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선복화(旋覆花) Inulae Flos

선복화(旋覆花) Inulae Flo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旋覆花《神農本草經》

【생약명】 Inulae Flos

【이명】 盜庚《爾雅》 盛椹《本經》 戴椹《別錄》 金錢花《本草圖經》 夏菊《綱目》

【약성가】 金沸草寒消痰嗽 逐水明目風可救

【기원】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금불초1(蔙覆花) Inula japonica Thunb.2 또는 유라시아선복화(歐亞旋覆花) I. britannica L.3의 꽃차례(花序)로, 여름과 가을에 막 피기 시작한 꽃을 채취하여 曬乾한다.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 초롱꽃군 (Campanulids ; 桔梗類植物)
            국화목(Asterales ; 菊目)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科)

금불초(蔙覆花) Inula japonica Thunb.

[ 금불초(蔙覆花) Inula japonica Thunb. ] 

【성상】

선복화(旋覆花) Inulae Flos

[ 旋覆花 Inulae Flos ]

… 總苞는 … 覆互狀으로 배열 … 苞片은 披針形~條形으로 灰黃色이고 길이는 4~11㎜ … 花片과 花梗의 표면은 백색의 茸毛 … 舌狀花는 일렬로 黃色이며 … 先端은 3개로 갈라졌다. 筒狀花는 여러 개로 황갈색이며 … 先端은 5개로 갈라졌고, 子房의 頂端에는 많은 白色의 冠毛가 있으며 길이는 약 5~6㎜이다. 體는 輕하여 잘 부스러진다.

【산지】

선복화는 한국과 중국에 고르게 분포하며, 歐亞旋覆花(大花旋覆花)는 중국의 西北(新彊 靑海 陝西 甘肅), 華北(河南), 東北(黑龍江) 등지에 분포

【성분】

蔙覆花 : lactone 성분으로 inulicin, deacetyl inulicin, britannilact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 성분으로는 kaempferol, quercetin, tamarixetin, azalea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taraxasterol, taraxasterol acetate, daucosterol, myristic acid, palmi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歐亞旋覆花(大花旋覆花) : lactone 성분으로 inulicin, monoacetylbritannilactone, diacetylbritannilactone, britannil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 성분으로는 5,4′-dimethoxyquercetin, tamarixetin, azaleatin, querce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Diterpene 성분에는 inuloside A~B 등이 있고, 그 밖에 sesquiterpene,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taraxasterol, taraxasterol acetat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기관지경련을 완화시켜 진해·거담, 소염, 항균작용
· Inulicin은 중추신경·위장평활근 흥분, 궤양 억제, 이뇨 작용
· 항바이러스, 간손상 억제 작용

 

【성미】 性微溫 味苦辛鹹      【귀경】 肺脾胃大腸經

【효능】 消痰行水 降氣止嘔

【주치】 風寒咳嗽 痰飮蓄結 胸膈痞滿 喘咳痰多 嘔吐噫氣 心下痞硬

【해설】

《本草正義》 旋複花 其主治當以泄散風寒 疏通脈絡爲專主 《別錄》治風氣濕痹 皮間死肉 通血脈 宗爽去頭目風 皆其輕疏泄散之功也.

0. 若痰濕之邪氣於

┌ 肺 → 肺不能宣降 → 痰逆上氣之證

└ 胃 → 胃不能下降 → 嘔惡噫氣之證

1. 消痰行水 : 肺氣宣通하여 痰壅氣逆으로 肺가 肅降이 失職하여 나타나는

① 痰多咳喘 胸膈痞滿(胸腹水飲脅痛滿)등에 응용

② 頭風 또는 白睛腫脹 등에 응용

2. 降逆止噫 :

① 化痰濕 → 痰濕이 內停하여 脾胃의 升降 失調로 나타나는 嘔吐噫氣 등에 응용

3. 寒證이나 熱證을 막론하고 모두 응용할 수 있으나 性이 扁溫하므로 寒痰에 더욱 적당

【포제】

降氣化痰止嘔에는 生用하고, 潤肺祛痰 平喘止咳에는 蜜炙하여 사용한다.

