌乾燥 腸間有水氣者 防己椒目葶藶大黃丸主之.
: 防己 椒目 葶藶 大黃 各一兩. 右四味 搗篩 煉蜜為丸 如梧桐子大 先食 飲服一丸. 日三服 不知稍增.

⑥ 大黃 芒硝 杏仁 등을 配合하여 胸腹積水에 응용
대함흉환 大陷胸丸《傷寒雜病論》 結胸病 頭項強 如柔痙狀者 下之則和 宜大陷胸丸.
: 大黃半斤 葶藶半斤 熬 芒硝半斤 杏仁半斤去皮尖 熬. 右四味 搗篩二味 納杏仁 芒硝. 合研如脂 和散 取如彈丸一枚 別搗甘遂末一方寸匙 白蜜二合 水二升 煮取一升 去滓 溫頓服之 一宿乃下. 如不下 更服 取下為度. 禁忌如藥法.

⑦ 가미양격전 加味涼膈煎《重訂通俗傷寒論》 (下痰通便法 俞氏經驗方) 凡溫熱者 多挾痰火壅肺. 其證痰多咳嗽 喉有水雞聲 鼻孔煽張 氣出入多熱 胸膈痞脹 腹滿便秘 甚則喘脹悶亂 胸腹堅如鐵石 脹悶而死 急救之法 惟速用此方. 涼膈散爲君 以去其火, 臣以枳‧葶‧芥‧遂 逐其痰而降其氣, 佐以竹瀝‧薑汁 辛潤通絡 庶可轉危爲安. 若畏其峻險而不用 仍以疲藥塞責 則百不救一矣.
: 風化硝一錢 煨甘遂八分 葶藶子錢半 蘇薄荷錢半 生錦紋一錢酒洗 白芥子八分 片黃芩錢半 焦山梔三錢 靑連翹錢半 小枳實錢半 鮮竹瀝兩瓢 生薑汁兩滴 同沖

cf. 양격산 涼膈散《太平惠民和劑局方》 治大人 小兒腑臟積熱 煩躁多渴 面熱頭昏 唇焦咽燥 舌腫喉閉 目赤鼻衄 頷頰結硬 口舌生瘡 痰實不利 涕唾稠黏 睡臥不寧 譫語狂妄 腸胃燥澀 便溺秘結 一切風壅 並宜服之.
: 川大黃 朴硝 甘草爁,各二十兩 山梔子仁 薄荷葉去梗 黃芩各十兩 連翹二斤半. 上粗末 每二錢 水一盞 入竹葉七片 蜜少許 煎至七分 去滓 食後溫服. 小兒可服半錢 更隨歲數加減服之 得利下住服.

⑧ 사증목과환 四蒸木瓜丸《三因極一病證方論》 肝腎脾三經氣虛 爲風寒濕搏著 流注經絡 竭日曠歲 治療不痊 凡遇六氣更變 七情不寧 必至發動 或腫滿 或頑痹 憎寒壯熱 嘔吐自汗. 新舊腳氣 不論乾濕.
: 威靈仙半兩(苦葶藶同入) 黃耆半兩(續斷同入) 蒼朮半兩(橘皮同入) 烏藥(去木與黃松節同入)半兩 以大木瓜四個切蓋去瓤 入前件藥 仍用蓋簪定 酒灑蒸熟 三蒸三曬 取藥出 焙乾爲末 研瓜爲膏 搜和搗千杵爲丸 如梧桐子大. 每服五十丸 空心溫酒 鹽湯任下. 世傳木瓜丸最多 惟此方有效 當敬之. 黃松節即茯苓中木.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1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92-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03-4.


 




각주

  1. 蘇薄荷八分 光杏仁 栝蔞皮各三錢 霜桑葉 靑連翹各二錢 焦梔皮錢半 生石膏研細八錢 生甘細梢八分 先煎代水. 此皆葉氏驗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