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우절(藕節) Nelumbinis Rhizomatis Nodus

우절(藕節)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藕節《神農本草經》

【생약명】 Nelumbinis Rhizomatis Nodus

【이명】 蓮根節 光藕節 藕節疤

【약성가】 藕味甘寒能淸熱 解酒消煩治諸血

【기원】

연꽃과(Nelumbonaceae ; 蓮科)에 속한 水生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연꽃(蓮) Nelumbo nucifera Gaertn.의 根莖節로, 가을과 겨울에 根莖을 캐어 마디 부분을 잘라 씻은 뒤 曬乾하고 鬚根을 없앤다.

⊂ KHP, ChP, THP, DPRK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프로테아목 (Proteales ; 山龍眼目)
     연꽃과 (Nelumbonaceae ; 蓮科)

연꽃(蓮) Nelumbo nucifera Gaertn.

[ 연꽃(蓮) Nelumbo nucifera Gaertn. ]

※ 연꽃의 약용부위별 본초명 : 藕節 = 根莖節 / 蓮根 = 根莖 / 石蓮子[=甛石蓮] = 성숙 果實(不去果皮) / 蓮子 = 성숙한 種子(果實에서 果皮만 제거한 것) / 蓮子肉 = 성숙한 種子의 胚 / 蓮子心(蓮子心)= 성숙한 種子의 胚芽 / 蓮房 = 성숙花托 / 蓮鬚 = 雄蕊 / 荷葉 = 蓮葉

【성상】 

우절(藕節)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藕節 Nelumbinis Rhizomatis Nodus ]

근경의 마디부위로서 원주형 또는 片狀不定形으로 직경 약 2~4㎝ 두께 0.5㎝이다. 표면은 회황색~회갈색으로 縱紋이 있거나 皺紋이 있고 가운데가 오목한 乳頭狀의 鬚根 흔적이 부분 부분 뭉쳐있다. 횡단면은 황색~황갈색으로 약간의 粉性을 나타내며, 작고 큰 小孔穴이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 종단면은 비교적 평탄하고 아주 미세한 구멍이 빽빽하게 있다. 質은 단단하고 가벼우며 절단이 어렵다. 냄새는 거의 없고 맛은 약간 달고 떫다.

【산지】

우리 나라 중남부지방에서 재식한다.

【성분】

Tannin과 asparagin, raffinose 등을 함유

【작용】

혈액응고시간 단축

 

【성미】 性平 味甘澀      【귀경】 心胃肝經

【효능】 收斂止血散瘀

【주치】 吐血 咯血 衄血 尿血 崩漏 (藕味甘寒能淸熱 解酒消煩治諸血)

【해설】

1. 收斂止血兼化瘀 → 止血하되 瘀血을 유발하지 않음 (偏性이 약함)

① 각종 內出血에 상용

② 특히 吐血과 咯血, 鼻出血에 白茅根 등과 배합하여 다용

2. 주로 즙을 내어 生用

┌ 生用 :  偏涼 – 止血化瘀 > 收斂止血 : 열로 인한 출혈에 응용

└ 炒炭 :  偏溫 – 止血化瘀 < 收斂止血 : 虛寒性 만성출혈에 응용

cf. 蓮根(藕 ; 光旁)

– 性寒甘味 入心脾胃肝肺經.

– 淸熱生津 涼血 散瘀 止血. 治熱病煩渴 吐衄 下血

【포제】

止血化瘀에는 生用하고, 收斂止血에는 炒炭하여 사용한다.

【용량】

9~15g.

【금기】

外感風寒으로 출혈하는 자와 孕婦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칠생탕 七生湯《萬病回春》 治血向口鼻中出如湧泉者 諸藥止之不效
: 生地黃 生荷葉 生藕汁1 生韭葉 生茅根各一兩 生薑五錢. 俱搗自然汁一碗,磨京墨 2與汁同服.

cf. 사생환 四生丸《婦人大全良方·婦人吐血方論第六》 療吐血. 凡吐血 衄血 陽乘於陰 血熱妄行 宜服此藥.
: 生荷葉 生艾葉 生柏葉 生地黃 上等分爛研 丸如雞子大 每服一丸. 水三盞 煎至一盞 去滓溫服 無時候.