단, 生用할 경우 융모가 많아 咽喉를 자극하여 瘙痒케 하므로 湯劑에 넣을 때는 絹布로 싸서 煎湯하여야 한다.

【용량】

4~12g.

【금기】

性이 溫散에 편중되므로 陰虛咳嗽와 胃熱嘔噫에 적용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으며, 陰虛로 인한 勞嗽나 風熱에 의한 燥咳에는 복용을 忌한다. 또한, 虛한 경향이 있는 자는 많이 복용해서는 안 되며, 허약자나 大便 泄瀉에는 적당하지 않다.

【배합례】

① 가미길경탕 加味甘桔湯《醫學心悟》 治喘 定哮
: 甘草五分 桔梗 川貝母 百部 白前 橘紅 茯苓 旋覆花各一錢五分. 水煎服.

② 인삼청폐산 人參淸肺散《東醫寶鑑》引《丹溪心法》 治痰嗽 咽乾 聲不出
: 人參 陳皮 貝母炒各一錢半 半夏 桔梗 茯苓 桑柏皮 知母 枳殼 杏仁 黃連各一錢 款冬花七分 麥門冬 地骨皮 甘草各五分 五味子二十箇. 右剉分作二貼 每服薑三片 水煎服

③ 반하온폐탕 半夏溫肺湯《醫學入門》 治虛寒咳嗽 及中脘痰水冷氣 心下汪洋嘈雜 多唾清水 脅脹不食 脈沉弦細遲 此胃虛冷所致也.
: 半夏 細辛 桂心 旋覆花 甘草 陳皮 人參 桔梗 芍藥 各五錢 赤茯苓三分. 每四錢 薑煎溫服.

④ 半夏 前胡 細辛 荊芥 등을 配合하여 寒飮喘咳에 表證을 겸한 증상에 응용
금불초산 金沸草散《類證活人書》 治傷寒中脘有痰 令人壯熱. 頭痛 項筋緊急 時發寒熱 皆類傷風 但不頭痛.
: 前胡三兩 荊芥四兩 半夏一兩淨洗薑汁浸 赤芍藥二兩 細辛一兩 旋復花三兩. 上件搗羅為末. 每服二錢 水一盞 生薑五片 棗子一枚 同煎至六分 去滓熱服 未知再服.

⑤ 人蔘 代赭石 半夏 등을 配合하여 脾胃虛寒이나 痰濕이 停滯되어 나타나는 嘔吐, 噫氣 등 증상에 응용
선복대자탕 旋覆代赭湯 《傷寒論(康平)》 傷寒 發汗 若吐 若下 解後 心下痞鞕 噫氣不除者
: 旋覆花三兩 人參二兩 生薑五兩 代赭一兩 甘草炙三兩 半夏洗半升 大棗擘十二枚. 右七味 以水一斗 煮取六升 去滓 再煎取三升. 溫服一升 日三服.

⑥ 보혈거풍탕 補血祛風湯《古今醫鑑》 (秘方) 治婦人頭風 十居其半 每發必掉眩 如立舟車之上 蓋因肝血虛損 風邪乘虛而襲之耳.
: 當歸 川芎 生地黃 防風 荊芥 細辛 藁本 蔓荊子 半夏 石膏 甘草 旋覆花. 上銼 薑棗煎 食後服. 一方加羌活

⑦ 백강잠산 白殭蠶散《醫學入門》治肺虛遇風冷淚出 冬月尤甚 或暴傷風熱 白睛遮覆黑珠 瞼腫痛癢
: 黃桑葉一兩 木賊 旋覆花 僵蠶 荊芥 粉草各三錢 細辛五錢 每三錢 水煎服.

