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봉밀(蜂蜜) Mel

봉밀(蜂蜜) Mel

강의요약. 고대로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아온 ‘꿀’ 또한 다양한 목적으로 약용하였다. 한방에서의 꿀을 활용한 예는 아래와 같이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자양(滋養) 목적으로의 활용이다. 오랜 질병에 시달려 영양 상태가 극히 불량하고 체력이 극도로 소진된 사람에게 당을 비롯한 다양한 원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민간에서도 널리 알려진 경옥고(瓊玉膏)의 주요 구성약물이 봉밀이다.

둘째는 외용제로서의 활용이다. 생꿀은 그 자체로도 괜찮은 항균효과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끈끈한 성질이 있어 환부를 외부 환경과 차단시킬 수 있는 좋은 도포제이다. 이러한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화상으로 인한 상처에 외용제로 많이 쓰였다.

셋째는 포제의 보조재료로서의 활용이다. 배당체 성분이 약효를 내거나 부작용을 내는 경우가 있다. 둘 모두 꿀에 버무려 가열하거나 꿀물에 전탕하는 방식으로 응용하였다. 그 결과물이 흡수가 용이해지는 등의 결과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약효가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지만,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켜 약리 작용이 완만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관동화(款冬花)를 밀자(蜜炙)하는 경우 윤폐(潤肺)의 효능이 증강되나, 오두(烏頭)를 밀제(蜜製)하는 경우 부작용이 완만해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넷째는 부형제로서의 활용이다. 꿀은 끈끈하여 형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하면서도 연밀(煉蜜)의 과정을 거치면 수분함량이 극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장기적인 보관에 유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장기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 단환(丹丸)이나 고(膏)의 주요한 부형제로 사용하였다.

【본초명《출전》】 蜂蜜《神農本草經》

【생약명】 Mel

【이명】 石蜜 石飴《本經》 食蜜《傷寒論》《金匱要略》 白蜜《藥性論》 白沙蜜《本草衍義》 蜜糖《本草蒙筌》 沙蜜 蜂糖《綱目》

【기원】

꿀벌과(Apidae ; 蜜蜂科)에 따른 곤충 재래꿀벌(中華蜜蜂) Apis cerana Fabricius, 1793 또는 양봉꿀벌(意大利蜂) A. mellifera Linnaeus, 1758이 만들어낸 1. 봄철부터 가을철까지 채취하여 여과한 후 연밀(煉蜜)하여 보관함.

⊂ KHP, ChP, JP, DPRKP

봉밀(蜂蜜) Mel

[ 양봉 ]

【성상】

봉밀(蜂蜜) Mel

[ 봉밀(蜂蜜) Mel ]

반투명하고 광택을 띤 걸쭉한 액체로 백색, 엷은 황색, 橘黃色 또는 황갈색으로 오래 저장하면 변색되어 불투명하게 되고 冷暗處에 저장하면 백색의 과립상 결정이 析出한다.

① 매끄러운 철사를 불에 달구어 꿀속에 잠시 넣었다가 철사를 꺼냈을 때 철사가 매끄럽지 못하게 변하면 이는 잡질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꿀을 묽게 하여 깨끗한 나무젓가락으로 저었다가 들어 올렸을 때 실과 같은 것이 일어나고 맛을 보아 특별한 단맛이 느껴지며 가라앉은 당즙을 씹었을 때 이에 붙지 않고 즉시 녹아야 良品이다. 또 약간의 꿀을 취하여 물에 넣고 고르게 섞었을 때 밑바닥에 가라앉은 것이 없어야 純品이며, 만약 맛이 시큼하면 변질된 꿀이다.

③ 꿀을 종이위에 바르고 불에 붙여서 타는 도중에 爆聲이 생기면 물이 섞인 것이고, 타고 난 뒤에 黑點이 남거나 탄 냄새가 있으면 잡질이 섞인 것이다.

