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백급(白芨) Bletillae Rhizoma

백급(白芨) Bletillae Rhizom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白芨《神農本草經》

【생약명】 Bletillae Rhizoma

【이명】 甘根 連及草《本經》 白給《別錄》 臼根《吳普本草》

【약성가】 白芨味苦收斂多 腫毒瘡瘍主外科

【기원】

난초과(Orchidaceae ; 蘭草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자란(대암풀, 白及) Bletilla striata (Thunb.) Rchb.f.의 덩이줄기(塊莖)로, 여름과 가을에 캐어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씻은 뒤 끓는 물에 삶거나 쪄서 가운데 흰 부분이 없어지면 햇볕에 반쯤 말려 겉껍질을 없애고 다시 햇볕에 말린다.

⊂ KHP, ChP, THP, DPRK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群)
       아스파라거스목 (Asparagales ; 天門冬目)
         난초과(Orchidaceae ; 蘭科)

자란(대암풀, 白及) Bletilla striata (Thunb.) Rchb.f.

[ 자란(대암풀, 白及) Bletilla striata (Thunb.) Rchb.f. ]

【성상】

백급(白芨) Bletillae Rhizoma

[ 白芨 Bletillae Rhizoma ]

편평한 三角狀의 卵形이고 길이 2~3㎝, 지름 1~2㎝ 이다. 바깥면은 黃白色~黃褐色이며 위쪽 끝에는 줄기자국이나 또는 윤상으로 된 잎자국이 있다. 질은 각질이고 단단하다.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쓰고 점액성이 있다.

【산지】

우리 나라에서는 남부지방 해안에 자생하고, 중국에서는 貴州, 四川, 湖南, 湖北, 河南, 浙江, 陜西省 등에서 생산한다.

【성분】

bibenyl 화합물, dihydrophenanthrene 화합물, biphenanthrene 화합물, bis-(phenanthryl)-ether, dihydrophenanthrene-pyran 화합물, spirolactone의 phenanthrene derivatives, phenanthrene 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Benzyl 화합물로는 batatasin Ⅲ, 3′-O-methylbatatasin Ⅲ 등이 있고, anthracene 화합물에는 physcioin 성분이 있으며, phenolic acid, stero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지혈작용이 있다.
· 결핵균에 억제작용이 있다.
· 혈전형성 촉진, 위장점막 보호, 항암, 항균 작용을 한다.
· 白芨과 生川烏가 배합되면 독성이 증가하고, 白芨과 制川烏가 배합되면 독성이 억제된다.

 

【성미】 性微寒 味苦甘澀      【귀경】 肺肝胃經

【효능】 收斂止血 消腫生肌  (仙鶴草보다 지혈력이 강함)

【주치】 治咳血吐血 外傷出血 瘡瘍腫毒 皮膚皸裂 肺結核咳血. 潰瘍性出血

【해설】 《本草經疏》  … 入血分以泄熱 散結逐腐 則諸證靡不瘳矣

1. 收斂止血 (苦甘微寒하고 質이 稠粘하면서 澀하며 收斂止血의 良藥)

① 肺胃出血에 상용

② 創傷出血에 外用

③ Tuberculosis에 응용하기도 하였음(白芨 白部 丹蔘 黃芩 黃精)

2. 消腫生肌 (甘味 補肺와 生肌)

① 肺結核과 胃腸出血에 대하여 지혈과 더불어 愈合을 촉진

② 癰腫瘡瘍에 化膿하지 않은 것은 消散하고, 이미 潰한 것은 生肌(內服 및 外用에 모두 양호한 효과)

③ 皮膚皸裂에 外用

3. (운곡본초학) 역대 醫家들은 止血과 癒合작용을 동시에 나타내는 白芨이 補肺한다고 설명하기도 하였다. 실제로는 補肺하는 약물은 아니며, 폐결핵으로 인한 咯血의 합병을 치료한다고 말할 수 있다.

【포제】

깨끗이 씻은 다음 얇게 절단한다.  

【용량】

6~15g.

【금기】

Aconitum속 식물을 기원으로하는 약재(烏頭 附子 草烏 關白附 土秦艽 등)와는 反하므로 동용해서는 안되며, 外感咳血, 肺癰初起 및 肺胃에 實熱이 있는 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枇杷葉 藕節 등을 配合하여 肺癆咯血에 응용
백급비파환 白芨枇杷丸《證治準繩》引《秘傳證治要訣及類方》 治咯血 (養陰清肺 止咳止血之功效. 主治咯血. 症見陰虛肺熱 咳嗽咯血 舌紅 脈細數. 臨床上常用於治療支氣管擴張 支氣管炎 肺結核等)
: 白芨一兩 枇杷葉去毛 蜜炙 藕節各五錢. 上為細末 另以阿膠五錢 銼如豆大 蛤粉炒成珠 生地黃自然汁調之 火上頓化 入前件為丸 如龍眼大. 每服一丸 噙化.

