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무이(蕪荑) Ulmi Semen Pasta

무이(蕪荑) Ulmi Semen Past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蕪荑《神農本草經》

【생약명】 Ulmi Semen Pasta

【이명】 無荑《爾雅》 𦽄䕋《本經》 山楡子《千金》 山楡仁《本草拾遺》

【약성가】  蕪荑味辛驅邪蟲 疥癬痔癭滯及風

【기원】

느릅나무과(Ulmaceae  ; 楡科)에 속한 갈잎작은큰키나무인 왕느릅나무(大果楡) Ulmus macrocarpa Hance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種子에 樹皮와 黃土, 菊花末을 섞어서 발효한 것

⊂KHP

cf. 왕느릅나무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 楡白皮

왕느릅나무(大果楡) Ulmus macrocarpa Hance

[ 왕느릅나무(大果楡) Ulmus macrocarpa Hance ]

【제법】

여름철에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晒乾하고 膜翅를 제거한 다음 물에 담갔다 꺼내어 종자가 발효될 때까지 기다린다. 여기에 楡白皮와 黃土(or 灶心土), 菊花末을 물에 잘 개어 섞은 후 작은 덩어리로 만들어 晒乾한다. 種子 : 楡白皮 : 黃土 : 菊花末 = 11:2:6:1

【성상】

무이(蕪荑) Ulmi Semen Pasta

[ 蕪荑 Ulmi Semen Pasta ]

모가 진 덩어리 또는 長方狀을 이루고 크기는 일정치 않다. 표면은 황적색 또는 황갈색이며 작은 구멍이 많다. 질이 가볍고 푸석푸석하며 절단면은 황갈색 또는 황흑색이고 비늘모양으로 벗겨지며 부스러지기 쉽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시고 떫다. 잎 꽃잎 및 膜翅(날개모양의 씨막)이 들어있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산지】

한국과 중국 각지에서 생산

【성분】

Tannin과 당을 함유

【작용】

· 현저한 살충 작용이 있다.
· 皮膚癬菌 억제 및 항말라리아 작용을 한다.

 

【성미】 性溫 味苦辛     【귀경】 脾胃經

【효능】 驅蟲消積

【주치】 治蟲積腹痛 小兒疳積泄瀉 冷痢 疥癬 惡瘡

【해설】

1. 驅蟲消積

① 특히 蛔蟲에 효과가 있음

② 無毒하여 小兒의 疳積腹痛證에도 응용

2. 疥癬 惡瘡에 외용

【포제】

湯煎하면 효과가 減少하므로 細硏해서 사용

【용량】

6~12 g (丸散劑)

【금기】 

脾胃虛弱에는 愼用 

※ 초창기 한의학 처방에서는 蕪荑에 ‘날개를 제거한다’는 문구가 붙어 있다가 후대에 이르러 단순히 용량만 기록된다. 이는 ‘느릅은 눈을 어둡게 한다(嵇康養生論云 楡令人瞑)’는 부작용 때문에 ‘발효’라는 과정을 통해 안전하게 약물을 사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배합례】

① 무이산 蕪荑散《小兒藥證直訣》 治胃寒蟲痛
: 白蕪荑去扇秤 乾漆炒各等分. 上爲細末 每服一字 或五分 一錢 米飲調下 發時服. 上方杜壬養生必用方同 杜亦治胃寒蟲上.

② 檳榔과 配合하여 蟲積에 응용
묘응환 妙應丸《東醫寶鑑》引《醫學入門》 治蟲積
: 檳榔一兩二錢 黑牽牛頭末三錢 大黃 雷丸 錫灰 蕪荑 木香 使君子各一錢. 右爲末 用蔥白煎湯 露一宿 和丸粟米大 每四錢 五更 蔥湯呑下取. 寸白蟲 以石榴根皮煎湯下. 小兒服一錢或五分. 天明取下蟲物. 此藥 不動眞氣 有蟲卽下蟲 有積卽下積 有氣卽消了 一服見效.

③ 胡黃連 蘆薈 使君子 등을 配合하여 小兒疳積瀉痢에 응용
소감환 消疳丸《萬病回春》 治五疳皮黃肌瘦 髮直尿白 肚大靑筋 好食泥‧炭‧茶‧米之物 或吐或瀉 腹內積塊 諸蟲作痛.
: 蒼朮米泔浸炒 陳皮 厚朴薑汁炒 枳殼麵炒 檳榔 神麯 山楂去子 麥芽 三稜 莪朮 砂仁 茯苓去皮 黃連 胡黃連 蕪荑仁 蘆薈 使君子去殼. 上各等分爲末 使君子殼煎湯 泡蒸餅爲丸 如彈子大. 每服一丸 淸米湯化下.

④ 노회비아환 蘆薈肥兒丸《醫宗金鑑》 治肝疳 (肝疳面目爪甲青 眼生眵淚澀難睜 搖頭揉目合面臥 耳流膿水濕瘡生 腹大青筋身羸瘦 燥渴煩急糞帶青)
: 五穀蟲炒,二兩 蘆薈 胡黃連 川黃連姜炒,各一兩 銀柴胡炒,一兩二錢 扁豆 山藥炒,各二兩 南山楂二兩 蝦蟆煅,四個 肉豆蔻煨,七錢 檳榔五錢 使君子炒,二兩半 神麯炒,二兩 麥芽炒,一兩六錢 鶴蝨炒,八錢 蕪荑炒,一兩 硃砂飛,二錢 麝香二錢. 共研細末 醋糊為丸 如黍米大 每服一錢 米飲下.

⑤ 청감무이탕 淸疳蕪荑湯《醫宗金鑑》 治牙疳
: 大黃 芒硝 蕪荑 蘆薈生 川連 胡黃連 黃芩 雄黃. 水煎服 服後便軟及不食者 去大黃‧芒硝 加石膏‧羚羊角.

⑥ 무이산 蕪荑散《東醫寶鑑》引《本事》 治疥 無問新久 亦治癬白
: 蕪荑一兩 檳榔 吳茱萸各五錢 硫黃二錢. 右爲末 豬脂或香油調擦之.

⑦ 전초산 剪草散《醫學入門》 治沙疥
: 寒水石 蕪荑各二錢 剪草1 枯礬 吳萸 黃柏各一錢 蒼朮 厚朴 雄黃各五分 蛇床三錢 輕粉一錢. 爲末 香油調敷.

⑧ 비전일찰광 秘傳一擦光《醫學正傳》 治疥瘡 及婦人陰蝕瘡 漆瘡 天火丹 諸般惡瘡 神效
: 蛇床子 苦參 蕪荑各一兩 雄黃五錢 枯礬一兩二錢 硫黃五錢 輕粉二錢 樟腦二錢 大楓子五錢,取肉 川椒五錢. 上爲細末 生豬油調敷.

⑨ 여성흑고 如聖黑膏《東醫寶鑑》引《世醫得效方》 治小兒白禿頭瘡
: 豆豉半升 草龍膽 蕪荑各二錢半. 右燒存性 爲末 香油半斤 熬至四兩 下藥 調勻付之神效.

⑩ 黃連 木香 등을 配合하면 痢疾에 유효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17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86-7.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74-5.


 




각주

  1. 홀아비꽃대과(Chloranthaceae)에 딸린 옥녀꽃대(丝穗金粟兰) Chloranthus fortunei (A.Gray)Solms의 전초 또는 뿌리