④ 넓고 큰 그릇에 꿀을 넣고 냉수를 부어 고르게 한참 동안 저으면 설탕물은 완전히 용해되고 꿀물은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서 밑바닥에 걸쭉하게 가라앉으며 이것을 햇빛에 비추어 보면 蜂窩狀의 형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산지】

한국과 중국 각지에서 양식

【성분】

꿀벌의 종류 蜜源 環境 등의 차이에 따라 화학조성의 차이가 매우 다양함.
∙ 양봉꿀의 당류물질은 주로 glucose, fructose 등이 있고, 그 밖에 소량의 sucrose, dextrin, 유기산, 단백질, 휘발성 정유, wax, vitamin(B1, B2, B6, C, K, H), amylase, invertase, peroxidase, 화분 및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음.
∙ 재래꿀의 당류물질은 주로 glucose, fructose 등이 있고, 그 외에 sucrose, dextrin, 유기산, 단백질, 휘발성정유, wax, 화분, vitamin(B1, B2, B6, C, K, H), diastase, invertase, peroxidase, esterase 및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음.

【작용】

∙ 관상동맥 확장, 소장운동 촉진을 통한 완만한 사하작용, 혈당강하(저용량)·혈당상승(고용량), 체액면역 증강 작용.
∙ 간손상 억제, 항종양, 성장발육 촉진, 손상조직 재생 촉진, 비타민 K 결핍증 경감, 자궁평활근 수축, 거담 작용.
∙ 가열하지 않은 蜂蜜은 항균작용(pinocembrin).
∙ 川烏의 독성을 감소시킴.

 

【성미】 性平(凉) 味甘     【귀경】 肺脾大腸經

【효능】 補中 潤燥 止痛 解毒

【주치】 肺燥咳嗽 腸燥便秘 胃脘疼痛. 外治鼻淵 口瘡 湯火燙傷 解烏頭毒.

【해설】

1. 補中 潤燥

① 虛勞 乾咳 咳血 咯血 등에 응용

② 주로 當歸 熟地黃 黑芝麻와 같은 養血潤腸과 배합하여 老人性便秘에 응용

③ 특정 약물의 潤肺 작용을 증강시키기 위한 輔料로 다용

④ 滋補의 丸藥이나 膏劑 등의 경우에 賦形劑로 응용

2. 止痛(煉蜜) 解毒(生用)

① 心腹肌肉瘡瘍 또는 湯火燙傷, 口瘡 등에 응용

② 烏頭毒의 경우에 白蜜을 냉수에 풀어서 徐服

3. 蜂蜜入藥之功有三 《本草綱目》

①淸熱(生則性凉 故能淸熱),

②補中(熟則性溫 故能補中),

③解毒(常有解毒作用 外敷可治瘡毒或燙傷 內服能解烏頭附子之毒)

【포제】

주로 약한 불로 煉蜜(끓여서 흰 선과 노란 선이 반복할 때 까지 → 수분증발)2하여 사용

【용량】

3~15g, 大劑는 40g

【금기】

滋潤性을 지니고 있으므로 濕熱積滯, 胸痞不舒의 경우와 便溏 및 泄瀉者는 愼用

【배합례】

① 生地黃 白茯苓 人蔘 등을 配合하여 補脾和胃 益氣生津 調營衛의 목적으로 응용
경옥고 瓊玉膏《洪氏集驗方》 鐵甕先生神仙秘法瓊玉膏. 陳晦叔服此藥有驗.
: 新羅人參二十四兩,舂一千下,為末 生地黃一秤十六斤,九月採,搗 雪白茯苓四十九兩,木舂千下,為末 白沙蜜十斤. 上件 人參茯苓為細末 蜜用生絹濾過 地黃取自然汁 搗時不得用鐵器 取汁盡去滓用. 藥一處拌 和勻 入銀石器或好瓷器內封用 如器物小 分兩處物盛. 用淨紙二三十重封閉 入湯內 以桑木柴火煮六日 如連夜火即三日夜. 取出用蠟紙數重包瓶口 入井內 去火毒一伏時. 取出再入舊湯內 煮一日 出水氣. 取出開封 取三匙 作三盞 祭天地百神 焚香設拜 至誠端心. 每晨朝 以二匙溫酒化服 不飲者 白湯化之. 此膏填精補髓 腸化為筋 萬神具足 五臟盈溢 髓實血滿 發白變黑 返老還童 行如奔馬 日進數食 或終日不食亦不飢 關通強記 日誦萬言 神識高邁 夜無夢想. 人年二十七歲以前 服此一料 可壽三百六十歲, 四十五歲以前服者 可壽二百四十歲, 六十三歲以前服者 可壽百廿歲, 六十四歲以上服之 可壽至百歲. 服之十劑 絕嗜欲 修陰功 成地仙矣. 一料分五處 可救五人癰疾, 分十處 可救十人勞瘵. 修合之時 沐浴志誠 勿輕示人.

