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수렴지혈약(收斂止血藥)

제1절 수렴지혈약(收斂止血藥)

강의요약. 원인을 불문하고 다양한 출혈증에 사용한 약물을 수렴지혈약(收斂止血藥)이라 한다. 피가 맥관 밖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막았다고 하여 ‘거두어들였다(收斂)’라 표현하였다. 대체로 이 분류군에 속한 약물은 혈액응고시간을 단축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편성이 완만하여 허실(虛實)을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혈약의 특성상 고용량을 사용하거나 장기 복용할 경우 어체(瘀滯)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용량 및 용법에 주의를 요한다.

1. 收斂止血藥

: 收斂시킴으로써 諸出血證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약물

→ 대부분의 약물이 혈액응고시간을 단축시키는 약리 효과를 지님

2. 적응증

 : 虛損不足이나 外傷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한 각종 出血(인체 내부의 각종출혈 : 喀血 衄血 尿血 便血 子宮出血)

3. 배합

 : 血熱일 경우 本證에 속하는 淸熱凉血藥, 出血過多일 경우에는 本證에 속하는 補氣補血藥 등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응용

4. 주의사항

① 出血初期, 實熱, 瘀血에는 사용 금지 → 病邪 혹은 熱邪를 貯留시킬 수 있고, 瘀血을 잔류시킬 수 있기 때문

② 瘀血이 있을 경우 祛瘀血을 우선적으로 시킴으로써 瘀血殘留를 방지

4. 기타

일반적으로는 炒炭 후에 止血力이 증가하므로 포제에 유의(炒炭燒存性)

5. 대표약물

용아초(龍牙草) Agrimoniae Herba

백급(白芨) Bletillae Rhizoma

종려피(棕櫚皮) Trachycarpi Petiolus

우절(藕節) Nelumbinis Rhizomatis Nodus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