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용아초(龍牙草) Agrimoniae Herba

용아초(龍牙草) Agrimoniae Herb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龍牙草《本草圖經》 

【생약명】 Agrimoniae Herba

【이명】 仙鶴草《僞藥條辨》 龍芽草 瓜香草《救荒本草》 狼牙草《肘後方》 石打穿 金頂龍牙《綱目拾遺》

【기원】

장미과(Rosaceae ; 薔薇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짚신나물(龍牙草) Agrimonia pilosa Ledeb. 또는 기타 동속근연종의 全草로, 여름과 가을에 줄기와 잎이 무성할 때 거두어 잡질을 제거하고 건조한다.

⊂ KHP, ChP, THP, DPRKP      ※ KHP만 동속근연종 인정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콩군(Fabids ; 豆類植物) – 진정장미군 I(Eurosids I ; 眞蔷薇一類植物)
         장미목(Rosales ; 蔷薇目)
           장미과(Rosaceae ; 薔薇科)

짚신나물(龍牙草) Agrimonia pilosa Ledeb.

[ 짚신나물(龍牙草) Agrimonia pilosa Ledeb. ]

【성상】

용아초(龍牙草) Agrimoniae Herba

[ 龍牙草 Agrimoniae Herba ]

털이 밀생한 줄기에 꽃술과 홀수 우상복엽이 달린 지상부와 근경 및 뿌리로 되어 있다. 줄기의 기부는 목질화 되었고 길이 30~100㎝, 지름 4~6㎜, 엷은 褐色~紫紅色이며 소엽(小葉)은 橢圓形~倒卵形이며 길이 1~4㎝, 너비 5~25㎜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턱잎은 반달 모양이고 한쪽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려 있고 길이 5~15㎝이며 꽃은 黃色이다. 냄새가 없고 맛은 쓰며 떫다.

【산지】

우리 나라 각지에 분포

【성분】

· flavonoid 성분으로 luteolin-7-glucoside, apigenin-7-glucoside, quercetin, rutin, kaempferol-7-rhman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ellagic acid, caffeic acid, gallic acid, agrimol A~G,  등이 함유되어 있다.
· 전초에는 triterpenoid 성분인 1β,2α,3β,19α-tetrahydroxyurs-12-en-28-oic acid 및 tannin 성분인 agrimoniin(agrimonine A~C)1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止血 작용
· 强心(저농도), 혈압강하(고농도)작용
· 소염, 구충 작용
· 혈전형성 억제, 항암, 혈당강하 작용

 

【성미】 性平 味苦澀     【귀경】 肺肝脾經

【효능】 收斂止血 止痢解毒 截瘧

【주치】 治咳血 吐血 崩漏下血 血痢脫力勞傷 瘧疾

【해설】

1. 收斂止血 (味苦澀하나 藥性은 平 = 효능이 완만함)

  → 신체 각부의 出血證에 寒熱虛實을 막론하고 광범위하게 응용

   ┌ 血熱妄行 : 加 凉血止血藥 ex. 生地黃 牧丹皮 등

   └ 虛寒性出血 : 加 溫經止血 ex. 炮薑 艾葉 등

2. 狼牙草 : 짚신나물의 늦겨울 ~ 초봄에 난 새싹(越冬芽)

  → 條蟲症과 트리코모나스질염 등에 양호한 효과

3. 초창기에 赤白痢 및 瘧疾에 응용되었으나, 현재는 止血을 위주로 응용 및 연구 진행

4. 仙鶴草 vs 旱蓮草 : 止血

   ┌ 仙鶴草 : 收澀止血

   └ 旱蓮草 : 補腎益陰 涼血止血

【포제】

잡질을 없애고 물을 적신 뒤 자른다.

【용량】

6~12g   

【금기】

外感寒熱者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生地黃 側柏葉 大薊 등의 涼血止血藥과 配合하여 血熱妄行으로 인한 出血證에 응용
선백탕 鶴柏湯《운곡본초학》 治吐血
: 仙鶴草 側柏葉 白芨 藕節 大薊

② 선학초탕 仙鶴草湯《傷寒手冊方》 治傷寒濕溫出血
: 側栢葉 仙鶴草 阿膠珠 糯稻根 龍骨 등

③ 炮薑炭 伏龍肝 黃芪 人蔘 熟地黃 當歸 등의 益氣補血藥과 溫經止血藥을 配合하여 虛寒性 出血에 응용

④ 生地黃 牡丹皮 山梔子 側柏葉 등을 配合하여 血熱妄行으로 인한 出血에 응용

⑤ 가미사물탕 加味四物湯《운곡본초학》 治腸風下血
: 龍芽草 生地黃 當歸 白芍藥 川芎 地楡 蒲黃 阿膠 金銀花

⑥ 취진환 聚珍丸《類編朱氏集驗醫方》 治血痢 酒痢尤妙
: 川百藥煎半兩 薄荷煎兩貼 陳槐花半兩,炒 感應丸一貼 麝香少許. 上件拌勻 添蜜為丸. 男子 龍牙草煎湯下, 女人 生地黃煎湯下.

⑦ 桔梗 烏梅 白朮 등을 배합하여 脾虛夾濕熱로 인한 만성결장염에 응용
선길탕 仙桔湯《偏方驗方》 補脾斂陰 清化濕熱. 凡慢性痢疾 迭治不愈 纏綿難解者 往往既有脾虛氣弱的一面 又有濕熱稽留的存在 呈現虛實夾雜之象. 因此 在治療立法上 既要補脾斂陰 又需消化濕熱 方能奏效.
: 仙鶴草30g 桔梗6g 烏梅炭4g 白槿花9g 炒白朮9g 廣木香5g 生白芍9g 炒檳榔10g 甘草4g. 一日一劑 水煎兩次 分二次服.

⑧ 水牛角 白茅根 등을 배합하여 혈소판감소성자반증에 응용
선학초수우각다 仙鶴草水牛角茶《unknown》
: 仙鶴草30g 水牛角50g 白茅根30g 蜂蜜20g

⑨ 계시반산 雞屎礬散《太平聖惠方》 治陰腫滿
: 雞屎礬三分 火煎茶三分 龍牙草三分. 上件藥 搗細羅為散 以雞子清 調塗腫處 日二易之.

⑩ 용주고 龍珠膏《醫學正傳》 治瘰癧
: 龍芽草五兩 棘棗根五錢 海藻二錢五分 蘇木五錢. 上細切 量水二十碗 煎至十二三碗 濾去渣

⑪ 용아일취음 龍牙一醉飮《萬氏家抄濟世良方》 治疔瘡
: 龍牙草 五月五日午時採取陰乾 用好酒浸搗絞汁 量加乳香 沒藥 綠豆粉和飲 將渣敷瘡上. 不許吃茶水 只可飲酒. 即洗面亦用酒.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2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94-6.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11-2.


 




각주

  1. 말초혈관 수축, 응고시간단축, 혈소판 증가를 통해 혈액응고를 촉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