┌ 사생탕 四生湯 = 生地黃 生藕節 生艾葉 生側栢葉

└ 칠생탕 七生湯 = 生地黃 生藕節 生荷葉 生韭菜 生薑 生薊汁 生茅根

② 청뉵탕 清衄湯《萬病回春》 衄血者 出於肺 鼻中出血也
: 當歸 芍藥 生地 香附 黃芩各一錢 梔子炒,一錢 黃連七分 赤芍 桔梗各五分 生甘草 柏葉七枚 藕節五個. 上銼一劑. 水煎 入童便共服.

③ 천문동탕 天門冬湯《嚴氏濟生方》 治思慮傷心 吐衄不止
: 遠志去心,甘草水煮 白芍藥 天門冬去心 麥門冬去心 黃耆去蘆 藕節 阿膠蛤粉炒 沒藥 當歸去蘆 生地黃各一兩 人參 甘草炙,各半兩.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姜五片 煎至八分 去滓 溫服不拘時候.

④ 진괴탕 陳槐湯《古今醫鑑》引《劉尚書傳》 治吐血衄血不止
: 當歸頭尾,二錢 川芎二錢 赤芍藥二錢 黃芩二錢 槐花二錢 陳皮二錢 側柏葉蜜炒,二錢 烏藥二錢 山梔子七個 藕節三分 細茶三錢. 上用水二鍾 煎一鍾 不拘時熱服.

⑤ 십회환 十灰丸《東醫寶鑑》引《丹溪心法》 治血崩 及一切失血
: 黃絹 馬尾 藕節 艾葉 蒲黃 蓮蓬 油髮 棕櫚 赤松皮 新綿 各等分. 右爲末 以醋煮糯米糊和丸 梧子大 米飮下百丸

⑥ 소계음자 小薊飮子《東醫寶鑑》引《丹溪心法》
: 藕節二錢 當歸一錢 山梔仁八分 小薊 生地黃 滑石 通草 蒲黃 各五分 甘草三分. 右剉作一貼 竹葉七片同煎服.

⑦삼생육일산 三生六一散《醫方集解》 治血淋
: 六一散3 加生柏葉 生車前 生藕節

⑧ 삼령환 蔘苓丸《普濟方》引《經驗良方》 治泄精無常.
: 藕節 菱角肉各一兩 人蔘 白茯苓各半兩 石蓮肉一兩. 上為末 用黃酒糊為丸 如梧桐子大 煅土末為衣 每服三十丸 溫酒下

⑨ 청금인혈탕 清金引血湯《中醫婦科治療學》 清燥潤肺 引血下行. 治經前鼻衄 經期提前或停閉 頭暈耳鳴 口乾欲飲 苔黃脈數
: 藕節9g 茅根15g 側柏9g 降香 桑葉 麥冬各6g 旱蓮草9g 黑芥穗4.5g 澤蘭15g. 水煎服. 唇燥舌紅者 加生地9g 丹皮6g

⑩ 가감고방오즙음 加減古方五汁飮《慈禧光緒醫方選議》 清肺利咽 開胃止嘔. 治咽腫目赤 煩渴咳嗽 納呆欲嘔者
: 蜜柑2個去皮,子 鮮藕120g,去節 荸薺20個,去皮 青果20個,去核 生薑1薄片,去皮. 共搗如泥 用布擰汁 隨時飲之.

⑪  生地黃 地楡炭 등을 配合하여 腸出血에 응용

⑫ 杏仁 川貝母 紫菀 白芍藥 枇杷葉 등을 配合하여 咳血에 응용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24.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01-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17-8.


 




각주

  1. 《東醫寶鑑》은 ‘生藕節’로 바꿔 인용하였다.
  2. 京墨 : 소나무를 태운 그을음으로 만든 먹
  3. 滑石六兩 甘草一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