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4절 온경지혈약(溫經止血藥)

강의요약. 특정 부분에 혈을 순환시킬 힘이 부족해서 만성적인 저체의 상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보통은 어체나 어혈로 진행이 이 된다. 그러나 자궁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즉, 월경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저체된 혈이 빠져나오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이를 두고 ‘허한성 출혈(虛寒性 出血)’이라 규정하고 이에 응용하는 약물을 온경지혈약(溫經止血藥)으로 분류한다. 자궁의 순환을 촉진하는 여러 약물이 있지만 각자 다른 특장점이 뚜렷하여 다른 약물군으로 분류하고 남은 소수의 약물이 배속되었다.

1. 溫經止血藥

 : 藥性이 溫하여 虛寒性 出血에 응용하는 약물

2. 적응증

① 陽虛로 攝血하지 못하여 유발되는 便血

② 자궁허약으로 인한 崩漏 및 월경과다

 등의 虛寒性 出血

3. 배합

 : 항상 溫陽藥을 배합

4. 주의사항

 : 艾葉과 伏龍肝 등은 약성이 燥하므로 動血하기 쉬움

 → 熱盛火旺의 出血에는 사용 금지

5. 대표약물

애엽(艾葉) Artemisiae Argyi Folium

복룡간(伏龍肝) Terra Flava Usta1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3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3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497


 




각주

  1. 본초학공통교재(2020)에는 ‘Terba Flava Usta’라 표기되어 있으나, ‘누렇게 태운 흙’이라는 뜻을 고려한다면 ‘Terra Flava Usta’가 옳은 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