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관중(貫衆) Crassirhizomae Rhizoma

관중(貫衆) Crassirhizomae Rhizom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貫衆1《神農本草經》

【생약명】 Crassirhizomae Rhizoma

【이명】 貫節《本經》 鳳尾草《本草圖經》 貫中《吳普本草》 管仲《綱目》 綿馬貫眾《中華人民共和國藥典》

【약성가】 貫衆寒毒宜癥蟲 漆瘡骨硬血症通

【기원】

관중과(Dryopteridaceae ; Aspidiaceae ; 綿馬科)에 속한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인 관중(범고비, 綿馬貫衆)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의 根莖와 葉柄의 鱗片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葉柄과 鬚根을 제거하고 曬乾.

⊂ KHP, ChP, DPRKP

양치식물(Pteridophytes)
  고사리강(Polypodiopsida) or 양기식물강(Pteridopsida)
    고사리목(Polypodiales)
      관중과(Dryopteridaceae)

관중(범고비, 綿馬貫衆)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 관중(범고비, 綿馬貫衆)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

【성상】

관중(貫衆) Crassirhizomae Rhizoma

[ 貫衆 Crassirhizomae Rhizoma ]

긴 원추형을 띠고 윗부분은 鈍圓形이며 아래부분은 약간 뾰족하며 약간 구부러져 있다. 길이 10~20㎝, 지름 5~8㎝이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정연한 葉柄의 殘基와 鱗葉이 밀포되어 있다. 質은 단단한데 횡단면은 약간 평탄하고 갈색이며 유관속이 5~7개로 황백색의 點狀을 이루고 圓環을 형성하면서 배열되어 있다.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조금 달고 쓰며, 나중에는 떫고 맵다. 모양이 고르며 엽기의 꺾인 면은 녹색이고 겉껍질이 벗겨지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산지】

한국과 중국의 東北(黑龍江 遼寧 吉林 만주), 華北(河北 북경), 北部(內蒙古) 등지의 음습지대에 분포.

【성분】

根莖에는 filixic acid(BBB, PBB, PBP), flavaspidic acid(AB, BB, PB), albaspidin, dryocrassin, α-D-glucooctano-δ-lactone enediol, isopentenylaldenos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triterpenoid 성분으로 diploptene, 9(11)-fernene, adiantone, 29-hopanol, diplopterol, filic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작용
· 자궁평활근 수축, 임신억제, 여성호르몬 유사작용
· 주혈흡충에 대한 구충작용

 

【性味】 性涼 味苦 微毒       【歸經】 肝胃經

【效能】 驅蟲 淸熱解毒 凉血止血

【主治】 生: 蟲積腹痛 瘡瘍 / 炭: 出血 崩漏

【解說】

1. 驅蟲 : 蛔蟲·絛蟲·蟯蟲 등으로 인한 蟲積腹痛에 使君子 檳榔 蕪荑 등을 配合하여 응용

2. 淸熱解毒

① 一切熱毒 食毒 酒毒 藥毒에 응용

② 熱毒으로 인한 瘡瘍腫毒 痄腮 등에 金銀花 連翹 蒲公英 板藍根 등과 배합하여 응용

3. 凉血止血 : 熱性의 子宮出血에 側柏葉 仙鶴草 陳棕炭 등을 配合하여 응용

【炮製】

殺蟲과 淸熱에는 生用하고 止血에는 炒炭用

【用量】

4.5~9 g

【禁忌】

陰虛內熱과 脾胃虛弱者, 孕婦는 복용을 忌한다.

【配合例】

① 관중산 貫眾散《衛生寶鑑》 解一切諸熱毒 或中食毒 酒毒 藥毒 並皆治之
: 黃連三錢 貫眾三錢 甘草三錢 駱駝蓬2三錢. 上四味為末 每服三錢 冷水調下 食前.

② 관중환 貫衆丸《醫學正傳》 去三屍九蟲
: 貫衆五分 殺伏屍蟲 白藿蘆三分 殺屍蟲 乾漆三分 殺白蟲 炒 厚朴三分 殺肺蟲 狼芽子四分 殺胃蟲 殭蠶四分 殺膈蟲 雷丸六分 殺赤蟲 雄黃三分. 上件焙乾 炒令黃色 研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新汲水下五丸 三服後漸加至十丸 服之二十日 百病皆愈 三屍九蟲盡滅 更無傳注之患耳.

③ 하충환 下蟲丸《醫宗金鑑》 治蛔疳
: 苦楝根皮新白者佳酒浸焙 木香 桃仁浸去皮尖 綠包貫衆 蕪荑 雞心檳榔各二錢 輕粉五分 鶴蝨炒 一錢 乾蝦蟆炒黑,三錢 使君子取肉煨,三錢. 上爲末 麵糊成丸 如麻子大 每服二十丸 滾白水下.

④ 현삼승마탕 玄參升麻湯《嚴氏濟生方》 治心脾壅熱 舌上生瘡‧木舌‧重舌‧舌腫‧或連腮頰兩邊腫痛.
: 玄參 赤芍藥 升麻 犀角 桔梗去蘆 貫衆 黃芩 甘草炙,各等分.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薑五片 煎至八分 去滓 溫服 不拘時候.