cf. 경옥고 瓊玉膏《東醫寶鑑·內景篇券之一·身形》 塡精補髓 調眞養性 返老還童 補百損除百病 萬神俱足五藏盈溢 髮白復黑 齒落更生 行如奔馬 日進數服 終日不飢渴 功效不可盡述 一料 分五劑 可救癱瘓五人 一料 分十劑 可救勞瘵十人 若二十七歲服 起壽可至三百六十 若六十四歲服 起壽可至五百年
: 生地黃十六斤搗絞取汁 人參細末二十四兩 白茯苓細末四十八兩 白蜜煉去滓十斤. 右和勻入磁缸內 以油紙五重厚布一重 緊封缸口 置銅鍋內水 中懸胎 令缸口出水上 以桑柴火 煮三晝夜 如鍋內水減則用煖水添之. 日滿取出 再用蠟紙 緊封缸口 納井中浸一晝夜. 取出再入 舊湯內煮一晝夜 以出水氣. 乃取出 先用少許 祭天地神祗 然後每取一二匙 溫酒調服 不飮酒 白湯下 日進二三服 如遇夏熱 置陰凉處 或藏氷中 或埋地中 須於不聞鷄犬聲 幽淨處 不令婦人喪服人見之製時終始 勿犯鐵器 服時忌食葱蒜蘿葍醋酸等物<入門>○衛生方 生地黃八斤 人參三十二兩 白茯苓二十四兩 白蜜五斤○本朝永樂中太醫院會議加天門冬麥門冬地骨皮各八兩進御服食賜號益壽永眞膏

② 阿膠 등을 配合하여 老人性便秘에 응용(주로 當歸와 熟地黃 黑芝麻와 같은 養血潤腸 약물과 配合)
교밀탕 膠蜜湯《仁齋直指方論》 治老人 虛人大便秘澀
: 連根蔥白三片 上新水煎 去蔥 入透明阿膠炒二錢二匙 溶開 食前溫服.

③ 梔子 大黃 杏仁 등을 配合하여 煩躁를 없애고 諸熱을 瀉하여 解毒한다(예:蜜製解毒丸)
밀제해독환 蜜劑解毒丸《審視瑤函》 治證同上(治眼目癮澀 稍覺眊矂 視物微昏 內眥開竅如針 目痛 按之膿浸出) … 上方以杏仁甘潤治燥為君 為燥為熱之原也. 山梔子微苦寒治煩為臣 為煩為熱所致也. 石蜜甘平溫 安五臟為佐 為其解毒除邪也. 大黃苦寒 性走不守 瀉諸實熱為使 為攻其積 不令其重疊不解也.
: 山梔仁炒末十兩 杏仁泡去皮尖取霜二兩 錦紋大黃末五兩 川石蜜一斤煉熟. 上末和蜜為丸 如桐子大. 每服三十丸 加至百丸 茶湯送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8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226-3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76-77.


 




각주

  1. 벌의 종류에 따라 韓蜂 꿀과 洋蜂 꿀로 나누거나, 蜜源에 따라 밤꿀·아카시아꿀 등으로 나누기도 하고, 동양꿀벌의 경우 채취장소에 따라 石蜜·岩蜜·樹蜜 등으로 불리기도 함.
  2. 현재 시판되는 꿀은 대부분 이 과정을 거쳐 출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