⑧ 일자경금산 一字輕金散《東醫寶鑑》引《世醫得效方》 治偏正頭風痛夾腦風 眉稜骨痛 牽引兩眼 抽掣疼痛 迸出 或生瞖膜視物不明
: 川芎 白芷 藿香 荊芥 旋覆花 石膏 防風各五錢 南星 川烏生各二錢半 草烏一錢半. 右剉日晒擣爲末 每一字 茶淸調下神效

⑨ 선화산 蟬花散《楊氏家藏方》 治肝經蘊積風毒 上攻眼目 腫痛昏暗. 或生翳膜 視物不明.
: 蟬蛻去土 半兩 蒼朮二兩半 米泔浸一宿 切焙 荊芥穗 甘草 木賊去節 三味各一兩半 密蒙花 甘菊花 旋覆花 黃連去須 石決明火煅 草決明 黃芩 穀精草 仙靈脾 青葙子 薄荷葉去土 羌活去蘆頭 川芎 防風去蘆頭 白蒺藜炒去刺. 十五味各一兩 細辛去葉土 半兩 羯羊肝一具 切 焙乾. 上件為細末. 每服二錢 用川椒湯調下 茶清亦得 食後.

⑩ 청폐산 清肺散《古今醫鑑》 (京師傳)[批](按此方治一切眼疾清涼之劑). 治肺氣上攻眼目 白睛腫脹 日夜疼痛者
: 桑白皮 黃芩 菊花 枳殼 防風 荊芥 柴胡 升麻 赤芍 歸尾 玄參 苦參 蒺藜 木賊 旋覆花 甜葶藶 甘草. 上銼 水煎 食後服.

 cf. 《東醫寶鑑》 治肺熱上攻 白睛腫脹 日夜疼痛 … 各五分

⑪ 삼인강복탕 三仁絳覆湯《重訂通俗傷寒論》 又次論蠱症程鍾齡謂非蟲即血 非血即蟲. 但從字面象形 尚非成蠱之原理. 惟石芾南謂鬱怒傷肝 肝熱血燥 經絡凝滯不通 下部回血壅脹 即有水血溢於脥膈之裡 漸漬漸深 終成蠱脹 實由肝葉撐張則脹也. 肚大筋青不治. 夫青筋 非筋也 血絡也 青者 血燥而結也. 血結則不獨血滯於中 即水飲亦無由吸攝 不能循其常道 下輸膀胱 故蠱脹多水. 醫者見水行水 不審水由肝血燥結所致 所以不效. 其說中西合參 言之成理 語甚精當 惜未對證立方耳. 余於臨證實驗上 每用辛潤通絡 以行肝血 自制三仁絳覆湯 送下諸蠱保命丹4 及通絡消蠱丸5
: 栝蔞仁四錢 柏子仁三錢 光桃仁 澤蘭 新絳各二錢 歸鬚 旋覆花各錢半 鮮蔥須三分. 用鮮茅根二兩 全絲瓜絡一錢 煎湯代水.

cf. 이인강복탕 二仁絳覆湯《重訂通俗傷寒論》 傷寒夾血 … 若不嘔泄而出 多變呃逆 甚發血厥 但用活血消瘀 如二仁絳覆湯
: 光桃仁七粒 柏子仁二錢 歸鬚 眞新絳各錢半 旋覆花三錢包煎 青蔥管五寸沖. 調下七釐散.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8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36-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01-2.


 

 




각주

  1. 《동의보감》에는 한글로 ‘하국'이라 기록됨
  2. =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3. = Pentanema britannicum (L.) D.Gut.Larr., Santos-Vicente, Anderb., E.Rico & M.M
  4. 肉蓯蓉三兩 紅棗 青礬各一斤,入罐內煅煙盡 為末 再將四制香附 生麥芽各一斤為末 和前末糊丸 每服二三十丸. 專治單腹脹大 四肢極瘦 王孟英《內科簡效》方
  5. 即當歸䗪蟲丸. 方載夾痛傷寒勘語中 專治絡瘀單脹 葉氏驗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