⑤ 옥설무우산 玉屑無憂散《三因極一病證方論》 治纏風 咽喉疼痛 語聲不出 咽物有礙 或風涎壅滯 口舌生瘡 大人酒癥 小兒奶癖 或誤吞骨屑 哽塞不下. (《世醫得效方》 治誤吞骨鯁 哽塞不下)
: 玄參 貫衆 滑石 縮砂仁 黃連 甘草 茯苓 山豆根 荊芥穗各半兩 寒水石 硼砂各三錢. 上爲末. 每服一錢 先抄入口 以新水嚥下. 此藥除三屍 去八邪 殺九蟲 闢瘟療渴.

⑥ 해독환 解毒丸《三因極一病證方論》 治誤食毒草 並百物毒. 救人於必死.
: 板藍根四兩 乾者 淨洗 日乾 貫衆一兩 銼 去土 靑黛 甘草生 各一兩. 上爲末 蜜丸 梧子大 以靑黛別爲衣. 如稍覺精神恍惚 噁心 即是誤中諸毒 急取藥十五丸 爛嚼 用新汲水送下即解. 此方傳得異人京師陳道士. 用水浸炊餅爲丸 尤妙. 如常服 可三五丸 大解暑毒.

⑦ 탈명단 奪命丹《楊氏家藏方》 治纏喉風‧急喉痹 牙關緊急 不能開者. 重舌‧木舌‧單雙肉蛾 並誤吞竹木‧雞骨‧魚刺 並皆治之.
: 白殭蠶炒去絲嘴 寒水石 貫衆 縮砂仁 紫河車 山豆根 乾燕脂 馬屁勃八味各一兩 白茯苓去皮 烏賊魚骨 磁石三味各半兩 烏芋一兩半 俗呼爲勃臍 南硼砂一錢 象牙末一錢 甘草一兩 炙 飛羅面三兩 金星鳳尾草一兩 麝香一錢 別研. 上件爲細末 滴水爲丸 一兩可作一十五丸 蛤粉爲衣. 每服一丸 用冷水半盞 放藥在內滾動 候沫起. 吃水不吃藥 細細呷之 一丸救數人 不拘時候.

⑧ 가미백두옹탕 加味白頭翁湯《重訂通俗傷寒論》 淸肝堅腸法 俞氏經驗方. [秀按] 厥陰熱痢 赤痢居多 雖屬小腸 而內關肝臟. 故以仲景白頭翁湯 疏肝達鬱. 純苦堅腸爲君 臣以芩‧芍‧酸苦泄肝 佐以鮮貫仲洗滌腸中垢膩 使從大便而泄 乃痢者利也之意. 使以茉莉淸芬疏氣 助白頭翁輕淸升達之力. 此爲淸肝堅腸 泄熱止痢之良方.
: 白頭翁三錢 生川柏五分 靑子芩二錢 鮮貫仲五錢 小川連八分醋炒 北秦皮八分醋炒 生白芍三錢 鮮茉莉花十朵沖

⑨ 평간개울지혈탕 平肝開鬱止血湯《傅靑主女科》 婦人有懷抱甚鬱 口乾舌渴 嘔吐吞酸 而血下崩者 人皆以火治之 時而效 時而不效 其故何也? 是不識爲肝氣之鬱結也. 夫肝主藏血 氣結而血亦結 何以反至崩記? 蓋肝之性急 氣結則其急更甚 更急則血不能藏 故崩不免也. 治法宜以開鬱爲主 若徒開其鬱 而不知平肝 則肝氣大開 肝火更熾 而血亦不能止矣
: 白芍一兩 醋炒 白朮一兩 土炒 當歸一兩 酒洗 丹皮三錢 三七根三錢 研末 生地三錢 酒炒 甘草二錢 黑芥穗二錢 柴胡一錢. 水煎服. 一劑嘔吐止 二劑乾渴除 四劑血崩愈. 方中妙在白芍之平肝 柴胡之開鬱 白朮利腰臍 則血無積住之虞. 荊芥通經絡 則血有歸還之樂. 丹皮又淸骨髓之熱. 生地復淸臟腑之炎. 當歸‧三七於補血之中 以行止血之法 自然鬱結散而血崩止矣. 此方入貫仲炭三錢更妙.

⑩ 구통안심탕 救痛安心湯《辨證錄》 治法必須瀉肝木之火 更須解木氣之鬱 而少佐以安心之劑 則心痛自止也.
: 白芍一兩 炒梔子三錢 甘草一錢 柴胡二錢 貫仲二錢 乳香一錢 沒藥一錢 蒼朮三錢. 水煎服. 一劑而痛定 再劑而全愈矣.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18-9.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88-9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69-70.


 




각주

  1. “此草葉似鳳尾 其根一本而衆枝貫之 故草名 鳳尾草 根名 貫衆”라 하였는데, 이는 ‘모든 것을 다 꿴다, 혹은 한가운데를 꿴다’는 뜻이다.
  2. 남가새과(Zygophyllaceae)에 딸린 骆驼蓬 Peganum harmala L.과 多裂骆驼蓬 Peganum harmala var. multisecta (L.) Maxim.의 전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