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1절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

 강의요약. 누구나 차디찬 곳에 있을 때 맑은 콧물이 주르륵 흐르는 경험을 한다. 한의학에서는 이를 외한(外寒)으로 인한 것이라 하여 한담(寒痰)의 일종으로 분류 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찬 곳에 가지 않았거나 찬 것을 접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맑은 콧물이 나는 경우1 도 있다. 한의학 초기에는 내한(內寒)으로 인한 것이라 하고 앞과 동일하게  한담(寒痰)의 범주로 취급하였다. 즉, 옛사람은 무언가의 차가운 기운을 원인으로 지목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주요한 기관인 허파가 차가워져서 그렇다 생각했다. 그래서 한담(寒痰)을 개선하는 약물을 두고 온폐거한(溫肺祛寒)한다 하였다. 

 그러나 질병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면서 이 분류에 맞지 않는 경우도 종종 생겼다.

 그 중 하나는 소화기계와 연관된 것이다. 소화기계에서 수분대사가 오래 정체되어 허파의 기능에 까지 영향을 미쳐서 생긴 콧물과 가래까지 인식이 확대되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습담(濕痰)이라 별도로 분류 2 하였다. 여기에 사용한 약물을 두고 탁해진 수분을 개변하여 나아졌다 해서 조습화담(燥濕化痰)한다 하였다.

 또 하나는 근골격계와 연관된 것이다. 담(痰)이 콧물이나 가래뿐만 아니라 인체의 수분이 변질되어 생긴 모든 것이라는 의미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나서는 이것이 경락에 머물러 있다가 병증을 일으켰다고도 본 것이다. 이 경우에는 원인에 따른 별도의 이름을 붙이지 않고 증상에 따라 한담(寒痰) 또는 습담(濕痰)으로 분류하고 앞서의 약물 중 편성이 비교적 강한 약물을 응용하였다.

 온화한담약에 속하는 약물은 흉강에 정체된 삼출물을 강하게 배출시키거나 생성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호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거나, 인체에 정체된 수분 대사를 물리화학적으로 강하게 촉진시키는 약물이 많다.  그러므로 상대적인 수분 부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응용을 피하거나, 적절한 배합이 필요하다.

1. 溫化寒痰藥

: 藥性이 溫燥하며 溫肺祛寒시키고 燥濕化痰시키는 작용을 가진 약물

2. 적응증

① 寒痰과 濕痰으로 인한 咳嗽氣喘과 痰多稀薄 등 증에 응용

② 濕痰이 經絡에 阻滯되어 일어난 肢節酸痛과 陰阻流注 등 증에 응용

3. 배합

: 항상 寒邪를 溫散시키는 약과 燥濕健脾시키는 약물을 配合하여 응용

4. 주의사항

: 溫化寒痰藥 중에서 半夏 天南星 白附子 등은 性이 비교적 燥烈하여 熱痰壅肺나 陰虛燥咳 및 肺熱咯血에는 愼用

5. 대표약물

반하(半夏) Pinelliae Tuber

천남성(天南星) Arisaematis Rhizoma

백부자(白附子) Aconiti Coreani Tuber

백개자(白芥子) Brassicae Semen

조협(皂莢) Gleditsiae Fructus

선복화(旋覆花) Inulae Flos

백전(白前) Cynanchi Stauntonii Rhizoma et Radix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7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1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60.


 

 




각주

  1. 많은 경우 허파의 기능이 저하되어 삼출물을 배출하지 못하게 된 것이 원인이다.
  2. 습담저체로 인한 창만처럼, 콧물 가래가 없어도 동반 증상이 많은 부분 유사하면 동일하게 습담으로 취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