② 백급연수산 白芨蓮鬚散《證治準繩》引《秘傳證治要訣及類方》 治咯血
: 白芨一兩 蓮花須金色者佳 側柏葉 沙參各五錢. 上為極細末 入藕節汁 地黃汁 磨京墨令黑 調藥二錢 如稀糊啜服.

③ 보폐탕 保肺湯《醫宗金鑑·雜病心法要訣》 保肺肺癰吐膿血 白芨薏苡貝金陳 苦梗苦葶甘草節 初加防風潰耆參.
: 白芨 薏苡仁 貝母 金銀花 陳皮 苦桔梗 苦葶藶 甘草節. 初起加防風 潰後加生黃耆·人參.

cf. 가미길경탕 加味桔梗湯《辨證方藥合編 增補方 九七》
: 薏以仁 金銀花 各五錢 貝母 甘草節一錢 桔梗 白芨 橘皮 葶藶子各八分. 初起加荊芥·防風各一錢 潰後加人蔘·黃芪各一錢

④ 입지토혈고 立止吐血膏《重訂通俗傷寒論》 繆氏治吐血三訣 首條云宜行血不宜止血 深恐止則血凝. 血凝則發熱惡食而病日錮 每致血瘀成癆 然行血之藥 首推大黃. 家君創制立止吐血膏一方 既能引血下行 又能止血逐瘀. 凡治血來洶湧 屢投輒驗 較葛氏十灰散 奏功尤捷. 但宜下於妄行之初 不宜下於脫血之後 其次立止咳血膏. … 治尋常咳血妄行 每服一小匙 日二夜一 空心服 十日即愈 如久病損肺咳血 五更服此 上下午服瓊玉膏 一月亦愈 歷收成績.
: 剪草1一斤 地錦2二斤 野百合 黑木耳 白芨 沒石子各一兩 鮮藕節二兩 鮮枇杷葉去毛筋淨 鮮刮淡竹茹 鮮茭白根3各八兩. 先煎去渣 濾淨 入淨白蜜一斤 奎冰糖八兩 煎濃成膏.

⑤ 金銀花 天花粉 皂角刺 乳香 등을 配合하여 癰腫瘡瘍에 응용
내소산 內消散《外科正宗》 治癰疽 發背 對口 疔瘡 乳花百種 無名腫毒 一切歹瘡. 此藥能令內消 化毒為黑水從小便而出 勢大者 雖未全愈 亦可轉重就輕 移深居淺.
: 金銀花 知母 貝母 天花粉 白芨 半夏 穿山甲 皂角針 乳香各一錢. 水 酒各一碗 煎八分 隨病上下食前後服之. 留藥渣搗爛加秋芙蓉葉細末一兩 白蜜五匙 同渣調敷瘡上 一宿自消 重者再用一服 忌口效.

⑥ 옥용서시산 玉容西施散《東醫寶鑑》引《醫林》 治面上一切酒刺風刺黑黶斑子
: 菉豆粉二兩 白芷 白芨 白蘞 白殭蠶 白附子 天花粉各一兩 甘松 三乃子 茅香4各五錢 零陵香 防風 藁本各二錢 肥皂角二錠. 右爲細末 每洗面時用之 面色如玉.

⑦ 옥용산 玉容散 《古今醫鑑》 治面生皯𪒟 或生小瘡 或生痙痱 粉刺之類 並皮膚瘙癢 能去垢膩
: 皂角三斤去皮 升麻八兩 楮實子五兩 甘松五錢 三奈三錢 砂仁連皮五錢 天花粉一兩 白芷一兩 白芨一兩 糯米一升另研 白丁香五錢須臘月收者 綠豆一兩另研. 上為末 和勻 量用洗面 不惟馨香 亦且去垢. 一方加藿香五錢 樟腦一錢 為末 煉蜜為丸 如彈子大 清晨洗面最奇.

⑧ 烏賊骨 浙貝母 三七根 등을 配合하여 胃出血에 응용

⑨ 난궁속사단 煖宮續嗣丹《晴崗醫鑑》 胞宮이 虛冷하여 月經愆期하며 不姙하는 데 쓰인다. 沈尊方의 煖宮螽斯丸 本方으로 子宮機能이 虛弱하여 長年不姙하는 婦人에게 많이 쓰인 處方이다.
: 厚朴薑炒,二兩半 白茯苓 白芨 白蘞 吳茱萸湯炮 石菖蒲 白附子 桂心 人蔘 沒藥二兩 乳香 細辛 當歸酒洗 川牛膝酒洗,一兩半. 爲細末 煉蜜丸 梧子大 每30丸 溫水服. 2개월분.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21-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96-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05-7.


 




각주

  1. 三七根
  2. 대극과(Euphorbiaceae)에 딸린 땅빈대(地錦) Euphorbia humifusa Willd. 또는 큰땅빈대(斑地錦) Euphorbia maculata L.의 전초
  3. 벼과(Poaceae)에 딸린 줄(茭白) Zizania latifolia (Griseb.) Turcz. ex Stapf의 뿌리
  4. 白茅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