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11장 지혈약(止血藥)

강의요약. 출혈을 멈추기 위해 사용한 약물을 지혈약(止血藥)이라 한다. 각종 출혈증에 유효한 약물의 사용 경험이 축적되면서 출혈 부위에 따라 좀 더 효과적인 약물로 밝혀지기도 하고, 원인에 따라 사용하는 약물이 분류되기도 하였다. 즉, 완만하게 혈액응고시간을 단축시키는 약물(收斂止血藥)도 있고, 피가 맥관에 몰려있다가 터졌을 때 사용하는 약물(凉血止血藥)도 있으며, 맥관의 상태를 개선하여 지혈을 돕는 약물(化瘀止血藥)도 있고, 혈행 저체가 극심하여 피가 났을 때 사용하는 약물(溫經止血藥)도 있는 등 다양하다. 그러므로 출혈의 원인과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약물을 선용하고 배합에 유의하여야 기대한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고대로부터 풀을 태우고 남은 재가 지혈에 효과가 있다는 경험에 기반하여 지혈 효과가 있는 약물을 태워서 사용하였다. 다만, 완전히 태우면 오히려 지혈 효과가 떨어지므로 약효는 남긴 채 적당히 태워 사용(炒炭)한다. 현대에 들어서 초탄하면 여타의 성분이 연소되어 줄어드는 대신 열에 강한 탄닌(tannin)의 양이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 탄닌 계열의 성분이 대체로 지혈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과다한 탄닌의 사용은 중독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용법 및 용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 止血藥

: 혈액응고를 촉진하여 출혈을 멎게 하는 治標의 약물

2. 적응증

: 喀血, 吐血, 衄血, 便血, 尿血, 崩漏, 紫瘢, 跌打損傷으로 인한 出血 등에 응용.

3. 배합예

① 血熱妄行에는 寒涼性 止血藥에 淸熱涼血藥을,

② 陰虛陽亢에는 滋陰潛陽藥을,

③ 瘀血로 출혈이 그치지 않으면 化瘀止血藥에 活血藥을,

④ 虛寒證에는 溫經止血藥에 溫裏藥을,

⑤ 氣虛하여 능히 攝血하지 못하거나 脾虛하여 統血하지 못하면 益氣健脾藥을 配合.

⑥ 만약, 大出血로 血脫의 證勢가 있는 자는 또한 마땅히 無形의 氣를 조정하여 치료하며 “血脫益氣”의 치료법을 급히 응용 (陽虛 → 脾不能統血 → 補脾升陽 → 益胃升陽湯)

4. 주의사항

① 일반적으로 炒炭하면 收斂止血 작용이 강해짐 → 炭製 응용의 여부는 藥性이나 病證性質에 근거하여 정할 것(한가지 방법에 구애되어서는 안됨)

② 寒涼한 止血藥을 炒炭하여 寒涼한 성질을 완화시켜 熱性이 아닌 출혈에도 사용 가능(止血의 응용 범위가 넓어짐)

③ 生用 혹은 鮮用하는 것이 더 나은 止血을 보이는 경우도 있음

ex. 四生丸《婦人良方》 治吐衄血 陽乘於陰 血熱妄行
: 生荷葉 生地黃 生側柏葉 生艾葉

5. 분류 및 대표약물

제1절 收斂止血藥 : 용아초(龍牙草)백급(白芨)종려피(棕櫚皮)우절(藕節) 

제2절 涼血止血藥 : 대계(大薊)소계(小薊)지유(地楡)괴화(槐花)측백엽(側柏葉)백모근(白茅根)양제근(羊蹄根)

제3절 化瘀止血藥 : 삼칠근(三七根)포황(蒲黃)천초근(茜草根)

제4절 溫經止血藥 : 애엽(艾葉) , 복룡간(伏龍肝)

6. 경험적으로 炭製후 止血力이 증가하는 것을 표현한 말

① 李時珍 “燒炭諸黑藥 皆能止血”

② 紅見黑則止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